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신문읽기 이벤트 신문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외면하고 싶은 공장식 축산의 진실

    2012.09.06
  • 신문 읽기와 친해지기 위한 첫걸음, 호기심

    2012.09.06
  • 지역신문 살리기! 지역신문의 어제와 오늘

    2012.09.05
  • 아이를 IQ170으로 만드는 교육법 살펴보니

    2012.09.04
  • 낚시 기사, 보물로 바꾸는 레시피가 있다?

    2012.09.03
  • 개인정보 유출 사례로 살펴보는 정보보안책

    2012.08.30
외면하고 싶은 공장식 축산의 진실

(전략) "전 채식을 강요할 생각도 육식을 비난할 생각도 없습니다. 다만 우리가 먹는 고기가 어떻게 식탁에 오르는지 알았으면 하고 그런 글을 쓴 것입니다" (후략) 스포츠서울 2012.06.11 얼마 전 이효리 씨의 이 발언이 화제였죠? 채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요. 잡식성인 인간이 육식을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인류 역사를 통틀어 지금처럼 고기를 많이 먹는 시대는 없었다고 해요. 게다가 싼 고기 생산을 위해 고안된 ‘공장식 축산’은 “인간의 욕망을 위해 동물을 학대”하며 “환경 파괴의 주범”이라는 비난도 일고 있죠. 가족 여러분은 우리가 먹는 고기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생산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우리가 먹는 고기의 99%는 ‘공장식 축산’의 결과 우리가 먹는 고기의 ..

2012. 9. 6. 09:49
신문 읽기와 친해지기 위한 첫걸음, 호기심

토요일 늦은 아침. ‘TV를 틀까, 아침 신문을 읽을까’하는 순간의 머뭇거림 속에서 토요일 아침자 신문을 집어 들었다. 아침부터 뇌를 TV속에 맡기기보다는 세상일을 조금 더 주체적으로 읽고 싶었다. 거창한 이야기 같지만, 그저 시간을 조금 더 두고 세상사를 조금 더 천천히 들여다보고 싶었다. 어렸을 때부터 활자와 가까운 편은 결코 아니었다. 고등학교 때, 가장 부러웠던 친구들 중 한 부류는 신문의 논조를 파악하고 기사가 편향되었다느니, 팩트(fact)가 잘못되었다느니 불평하던 애들이었다. 비판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고, 그 사안에 대해 자신만의 판단이 서있다는 것을 뜻한다. 나는 무슨 말인지도 잘 모르는 사안에 대해 비판까지 하고 있는 그들이 부러웠다. 그리고 나도 언젠가 그렇게 ..

2012. 9. 6. 09:19
지역신문 살리기! 지역신문의 어제와 오늘

지금 여러분 곁에 있는 신문은 어떤 신문인가요? 여러분이 인터넷으로 보고 있는 기사는 어떤 신문사의 기사인가요? 십중팔구 전국에서 볼 수 있는 중앙지일 것 같습니다. 지역신문을 읽는 분은 좀처럼 보기 힘든 게 요즘 현실입니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신문이 중앙지 못지않은 판매부수와 영향력을 자랑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지역신문이 사라지기 시작해서, 제 또래인 20∼30대는 어떤 지역신문이 있는지조차 알기 힘듭니다. 하지만 언론 전문가들과 지역사회에서는 언론과 지역 발전을 위해서 지역신문이 꼭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죠. 오늘 에서 소개해드릴 소재는 '지역신문'입니다. 지역신문이 왜 필요할까요? 신문은 목표 독자들의 거주지에 따라 전국지와 지역지(지역신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2012. 9. 5. 11:07
아이를 IQ170으로 만드는 교육법 살펴보니

세계에서 IQ가 가장 높은 사람은? 8월 28일 비영리단체인 슈퍼스칼러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에 의하면 IQ230의 테렌스 타오가 50억 세계 인구중 가장 똑똑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IQ210으로 3위에 오른 김웅용씨 때문에 이슈가 되었죠. 1977년 기네스북에 세계 최고 지능지수 보유자로 등재되었던 김웅용은 돌 때 한글과 천자문을 떼고, 만 3세 때는 미적분을 풀었으며, 다음 해에는 한양대학교 과학교육과에 입학해서 만 8세에는 홀로 미국유학을 떠난 문자 그대로 천재였습니다. 네 살 때 이미 영어, 독일어, 일본어 등 4개국어를 마스터했으며 콜로라도 대학원에서 핵·열 물리학 석·물리학 박사 과정을 이수하고 12세에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연구원이 되었죠. 이쯤 되면 저랑..

2012. 9. 4. 10:39
낚시 기사, 보물로 바꾸는 레시피가 있다?

“헐, 엄마는 계란 노른자가 담배 피우는 것보다 나쁘다는 데 계란말이를 한 거야?” 딸아이가 아침 밥상에 올린 계란말이를 보며 핀잔을 합니다. 저 역시 딸아이 표현대로 ‘헐’입니다. 아니 여태까지 잘 먹던 계란 노른자가 이제 담배 피우는 것보다 나쁘다니... 정말 헐!!!! 결국 아침상에 오른 계란말이를 찜찜한 채로 혼자 먹어 치우고 부랴부랴 인터넷을 켜서 기사 검색을 합니다. 기사 검색을 하면서도 헐!!입니다. 기사의 내용인 즉 캐나다 대학 연구팀이 6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계란 노른자를 먹는 것이 담배 흡연만큼이나 동맥 경화증의 진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글들 중에는 계란은 완전식품이니 어린 아이들에겐 꼭 섭취를 시켜야 하며 단 모든 음식이 그렇듯 ..

2012. 9. 3. 09:46
개인정보 유출 사례로 살펴보는 정보보안책

5월에는 EBS, 지난달에는 KT까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KT의 경우는 전 국민이 쓴다고 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87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후 텔레마케팅에 활용되어 파장이 더 컸는데요. 1차적으로야 해킹한 범인들이 나쁘지만 이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하지 않은 KT에도 문제가 있었죠. 공식 사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집단소송과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취소 등 안 좋은 소식들이 계속 되었는데요. 오늘은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통해 정보보안책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출처-서울신문] (전략) 최씨 등은 KT 고객정보를 몰래 조회할 수 있는 해킹 프로그램을 제작, 지난 2월부터 최근까지 5개월간 가입자 870만명가량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빼냈다. KT 휴대전화 ..

2012. 8. 30. 09:25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