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다독다독 미디어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기자 독서 NIE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스마트폰과 뉴스 소비 경험

    2016.05.04
  •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2016.05.04
  •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2016.04.27
  •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2016.04.26
  • 인공지능의 발달이 우리 삶을 나아지게 할까요?

    2016.04.20
  •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2016.04.20
스마트폰과 뉴스 소비 경험

국내 언론사들은 모바일 유통을 겨냥한 카드뉴스 제작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전국 스마트폰 이용자 1,02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뉴스 포맷 문자뉴스, 카드뉴스, 동영상뉴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온라인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장소 오늘날 스마트폰은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지는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이 전통적 미디어 플랫폼과 다른 점은 이동성이다. 스마트폰은 간단히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대를 7가지로 나누어 설문조사한 결과 다른 매체와 비교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시간적 특징이 드러났는데 그것은 주기성의 소멸이다. 스마트폰 사용은 오후 12~3시와 저녁..

2016. 5. 4. 16:30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요약]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의존하는 ‘캥거루족’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캥거루족‘ 그것이 알고 싶다 성인이 되면 당연히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지금 혼자 살고 계신가요? 아니면 부모님과 함께 살고 계신가요? 대학을 졸업해 취직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직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취직을 했더라도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캥거루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캥거루족’이 얼마나 될까요?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3천 5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하는 캥거루족 입니까?’라는 질문에 37.5%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3.7%로 제일 많았고 30대가 33.7%..

2016. 5. 4. 11:00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요약]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한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좋은 일’의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근로자의 날이 존재하기는 하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비정규직 비율이 22.4%로 OECD 가입국 기준 평균 비율(11.8%)의 두 배에 달합니다. 또한, 가입국 중 노동시간 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 근로자들과 시민들은 ’좋은 일‘을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좋은 일’의 기준은? 희망제작소(The Hope Institute)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네이버 해피로그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를 통해 ‘좋은 일 기준 찾기’ 온라인..

2016. 4. 27. 11:00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요약]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라는 생소한 개념이 입법 예고돼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알려드립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 지난 2월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Right to disconnect)’라는 생소한 개념을 노동개혁법안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일부 프랑스 회사들은 퇴근 시간 이후 회사 이메일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일본 역시 퇴근 후 상사가 업무상 연락하는 것을 노동기준법 상으로 금지해놨고 위반한 경우 벌칙규정도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자체적으로 근로시간 종료 30분 후에는 회사 스마트폰의 이메일 기능을 아예 차단시켜 버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무엇이고 해외에서 이 권리에 대해..

2016. 4. 26. 09:54
인공지능의 발달이 우리 삶을 나아지게 할까요?

[요약] 3월 다독다독 의견댓글 이벤트를 통해 들어 본 다독다독 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공유합니다. 지난 3월 있었던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대국, 일본 문학상에 소설을 출품한 인공지능 소식까지, 인공지능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다독다독 팬분들께 물었습니다. “인공지능 발달이 우리의 삶을 나아지게 할까요?” 다독다독의 물음에 팬들이 응답했습니다. 조아라 님, “저의 생각은 X! 아무리 기술이 발달한다고 한들 그에 대한 병폐는 분명히 있을 것 같아요. 더 편안한 삶을 위한 기술들도 많겠지만, 인공지능은 뭔가 인류에게 위협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좋다기보다는 무섭다는 느낌을 먼저 받았어요. 몇몇 영화 속에서 발달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무력화시키며 지배했던 내용이 있는데..

2016. 4. 20. 17:00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요약] 4월 7일은 한국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 창간 61주년을 기념하여 제정한 '신문의 날'입니다. 제60회 신문의 날을 맞아 각 신문사에서 진행되었던 행사들을 살펴봅니다. #독립신문과 ‘신문의 날’ 매년 4월 7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신문의 날‘입니다. 신문의 날은 120년 전, 1896년 4월 7일, 국내 첫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서재필 박사가 정부로부터 자금을 받아 독보적으로 운영한 독립신문은 국민들이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글로 작성되었고, 자유·민권과 민중계몽에 앞장섰습니다. “우리는 첫째 편벽되지 아니하고도 무슨 당에도 상관이 없고 상하귀천을 달리 대접하지 아니하고… 모두 한글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요…”. -독립신문..

2016. 4. 20. 12:00
1 ··· 13 14 15 16 17 18 19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