무한도전의 빈 자리, ‘주말판’ 신문으로 채워볼까?

2012. 4. 25. 12:26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

 

 

 

 

 

런던에서 유학 중인 이승준씨는 주말이 돌아오면 항상 설렙니다. 학생 입장에서 주말에는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되니까 기분이 좋아지는 건 당연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승준씨를 설레게 하는 것은 ‘주말판 신문’입니다. 우리에게는 아직도 ‘주말판’이란 말이 낯선데요. 도대체 여기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길래 승준씨가 주말판 신문만 손꼽아 기다리는 걸까요?

 

영국에서 주말에 발행되는 신문은 평일에 발행되는 신문보다 훨씬 두껍습니다. 주말판 신문 안에 여러 개의 섹션이 들어 있고 그 가운데에는 비닐로 싸인 매거진도 포함돼 있습니다. 비닐에는 주말 매거진과 특집 매거진, TV 가이드북, 그 주의 보너스 책자 혹은 DVD 등이 들어 있는데요. 신문뿐만 아니라 여러 부록들을 통해서 뉴스 해설과 문화 관련 온갖 리뷰와 칼럼, 인터뷰, 패션에 인생 상담, 일주일치 TV 편성표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죠.

 

 

 

 

 


주말판 신문이 더 비싼 이유는?

 

이렇게 알차게 준비된 주말판은 보통 우리나라 돈으로 3천~4천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무슨 신문 하나에 4천원씩이나 하냐구요? 비싸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영국의 신문 독자들은 재미와 깊이를 동시에 추구하는 기사들 때문에 주말판 신문이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4천원으로 책 한 권 분량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가격이 결코 비싼 건 아니죠.

 

런던의 대형 마트에는 입구 쪽에 커다란 신문 판매대가 마련돼 있는데요. 승준씨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마트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주말판 신문을 장바구니에 넣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카페에 들어가서 테이블 위에 신문을 올려놓고 여유롭게 읽어나가는 거죠. 가족들이 함께 카페에 와서 주말판을 나눠서 읽는 풍경도 쉽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토요일에는 <가디언> 주말판을 읽고 일요일에는 <선데이타임스>, <인디펜던트 온 선데이>, <업저버> 같은 신문들을 읽는 것이 런던 시민들에게는 일상이 된 셈이죠.

 

 

 

 

 


신문의 주말판은 영국뿐만 아니라 북미와 유럽 지역 대다수의 나라에서 이미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세계적인 신문인 <뉴욕타임즈>나 <월스트리트저널> 역시 주말판을 통해 독자들에게 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한국 신문 주말판의 시작, 주말섹션

 

그럼 우리나라 신문들은 주말에 어떤 내용을 신문에 담아내고 있을까요.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주말판을 도입한 신문은 <동아일보>입니다. 주 5일제가 서서히 정착되면서 <동아일보>는 2002년 1월 매주 금요일 16면짜리 ‘위크엔드’라는 이름의 별도 섹션을 내보내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문화일보>와 <매일경제>가 각각 목요일치와 금요일치로 16면짜리 주말판 ‘휴’(休)와 ‘라이프 앤 컬처’를 발행하면서 한국에서도 주말판 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많은 신문들이 주말판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해왔는데요. 하지만 한국 신문의 주말판은 외국 신문들과는 달리 섹션 한 두 개가 추가되는 데 그쳐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렇다고 외국 신문들처럼 가격을 대폭 올리고 매거진 형태로 지면을 늘리기도 쉽지 않았죠. 인터넷의 역습으로 종이 신문에 대한 수요가 점점 떨어지는 추세에서 신문사들에게 이런 과감한 시도를 기대한다는 것은 애초에 무리였습니다.

 

하지만 주말판이 종이 신문을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습니다. 지난 2006년 JP모건의 신문매체 관련 분석가인 프레드릭 시어비는 "주말판 시장은 신문업계의 수익 기반이 돼 왔다"고 분석하면서 "<월스트리트저널>이 토요판을 발행하면 <뉴욕타임스>가 장악하고 있는 주말판 시장의 판도를 흔들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주말판의 혁신을 이끄는 ‘토요판’

 

이런 전망을 우리나라의 신문사들이 들었던 것일까요. 최근 들어 한국 신문들 사이에서도 주말판의 다변화 바람이 불고 있는데요. 주말섹션을 별도로 발행하는 것에 그쳤던 그동안의 트렌드와 달리 본지의 지면 배치를 대폭 바꿔 특색있는 토요일자 신문을 발행하는 신문사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변화의 흐름을 이끈 신문은 <서울신문>입니다. <서울신문>은 지난해부터 토요일자 신문에는 제호를 바꾸고 사회성이 짙은 심층기사를 1면에 배치해 차별화를 시도했습니다. 이어 한겨레는 ‘주말판’ 대신 ‘토요판’이란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기획취재를 강화한 토요일 신문을 내놨습니다. 한겨레도 서울신문과 마찬가지로 1면에서부터 스트레이트 뉴스보다 심층 기획 기사인 커버스토리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본지 안에는 ‘생명’, ‘르포’, ‘가족’, ‘승부’ 등 새로운 카테고리를 제시한 것도 눈에 띕니다. 한겨레 토요판은 기존 신문들이 고수하고 있던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 같은 고전적인 지면 구분을 파괴하면서 좀 더 다양한 이슈들을 신문에 담을 수 있게 된 것이죠.

 

한국일보와 중앙일보도 토요일 신문 1면의 변화를 통해 토요판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3월 17일부터 토요판을 내놓은 중앙일보는 ‘뉴스 속으로’, ‘사람 속으로’, ‘돈과 경제’ 같은 지면을 신설해 심층성을 강한 것이 돋보입니다. 책을 소개하는 지면을 강화해 ‘책과 지식’ 면을 신설한 것도 독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새롭게 바뀐 주말판에는 가볍게 소화할 수 있는 기사 뿐 아니라 정치, 사회 등 무거운 이슈도 잡지 형태로 풀어서 설명해주는 기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사들은 반드시 지금 벌어지고 있는 현안에만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열독률이 더 높아지는 거죠.

 

종이 신문을 읽는 사람들이 점점 줄어드는 시대에 신문사들은 독자가 읽고 싶어하는 신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말판의 혁신도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각 신문별로 다양한 형태의 주말판이 등장하다 보면 우리나라 카페에서도 가족들이 주말판 신문을 돌려보는 풍경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다독다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