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공모전 기자 언론진흥재단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독서 뉴스 스마트폰 책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지식창고(523)

  • 필수 광고용어 7선

    2016.10.18
  • 더치페이의 유래는?

    2016.10.13
  • 읽는 SNS, 쓰는 SNS

    2016.09.06
  • 전쟁의 비극 알리며 탐사보도의 전설이 되다

    2016.08.29
  • 당신이 몰랐던 일제강점기의 잔재

    2016.08.22
  • 이 말에 그런 뜻이?

    2016.08.09
필수 광고용어 7선

[요약] 미디어 업계 종사자라면 알고 있어야 할 광고용어. 이것만 알면 면피는 한다. ‘필수 광고용어 7선’입니다. 1.비히클(Vehicle) 광고를 위해 사용되는 매체 종류 (TV, 신문, 잡지, 옥외, 인터넷 등) 중에서 개별적인 특정 채널 혹은 매체사를 의미한다. 가령 KBS, 조선일보, 여성중앙, 지하철 영상, 네이버 등이 비히클인 셈 2.구독률·회독률·열독률 구독률은 특정 신문을 유료로 구독하는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가구구독률’로 통용된다. 회독률(Pass along audience)은 가정, 사무실, 지하철 등 한 신문을 돌려 읽는 사람들의 비율을 뜻하고, 열독률(Rating)은 구독자와 회독자를 포함하여 신문에 노출된 수용자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현한 ..

2016. 10. 18. 17:00
더치페이의 유래는?

[요약] 각자 계산한다는 의미의 ‘더치페이’는 17세기 영국과 네덜란드의 관계에서 파생된 말이며, 네덜란드인을 비하하는 단어로 사용되었습니다. 현재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 세계적인 영어사전에는 ‘Dutch pay’라는 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올바른 영어표현으로는 ‘Going Dutch’, ‘Dutch Treat’, ‘Dutch Date’ 등이 있습니다. 김영란법 시행으로 더치페이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더치페이의 유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 세계적인 영어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더치페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더치페이의 유래를 알려드립니다. #‘더치페이’는 네덜란드인을 조롱하는 말? 더치페이의 더치(Dutch)는 ‘네덜란드의’, 혹은 ‘네덜란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단어..

2016. 10. 13. 17:00
읽는 SNS, 쓰는 SNS

이혜인,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SNS는 인생의 낭비? No, 잘 사용하면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글쓰기’와 ‘읽기’의 목적을 가장 충실하게 이행할 수 있는 SNS 세 종류를 선정해 실제 사용자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SNS는 인생의 낭비다? 前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인 알렉스 퍼거슨이 ‘공인이거나 대중을 상대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SNS를 안 하는 게 이득이다.’ 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SNS로 인해 곤욕을 치른 공인들이 많기도 하고, 일반인 중에서도 SNS 때문에 논란이 생긴 사람들이 많다 보니 퍼거슨 감독의 이 말은 마치 진리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사진을 올리는 SNS는 사진 프레임 안의 모습이 작위적이라는 것과, SNS의 목적이 남들에게 보여주고 과시하기 ..

2016. 9. 6. 17:00
전쟁의 비극 알리며 탐사보도의 전설이 되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요약] 베트남전 ‘미라이 학살’을 고발한 세이모어 허시. 작은 통신사를 통해 극히 일부 신문에만 기사가 나갔지만, 1보가 나간 뒤에는 세상이 바뀌었다. 1주일 뒤, 두 번째 기사가 나갈 땐 뉴욕타임스를 포함한 모든 주요 매체가 허시의 기사를 원했다. 그는 이 기사로 탐사 기자의 전설이 되는 첫발을 내딛게 된다. 10년 차 프리랜서 기자이던 세이모어 허시는 1969년 11월 12일 조지아주 포트베닝 미 육군 기지에서 베트남 전쟁의 방향을 바꾸는 첫 기사를 송고한다. 제목은 ‘육군 중위 109명 민간인 살해 혐의로 기소’였다. ‘미라이(My Lai) 학살’로 알려진 사건을 세상에 처음으로 알린 기사였다. “윌리엄 캘리 2세는 26세로 ‘러스티’라는 별명을 가진..

2016. 8. 29. 11:42
당신이 몰랐던 일제강점기의 잔재

[요약] 평소 응원을 위해 외치는 ‘파이팅’(Fighting). 이 말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상 속 모르고 지나쳤던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소개합니다. #일제의 잔재 ①언어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유치원. 유치원에도 일제강점기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과연 무엇일까요? 바로 ‘유치원’이라는 단어입니다. ‘유치원’은 독일어 ‘Kindergarten'(어린이들의 정원)을 일본 조어 방식에 따라 번역한 표기로 중국은 해방 직후 명칭을 ’유아원‘으로 바꿨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교장 선생님의 ‘훈화’와 졸업식 ‘회고사’도 일제의 흔적입니다. ‘훈화’는 상사가 부하에게 ‘훈시’한다는 일제 강점기의 군대 용어이며, ‘회고사’는 국어사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용..

2016. 8. 22. 15:21
이 말에 그런 뜻이?

[요약]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표현 가운데 뜻하지 않게 누군가를 차별하거나 상처를 줄 수 있는 말들과 그에 대한 대안 표현 알려드립니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 갚는다.’고 이야기 합니다. 오해와 편견은 분명하지 않은 표현에서 시작됩니다. 이런 표현이 많아지면 생각은 흐려지고 행동은 엉거주춤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객관적인 표현이 분명한 생각과 행동을 낳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표현이 뜻하지 않게 누군가를 차별하거나 상처 줄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이 정리한 우리 일상 속에서 ‘차별적으로 사용되는 말’과 그 말을 대체하는 ‘권장용어’를 소개합니다. #'배려하는 말' 한마디의 힘 ※출처: 네이버 뉴스 캡처화면, 검색 키워드 '벙어리 냉가슴' △ "ㅇㅇㅇ이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 있다.”..

2016. 8. 9. 10:32
1 2 3 4 5 6 ··· 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