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기자 신문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미디어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NIE 독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네이버 앱스토어, 모바일 시대의 돌파구?

    2012.10.24
  •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2012.10.23
  • 오원춘 무기징역 선고로 촉발된 사형제도 논란

    2012.10.22
  • 천재 왜 뒤늦게 주목 받는가, 산도르 마라이

    2012.10.19
  • 10년 헌법소원 투쟁, 35년만에 되찾은 권리

    2012.10.17
  • 이란전을 더 흥미롭게 해 줄 4가지 포인트

    2012.10.16
네이버 앱스토어, 모바일 시대의 돌파구?

최근 국내 IT 업계에 매서운 칼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파란의 서비스 종료, SK컴즈의 ‘희망퇴직’ 소식이 들려온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포털 1세대라 불리던 야후가 국내 사업 철수를 전격 발표하였습니다. 이른바 PC 중심의 시대인 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국내 인터넷 사용자들은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흔히 1세대 ‘포털’이라 일컫는 네티앙, 프리챌, 야후, 엠파스, 라이코스 등의 서비스를 지나, 현재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주축을 이루는 포털 3강이 국내 인터넷 시장을 주름잡고 있습니다. 초기 검색엔진과 텍스트 링크뿐이던 포털이 경쟁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한지 채 10년이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카페, 지식인, 블로그와 같은 다..

2012. 10. 24. 09:29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최근 대학가에서 교양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많이 대학들이 사라져가던 교양학부를 재정립하고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양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죠. 특히 경희대학교의 경우 지난해 국내최초의 교양교육 별도기구인 ‘후마니타스 칼리지’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교양 없는 사람’으로 불리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교양이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일본 최고의 지성이라고 꼽히는 다치바나 다카시는 그의 저서 를 통해 ‘교양’의 의미가 원래의 것보다 축소되었다고 주장합니다. 다치바나 다카시가 정의한 현대의 교양이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교양의 의미보다 훨씬 더 폭 넓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양을 갖춘다는 것은 완벽한 형태의 지식 체계..

2012. 10. 23. 09:53
오원춘 무기징역 선고로 촉발된 사형제도 논란

“그게 얼마나 더 끔찍하게 죽여야지만 사형이 선고가 되는 건지 알고 싶어요. 이런 사건조차 무기징역이 나는데 범죄자들이 얼마나 활개치고 다니겠어요.” 2심 재판에서 사형에서 무기징역으로 처벌이 감경된 오원춘 살인사건 재판을 지켜본 피해자 유족의 절규입니다. 수원에서 20대 여성을 납치해 성폭행, 살인을 저지르고 시신을 300조각이 넘게 훼손했던 오원춘 살인사건. 그런데 10월 18일 2심 재판에서 서울고등법원은 1심의 사형선고를 깨고 무기징역을 선고했습니다. 2심 재판부는 오원춘 살인사건이 계획적이 아닌 우발적인 범행이며, 인육제공 목적도 확신하기 힘들다는 취지로 무기징역을 선고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비난 여론이 뜨거운데요. 아동 성폭행부터 오원춘 살인사건까지 갑론을박이 뜨거운 사형 논란. 다독다독이..

2012. 10. 22. 09:30
천재 왜 뒤늦게 주목 받는가, 산도르 마라이

산도르 마라이(Sandor marai)라니. 참으로 낯선 이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생소한 이름의 이국작가는 그의 작품만큼이나 격정적이고 열정적으로, 그러나 또한 비밀스럽고 고요히 생을 살다간 헝가리의 대표 작가입니다. 몇 해 전 우연한 기회에 산도르 마라이를 알고 난 후 저는 틈나는 대로 그를 소개하고 다녔습니다. 문장 하나하나 뜨거운 삶에서 얻은 통찰을 응축해 놓은 탓에 한 편의 기나긴 시처럼 읽히는 그의 소설들을 더 많은 분들께 더 널리 읽히고픈 욕심에서지요. 특히나 적당히 쌀쌀한 날씨와 쓸쓸한 기운이 감도는 요즘 같은 날들은 산도르 마라이를 읽기에 더없이 좋은 밤입니다. 거장의 생애 왜 유독 천재적인 예술가들은 뒤늦게, 혹은 사후에 진면목을 평가받고 재주목 받게 되는 것일까요? 참으로 잔인한 ..

2012. 10. 19. 09:13
10년 헌법소원 투쟁, 35년만에 되찾은 권리

이제 대통령 선거가 거의 딱 두달 앞으로 바짝 다가왔습니다. 각 대권들은 선거 유세와 민심 탐방에 한창이죠. 깨끗한 한표로 직접 우리들의 대표를 선발하는 것, 즉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선거제도 중에는 ‘해외 부재자투표제도’(재외선거)라는 것이 있습니다. 세계화가 진행되어 학업이나 사업 등을 이유로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이 참 많아졌는데요. 이렇게 해외에 거주 중인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일종의 부재자 투표가 해외 부재자투표제도입니다. 그냥 한국에 살아도 귀찮은 게 투표인데 해외에서까지 해야 하느냐고요? 네, 해외에서 더더욱 하셔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해외 부재자투표제도, 10년의 헌법소원 투쟁 끝에 35년만에 되찾은 권리 포괄적인 한국계 동포의 규모는 이미 700만 명이나 된..

2012. 10. 17. 09:26
이란전을 더 흥미롭게 해 줄 4가지 포인트

"강하게 승부 걸겠다." 이란전 'V' 키워드는 '맞불'이다. 최강희호가 8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최대 분수령을 만났다. 축구 대표팀은 17일 오전 1시 30분(한국시각) 이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4차전을 치른다. 2승 1무(승점 7)로 A조 1위를 달리고 있는 최강희호는 이란을 이기면 본선 진출 고지의 7부 능선을 넘게 된다. 사실상 독주 체재를 갖추는 셈이다. 그러나 조 2위(승점 4)인 이란에 진다면 골득실로 밀려 있는 카타르(승점 4)와 레바논(승점 4),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승점 2)과 혼전 양상을 띨 가능성이 높다. 최강희호는 승리 외엔 다른 상상조차 할 수 없다. 또한, 이번만큼은 지긋지긋한 '이란 원정 징크스'를 깰 수 있는 절호..

2012. 10. 16. 09:27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