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NIE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언론진흥재단 독서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우리는 뉴스를 '본다'

    2016.06.28
  •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2016.06.27
  • 뉴스 저작권 사용설명서

    2016.06.21
  • '인스턴트 아티클'에서 '애플 뉴스' 까지

    2016.06.15
  • VR과 처음 만난 저널리즘, 그 미래가 열리려면

    2016.06.14
  • 시청자들에게 PPL이란?

    2016.06.08
우리는 뉴스를 '본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시대에 따라 저널리즘의 소비행태는 변화한다. 라디오를 통해 뉴스를 ‘들었던’ 시대에서 신문을 통해 뉴스를 ‘읽는’ 시대로, 그리고 점차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인포그래픽(Info-graphic), 카드뉴스와 같이 정보들이 소리에서 글을 넘어 그림으로 바뀌어가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저널리즘을 소비해야하는 것인가. 읽기의 행태가 변한다면 그 안의 내용도 바뀌는 것도 당연한 결과이다. 그 변화하는 콘텐츠 속 저널리즘의 원칙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켜져야 한다. 변화의 이면에 자리 잡은 우리 사회 스낵컬쳐(Snack Culture) 열풍은 읽기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인가? 이 시대 현명한 뉴스 소비자가 되기 위해 우..

2016. 6. 28. 09:36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홍예진, 미네소타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요약] “저널리즘도 스포티파이(Spotify), 넷플릭스, 아이튠즈가 필요하다.” ‘블렌들’은 한곳에서 모든 언론사의 읽고 싶은 기사만 골라 간편하게 돈을 내고 기사를 읽을 수 있게 한 서비스 입니다. 또한 구입한 기사가 만족스럽지 못 할 경우 환불을 해주는 등 이용자 입장의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그러자 젊은 세대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 블렌들 미국판 초기화면 네덜란드의 미디어 플랫폰 블렌들(Blendle)이 지난 3월 23일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독자가 읽고 싶은 기사를 건별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블렌들은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타임매거진 등 프리미엄급 언론사를 포함 총 20개의 언론사와 제휴해 서비스를 시작했으..

2016. 6. 27. 11:00
뉴스 저작권 사용설명서

[요약] 뉴스 저작권과 관련한 10가지 용어를 소개합니다.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경로로 접하게 되는 뉴스에도 저작권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언론사와 기자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뉴스 저작권에 대한 10가지를 소개합니다. #Article(뉴스기사)사전적 의미는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떤 사실을 알리는 글’. 뉴스 가치에 의해 선택된 사실을 육하원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작성한 글을 뜻한다. #Belongings(소유물)뉴스기사는 ‘업무상 저작물’에 해당한다. 기상 말미의 바이라인(Byline)을 보고 기사의 저작권이 기자에게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기자는 언론사에 소속되어 기사 작성 업무를 수행하는 자이므로 그 대상물인 뉴스기사는 언론사의 소유물이다. 따라서 기사 이용은 되도록 기자가..

2016. 6. 21. 11:00
'인스턴트 아티클'에서 '애플 뉴스' 까지

[요약] ICT 기업들이 하나 둘, 뉴스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 중 페이스북(Facebook)의 '인스턴트 아티클(Instant Articles)'과 애플(Apple)의 '애플 뉴스(Apple News)'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페이스북(Facebook)은 '인스턴트 아티클(Instant Articles)', 애플(Apple)의 '애플 뉴스(Apple News)' 등 최근 글로벌 ICT 기업들이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를 두고 ICT 기업들이 뉴스에 '군침'을 흘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경쟁적으로 유사 서비스를 도입하는 상황이니 그리 틀린 분석은 아닙니다. 뉴스를 제공하는 이유도 링크를 타고 다른 곳으로 가는 대신 자기 정원에서 놀게 해 광고 수익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

2016. 6. 15. 11:04
VR과 처음 만난 저널리즘, 그 미래가 열리려면

김민성, 한경닷컴 뉴스랩 팀장 가상현실(VR)이 차세대 모바일 혁명의 총아로 주목받지만 영화, 드라마, 의료 등 응용 산업 영역을 넘어 저널리즘과 동거하기는 쉽지 않다. 엔터테인먼트적 소재는 많지만 뉴스 VR소재는 제한적이다. 영상뉴스 제작자들의 오랜 고민처럼 VR로 촬영했을 때 그 가치를 발하는 콘텐츠는 실제 많지 않다. 인터뷰를 360도 카메라에 촬영한다 한들, 꽃 피고 낙엽 지는 광경을 360도 카메라로 촬영한다 한들 이 비판과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 #이런 평범한 장면을 굳이 360도 카메라로 찍어야 해? 왜? VR화각과 딱 맞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뉴스적 가치까지 있는 취재 대상을 발굴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다. 일반 스틸 카메라와 영상 장비로도 무방한 취잿거리를 굳이 360도 카메라..

2016. 6. 14. 11:00
시청자들에게 PPL이란?

[요약]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방송 시청자들이 PPL 개념과 제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조사를 통해 시청자들은 PPL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거부감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송산업계는 규정 내에서 PPL을 적절히 활용 하면서 콘텐츠 품질 향상과 시청자 만족도, 두 가지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태양의 후예(KBS2)’에 등장한 PPL을 두고 논란이 뜨겁습니다. PPL(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이란 영화, 드라마 등에 상품을 등장시켜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마케팅 기법을 의미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미디어연구센터는 성인남녀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해당 설문조..

2016. 6. 8. 14:47
1 ··· 11 12 13 14 15 16 17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