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뉴스 공모전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다독다독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지식창고(523)

  • 일독일행(一讀一行), 당신도 변할 수 있다. 유근용 작가가 전하는 '독서노트 작성법'

    2016.11.22
  • 롱폼 텍스트, 뭣이 중헌디?

    2016.11.22
  • 대학생 논문읽기 학습동아리 인터뷰 <논문학습 노하우>

    2016.11.10
  • 공권력의 진실 은폐 좌절시킨 언론의 힘

    2016.11.07
  • 한글, 헐버트를 만나다

    2016.11.03
  • 싱크탱크의 검은 뒷거래 밝혀낸 탐사보도

    2016.10.26
일독일행(一讀一行), 당신도 변할 수 있다. 유근용 작가가 전하는 '독서노트 작성법'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요약] 계획만 하는 계획중독자인 당신의 인생을 변화시켜줄 특강이 지난 10월 매주 주말 열렸다. 특강의 연사는 초인 용쌤이라는 닉네임으로 알려진 유근용 작가. 유 작가는 14년간 삶의 기록이 담긴 다이어리, 생각의 축(軸)을 형성한 독서노트를 청중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터넷, 스마트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아날로그의 향수를 맡게 해주는 그의 독서노트, 다이어리에는 특별함이 있었다. #꿈만 꾸는 사람은 실천하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 강연 시작, 유근용 작가는 “상상만 한다고 해서 꿈이 이뤄진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는 메시지로 말문을 열었다. “행동이 없는 상상은 무의미하고 기록이 없는 상상은 있을 수 없다”며 “사..

2016. 11. 22. 17:00
롱폼 텍스트, 뭣이 중헌디?

[요약] 현재의 젊은 세대는 뉴스에 대한 관심은 적지만, 실제 디지털 뉴스 시장의 환경 변화를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멀티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디지털 뉴스와 비디오 이용이 잦은 밀레니얼 세대의 저널리즘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걸까요? 도널드 레이놀스 저널리즘 연구소에서 최근 발행한 보고서 을 통해 소개합니다. #스노폴, 디지털 롱펌 저널리즘의 출발 본 연구 보고서는 특히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롱폼 저널리즘’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2012년 12월 뉴욕 타임스는 미국 워싱턴주 캐스케이드 산맥의 눈사태를 다룬 멀티미디어 형태의-비디오, 인포그래픽, 멀티 디자인 요소들을 결합한-총 1만7,000자의 기사, ‘스노폴(Snow Fall)’을 발행했다. 그리고 이후 등장한 ‘멀티..

2016. 11. 22. 12:00
대학생 논문읽기 학습동아리 인터뷰 <논문학습 노하우>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요약] 글을 읽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학습을 위해 읽게 되는 논문 역시 사람에 따라 다른 읽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논문 학습동아리 3인의 3가지 논문 읽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논문 속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논지’ 글을 쓸 때 요점을 분명히 하는 일은 글쓴이의 책임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논문을 골치 아픈 글로만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많은 글들이 전문가들도 이해하기 힘든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돼 있어 까다롭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수필이든 논문이든 독자에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꼭 할 일이 있습니다. 그것은 글 전체를 통해서 쓰려는 내용을 명확하고 간단하게 한 문장으로 명료하게 제시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글에서는 글의..

2016. 11. 10. 17:00
공권력의 진실 은폐 좌절시킨 언론의 힘

[요약] 재작년 4월 경기도 연천군 28사단 의무대에서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의무대원 윤 일병이 사망한 것입니다. 군은 윤 일병의 가족에게 “만두에 기도가 막혀 숨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윤 일병이 선임들의 구타로 인해 의식을 잃은 뒤 음식이 목에 걸려 숨진 것이었고 지속적으로 그들로부터 구타를 당해왔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군사재판이 몇 차례 열렸지만 관려 내용은 한동안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해 7월 30일, KBS 정치외교 담당 기자들이 이를 첫 보도하고, 이후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가 관련 내용을 폭로하면서 이 사건은 수면으로 떠올랐습니다. 2014년 4월 7일 경기도 연천군 28사단 의무대에서 의문의 사건이 벌어진다. 의무대원 윤 일병이 전날 회식 도중 갑자기 사망한다. 선임병..

2016. 11. 7. 17:00
한글, 헐버트를 만나다

김우주,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고종황제의 특사이자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던 미국인 헐버트는 한글을 업신여기던 당시의 분위기에 통탄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논문을 저술하고 한글로 된 교과서를 발행하는 등 한글을 알리는 데 힘썼습니다. 지난 10월 8일~9일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한글날을 맞아 ‘한글 한마당 축제’가 개최됐습니다. 이날 축제에서는 ‘훈민정음 목판인쇄 체험’, ‘한글 블록 만들기’, ‘골든벨’ 등의 체험행사뿐만 아니라 ‘한글, 헐버트를 만나다’라는 특별 강연도 진행됐습니다. 이 강연은 1886년 조선으로 와 1949년까지 지속적인 한글 사랑을 보여주었던 호머 헐버트(Hulbert)의 일생을 통해 한글을 경시하던 당시 국내 분위기부터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이야기까지 한글에 얽힌..

2016. 11. 3. 11:00
싱크탱크의 검은 뒷거래 밝혀낸 탐사보도

홍예진, 미네소타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요약] 뉴욕타임스와 뉴잉글랜드 탐사보도센터의 공동 취재 및 분석으로 미국의 각종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싱크탱크들이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는 대가로 기업 홍보와 로비에 개입했다는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미국에서 싱크탱크는 재정적으로나 정치적 이념으로부터 독립적인 연구기관으로 입법, 행정, 사법, 언론에 이어 ‘제5부’라고 할 정도로 정책 입안 과정에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어 싱크탱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각종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싱크탱크들이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는 대가로 기업 홍보와 로비에 개입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미국에서 싱크탱크는 재정적으로나 정치적 이념으로부터 독립적인 연구기관으로 입법,..

2016. 10. 26. 17:00
1 2 3 4 5 ··· 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