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스마트폰 공모전 미디어 기자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NIE 이벤트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닫혀있기만 한 책은 블록일 뿐이다

    2016.05.23
  • 급변하는 과학기술 과학 보도 전문성도 진화해야

    2016.05.23
  •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3주차)

    2016.05.20
  • 2016년 1분기 ‘자살예방 우수보도상’ <정신력으로 이겨내면 안되냐고?>

    2016.05.20
  •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여론조사

    2016.05.19
  • 자유학기제와 신문활용교육

    2016.05.19
닫혀있기만 한 책은 블록일 뿐이다

[요약] 우리나라 국민은 과연 얼마만큼 책을 읽고 있을까요?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출판연구소가 2년마다 실시하는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2015 국민 독서실태 조사 지난 1월,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5천 명, 초중고교생 3천 명을 대상으로 한 ‘2015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출판연구소가 2년마다 실시하는 이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1권 이상의 책을 읽은 사람은 성인 65.3%, 학생 94.9%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2013년에 비해 성인은 6.1%, 학생은 1.1%가 감소한 수치입니다. OECD의 ‘15세 이상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를 토대로 한 ‘해외 주요국 독서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자책과 만화를 포함한..

2016. 5. 23. 17:00
급변하는 과학기술 과학 보도 전문성도 진화해야

이투데이 김윤경 기획취재팀장의 글입니다. 요즘은 영화도 그냥 즐기기가 쉽잖다. 우주 조난을 다룬 영화 ‘그래비티’까지야 인간이 우주에서 느낄 고립감에 대해 상상하면 되지만, ‘인터스텔라’에 이르면 차원이 달라진다. 웜홀과 블랙홀 같은 물리학과 천문학 아이템이 거론되고 그야말로 5차원이라는 개념까지 등장하니 말이다. 과학 저널리즘이 필요한 이유 사람들의 이런 의문에 답을 주어야 하는 주체는 누구일까. 과학자?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자의 말을 효율적으로 거르거나 가공해 들려줄 저널리스트들이 아마도 더 많은 책임을 갖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널리즘의 세계에도 불안이 가득하다. 하루가 다르게 과학은 발전하고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파고도 잘 모르겠는데 딥마인드는 무엇이며 딥러닝과는 ..

2016. 5. 23. 11:19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3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3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행복한 삶이란 죄책감이나 막연한 불안감 없이 있는 그대로 즐거움을 느끼면서 자신의 참모습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이다. 박진영『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중에서 기록은 내 생각의 파편이고 삶의 일부분이다. 이찬영『기록형 인간』중에서 진정한 책을 만났을 때는 틀림이 없다.그것은 사랑에 빠지는 것과도 같다. 크리스토퍼 몰리 (Christopher Morley) 아는 게 많다는 건 무서운 것도 많다는 뜻.어른의 지식은 때때로 이유 있는 두려움을 수반한다. 김신회『서른은 예쁘다』중에서 독서가 정신에 미치는 효과는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효과와 같다. 리처드 스틸 (Richard Steele)

2016. 5. 20. 17:00
2016년 1분기 ‘자살예방 우수보도상’ <정신력으로 이겨내면 안되냐고?>

[요약] 한국의 하루 항우울제 소비량은 OECD 하루 평균 소비량에 비해 3배 가량 낮습니다. 세계일보의 김현주 기자는 높은 자살률에 비해 저조한 우울증 치료 관련 문제를 제기한 보도를 통해 ‘자살예방 우수보도상’을 수상받았습니다. 2016년 1분기 자살예방 우수보도상세계일보 김현주 기자 세계일보 김현주 기자는 지난 12월 높은 자살률에 비해 저조한 우울증 치료 관련 문제를 제기한 '[김현주의 일상 톡톡] 정신력으로 이겨내면 안되냐고?'를 보도했습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한국의 하루 항우울제 소비량은 20 DDD(1천명당 의약품 하루 소비량)로 28개 조사국 가운데 두번째로 낮다고 합니다. OECD의 항우울제 하루 평균 소비량은 58 DDD로 한국의 3배 수준입니다. 반면 감기나 당뇨에 걸렸을 경우의 ..

2016. 5. 20. 11:00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여론조사

※ [요약] 선거여론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의 조사 결과 우리 국민들은 ‘선거여론조사’에 대해 여론조사의 필요성 인정하지만 정확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지난달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난 후 결과가 발표되자 많은 국민들이 놀람을 감주치 못했습니다. 선거 전 언론에서 발표한 여론조사와 너무 판이한 결과였기 때문입니다. 언론은 선거여론조사에서 여당의 우세를 점쳤습니다. 그러나 실제 선거결과는 야당의 우세였습니다. 물론, 여론조사 예측이 선거결과와 완벽하게 일치할 수는 없지만, 이번 총선 여론조사는 실제 선거결과에서 한참 빗나갔습니다.그렇기에, 선거여론조사를 두고 그 문제점에 대한 많은 지적들이 있었습니다. 거론된 원인은 크게 세 가지..

2016. 5. 19. 16:00
자유학기제와 신문활용교육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 2014년 드디어 ‘신문활용교육’이 중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입되었다.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입시나 시험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과 진로에 대해 체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도입한 자유학기제의 실시와 더불어 ‘신문, 내 꿈을 펼쳐라’가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어 전국의 학교에서 교육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신문이나 뉴스가 국어나 사회 수업 시간에 본문의 이해를 돕거나 심화된 활동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 적은 있지만, 신문활용수업 자체가 수업의 목적이 된 경우는 없었다.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개발한 ‘신문, 내 꿈을 펼쳐라’는 워크북뿐만 아니라 미니북까지 개발되어 전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2014년 본교에서 처음으로 선택프로그램을 개설했을 때 ‘바리스타’, ‘집밥 이선생’,..

2016. 5. 19. 11:00
1 ··· 60 61 62 63 64 65 66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