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아는지 몰라~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저작권’ 사업!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지적 재산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최근에 인터넷 기사로 뜨겁게 달아올랐던 ‘솔섬 사진’ 사건을 알고 계신가요? 지적 재산권에 대한 분쟁으로 큰 이슈를 낳았는데요. 앞으로는 이런 지적 재산권에 대한 분쟁이 점점 많아질 것이라고 합니다. 복잡해지고 세분된 사회만큼이나 새롭게 만들어질 지식•정보•기술이나 표현, 표시 그 밖에 무형적인 것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죠. 신문도 다른 여러 매체와 마찬가지로 지적 재산권이 인정되는 매체랍니다. 오늘은 다가오는 ‘세계 지적 재산권의 날’을 맞이해서 지적 재산권이 무엇인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진행하는 사업 중에 지적 재산권과 밀접한 ‘뉴스 저작권’ 사업은 어떤 내용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권리가 있지만..
2014.04.25 -
'야채'와 '짬뽕'이 일본말? 생활 속 일본어 알아보니
“OO야~ 쓰메키리 어디다 뒀냐?” “아주머니 요지좀 주세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쓰메키리는 손톱깍이를 요지는 이쑤시개를 뜻하는 말입니다. 어려서부터 우리는 집안 어르신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일본어를 그대로 받아들이며 자라왔습니다. 아무래도 일제강점기를 겪었던 할머니 할아버지들과 살아왔기에 생활 속에서 쓰이던 일본어가 어색하지 않고 간혹 일본어인지 구분이 안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른 우리말 교육과 국어에 대한 의식 수준이 성장하면서 많이 순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우리 생활 속에는 버리지 못하는 일본식 표현이 많이 있는데요. 어쩌면 너무나 당연하게 쓰고 있었기에 일본식 표현인지도 인식하지 못했던 말들. 일일이 정리하자면 끝도 없겠지만 일상 속에서 많이 쓰는 일본식 표현들을 모아봤습니다. 우리나라 말에서..
2014.04.24 -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우리의 책 읽기 모습은?
최근 전철을 타면 사람들의 모습은 거의 이어폰을 귀에 꽂고 디지털 기기로 영상을 보거나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책을 보는 사람은 찾기 힘들죠. 이것은 글자로만 된 책을 읽기보다는 영상 매체를 보는 것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앞으로 더욱 기기가 발달하게 되면 책을 보는 사람의 수도 그만큼 줄어들 텐데요. 다가온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을 맞이해서 이날의 의미와 지금 우리의 책 읽기를 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4월 23일이 되면 스페인 까딸루니아 지방에서는 축제가 열립니다. ‘세인트 조지의 날’이라고 불리는 축제에는 책을 사는 사람에게 꽃을 선물했다고 합니다. 이 축제에서 유래한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은 1995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제정되었죠. 이 날짜는 축제뿐만 아니라 영국이 낳..
2014.04.23 -
인터넷 기사마다 ‘네티즌 반응’이 있는 이유
‘이 기사를 접한 네티즌들은…’ 신문 지면보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눈에 띄는 기사를 읽는 것이 익숙한 요즘. 인터넷 기사의 말미에 대부분 볼 수 있는 ‘네티즌 반응’은 언젠가부터 인터넷 기사의 단골 멘트가 됐습니다. 관련 뉴스에 대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반응을 엿볼 수 있는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이 반응을 진정 네티즌들의 반응을 보여주기 위해 쓰는 것이냐 하는 거죠. 워낙 자주 봐왔기 때문에 당연하게 생각되면서도 왜일까 의문이 생기는 네티즌 반응. 많은 네티즌들은 네티즌 반응에 대해 “네티즌 반응 대체 왜 있는 거야?”, “네티즌 반응 진짜 네티즌 반응을 쓴 것일까?”, “네티즌 반응 이젠 지긋지긋하다”와 같은 반응을 남기고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네티즌 반응’을 ..
2014.04.22 -
레포트 쓰는 대학생 여러분~ 이것만은 잊으면 안 된다오~ 안 된다오~
이미지 출처_ flickr by Jake Przespo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써봤을 리포트의 압박. 하얀 백지를 보고 있노라면,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해 참고 자료만 뚫어져라 보면서 떠오르는 것 없이 시간만 가고 있지 않나요? 거기에다 머리 쥐어짜며 글을 썼는데, 리포트 참고자료 인용이 잘못되어 저작권 문제로 법원 출두 요청서까지 받는다면 ‘내가 뭘 잘못했는데?’라고 생각만 들겠죠.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다독다독이 나섰습니다. 리포트를 쓸 때 이것만큼은 꼭 지키면서 작성하자는 의미로 주의할 점 몇 가지를 찾았는데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첫 번째, 리포트 쓰는 주제에 관련된 자료를 찾았다고 리포트에 그대로 쓰면 안 됩니다. 인터넷, 책 등을 검색해서 자신이 원하는 내용이 있다고 ..
2014.04.21 -
의견이 뉴스가 되는 신문, 한국에 출범한 ‘허핑턴포스트’
브라질, 독일, 마그레브, 일본,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영국, 캐나다, 미국… 이 나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앞으로 다가올 월드컵 본선 진출국 목록이 아닙니다. 2011년 이래 3년간 허핑턴포스트의 글로벌 네크워크에 추가된 나라를 역순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지난 2월 28일, 여기에 한국이 추가되었죠. 출처_http://www.huffingtonpost.kr/ 허핑턴포스트 코리아는 ㈜한겨레신문사(이하 한겨레)와 미국의 온라인 미디어사인 에이오엘(이하 AOL)이 공동 출자해 만든 합작회사입니다. 한겨레는 AOL 산하 허핑턴포스트 본사와 지난 2012년 초부터 한국판 허핑턴포스트 론칭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는데요. 논의 과정에 두 회사의 협상 대표가 서울과 뉴욕을 각각 두 차례씩 오갔고, 화상회의와 전..
201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