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신문읽기 책 뉴스 공모전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처서에 먹기 좋은 가을 제철 음식 살펴보니

    2012.08.22
  • 스마트폰 대한민국도 좋지만, 우리 아이는...

    2012.08.21
  • 엄마가 더 좋아하는 앤서니 브라운展

    2012.08.21
  • 예비 장인의 첫 질문 "자네, 신문은 보나?"

    2012.08.20
  • 독도가 일본 땅이라 우기는 근거 살펴보니

    2012.08.20
  • 현직 작가가 말하는 핀란드 독서교육

    2012.08.17
처서에 먹기 좋은 가을 제철 음식 살펴보니

'18년 만의 폭염’으로 기록된 여름 더위도 지나가고 가을장마가 찾아왔습니다.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도 불고 있는데요.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처서(處暑)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처서는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해요. 계절이 바뀌면 밥상에도 변화가 필요하겠죠? 오늘은 처서를 맞아 가을에 먹으면 좋은 제철음식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 이억영 作 '처서풍경'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집 나간 며느리가 돌아왔다! - 전어 옛날 한 며느리가 시집살이가 하도 힘들어서 집을 나갔다가 시어머니의 전어 굽는 냄새에 못이겨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고 하죠? 전어는 잔뼈가 많아 먹기 불편하지만 뼈째 먹으면 칼슘..

2012. 8. 22. 10:13
스마트폰 대한민국도 좋지만, 우리 아이는...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분들, 주변에서 많이 보셨죠? 가끔은 인간이 스마트폰의 주인인지, 스마트폰이 인간의 주인인지 헷갈릴 정도입니다. 비단 어른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이런 ‘스마트폰 중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심지어 초등학교에 들어가지 않은 어린 아이들 중에도 스마트폰에 푹 빠진 아이들이 많다더군요. 최근 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스마트폰에 거의 중독된 상태였습니다. 최고의 IT 강국 한국, 이제 스마트폰 대한민국이라도 해도 좋을 정도죠.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에 중독되는 현실이 괜찮은 걸까요? 현황과 해결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시겠습니다. 스마트폰에 중독된 대한민국의 모습은? 앞서 언급한 육아정책연구소 학술지 2012년년 6권 1호에 실린 논문 ‘유아의 스..

2012. 8. 21. 13:23
엄마가 더 좋아하는 앤서니 브라운展

어린 시절, 우리는 동화책을 즐겨 읽었습니다. 하지만 동화책이 아이들만을 위한 것이라는 인식 때문일까요? 어느 날 갑자기 동화책은 성인이 된 우리의 시선을 결코 잡아끌 수 없는 존재가 돼버리고 말았어요. 앤서니 브라운은 동화책이 아이들만을 위한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세계적인 동화책 작가입니다. 영국에서 태어난 앤서니 브라운은 기발한 상상력과 유머러스함을 곁들인 그림체와 더불어 아름다운 색체와 그림책 작가로서의 훌륭한 철학까지 겸비하고 있지요. 서울 서초구의 동화책 속 세계여행에서는 그의 작품 32권의 원화 200여 점을 10월 7일까지 전시하고 있답니다. 그럼 이제부터 반짝거리는 그의 상상력 속에 빠져보도록 할까요? ▲ ‘윌리’ 앤서니 브라운은 ‘윌리’가 자신의 모습과 닮았다고 말했습니다. 전시회장..

2012. 8. 21. 10:25
예비 장인의 첫 질문 "자네, 신문은 보나?"

“자네, 신문은 보나?” 예상치 못한 질문이었다. 여자 친구의 부모님을 처음 뵙는 자리였다. ‘티브이도 있고 인터넷 포털 사이트도 있는데 요즘 누가 신문을 보나요.’ 목구멍까지 올라온 말을 애써 꿀꺽 삼켰다. 머뭇거리는 동안 질문이 이어졌다. “그래, 행정수도 문제를 어떻게 보나?” 식은땀이 흐르기 시작했다. 질문이 이어질수록 분위기는 싸늘하게 굳어만 갔다. 뭔가 잘못되어 가고 있었다. “자네, 신문 안 보나?” 그 후로 식탁 위에는 정적만 흘렀다. 여자 친구의 집에서 먹는 첫 저녁 식사가 생각지도 못한 이유로 엉망이 됐다. 밥알이 모래 같았다. 도망치듯 나왔다. 따라 나온 여자 친구가 말했다. “아빠가 신문도 안 보는 녀석이랑 사귀게 둘 수 없대.” 신문이 뭐라고 내 사랑을 막는단 말인가. 다음 날부터..

2012. 8. 20. 13:15
독도가 일본 땅이라 우기는 근거 살펴보니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전격 방문 했습니다. 또 이 대통령은 “일왕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으면 독립운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찾아가 진심으로 사과하면 좋겠다”는 발언까지 했죠. 독도로 촉발된 한일 양국의 긴장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연일 독도와 관련해 강경 행보와 발언을 하는 데는 독도를 넘보는 일본의 행태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일본이 독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자는 제안을 담은 구상서를 한국에 전달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도대체 일본은 뭘 믿고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걸까요? 지금부터 일본이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축구대표팀 박종우가 런던올림픽 3~4위 전에서 일본에 2-0으로 승리 한 뒤 세레머니를 하고 있..

2012. 8. 20. 10:33
현직 작가가 말하는 핀란드 독서교육

핀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나라입니다. 북유럽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이곳은 전체 국토의 75%가 삼림으로 뒤덮여있는 아름다운 나라지요. 핀란드의 수도는 헬싱키(Helsinki)인데 수도의 인구가 56만 명에 불과합니다. 전체 인구는 520만을 조금 넘는 수준이고요. 그러나 이 나라의 파워와 에너지는 인구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수준 높은 시민의식과 잘 관리된 아름다운 자연환경, 세계가 벤치마킹하는 교육체계와 문화의 힘이 핀란드를 꿋꿋이 지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핀란드라는 이름에서 묻어나는 알 수 없는 평화와 공존의 분위기도 이 나라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단단히 한 몫 하는 것 같네요. 얼마 전 방영한 KBS의 한 영어교육 관련 다큐멘터리를 관람한 저는 적지 않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우리..

2012. 8. 17. 11:32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