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신문읽기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NIE 책 이벤트 신문 다독다독 독서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신문용지에 대한 모든 것

    2014.08.12
  • 중간 규모 언론사 생존의 키워드, 데이터와 독자

    2014.08.11
  • 작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공간, ‘웹소설’이 뜬다!

    2014.08.08
  • 전문가에게 듣는 상황별 사진 잘 찍는 노하우

    2014.08.07
  • 사투리가 이상하나? 너흰 서울 사투리 쓰는 기다

    2014.08.06
  • 기자들의 영화 평점은 왜 나랑 다를까?

    2014.08.06
신문용지에 대한 모든 것

출처_ pixabay by Weasley 얼마 전 국산신문용지가 10년 만에 말레이시아로 수출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기사가 났었습니다. 그 동안 수출을 막았던 반덤핑 관세가 중단되었기 때문이었죠. 약간 의아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흔히 우리나라는 많은 양의 종이를 수입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겠죠.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현지 생산이 불가능한 스리랑카에서는 한국의 신문용지를 가장 많이 수입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스리랑카로 수출하는 품목 중 7번째로 많은 것이 ‘신문용지’라고 하지요. 생각보다 모르고 있던 것들이 많아서 놀래기도 했습니다. 너무 쉽게 볼 수 있어서 아무런 관심을 갖지 않았던 ‘신문용지’였지요. 출처_ wikimedia commons 어떤 나라가 종이를 많이 사용할까요? 이..

2014. 8. 12. 09:02
중간 규모 언론사 생존의 키워드, 데이터와 독자

출처_Flickr by IAEA Imagebank ‘매출은 줄어들고, 자본은 넉넉하지 않다’ 많은 신문사들이 처한 이런 엄혹한 현실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그 무엇’입니다. 투자의 성과는 보이지 않는데, 생존을 압박하는 스트레스는 커져만 갑니다. 이번 세계신문협회 총회에서 열린 포럼 가운데 하나 역시 이 문제를 다뤘습니다. 신문사들의 제한된 능력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목표를 어떻게 최적화 해야 할까요? 희망적인 답을 기대했다면 실망스러울 것입니다. 결론은 모든 고민을 한 방에 날리는 ‘절대반지’는 없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스트리아 쿠리어의 발표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뉴욕타임스의 이노베이션 리포트 읽어보셨죠? 디지털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이 리포트를 보면 이 방면에서 가장 성공적인..

2014. 8. 11. 09:03
작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공간, ‘웹소설’이 뜬다!

출처_Flickr by Trevor 2000년대 초반, 대중문화 콘텐츠를 주도했던 핫키워드가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인터넷 소설’입니다. ‘귀여니’라는 작가로 대표되는 인터넷 소설은 줄여서 ‘인소’라는 장르로 인터넷 문화가 본격적으로 정착된 시기에 발맞춰 빠르게 전파돼 갔습니다. 하루에 인기 작가가 한 명씩은 탄생했다고 할 정도였죠. 또한 인터넷 소설이 영화와 드라마 등으로 만들어지기까지 하면서 스타 작가가 속속 등장했지만, 현재는 그 자리를 ‘카툰’에 기반을 둔 ‘웹툰’이 대신하고 있습니다. 요즘 시대는 이처럼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그동안 장벽이 높았던 다양한 직업에도 도전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전에는 공모전이나 문학상이 등단의 필수 과정이기도 했던 작가라는 직업도 누구에게나 열려 있기도 합니..

2014. 8. 8. 09:02
전문가에게 듣는 상황별 사진 잘 찍는 노하우

출처_ wikimedia 최근에는 스마트폰에도 고화질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DSLR이 꽤 많이 대중화되어 유명한 명소가 아니더라도 거리에서도 흔히 사진 찍는 사람을 만납니다. 많은 사람이 쉽게 카메라를 접하다 보니 다른 사람보다 더 나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 여러 시도를 합니다. 하지만 쉽사리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없어서 실망하죠. 기자, PD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대한민국 대표 사진가 그룹 ‘ZAKO’의 멤버들이 자신의 노하우를 담은 『77가지 사진 잘 찍는 법』이라는 책을 냈는데요. 이 책에는 상황별로 어떻게 사진을 찍어야 멋진 사진을 만들 수 있는지 소개하고 있답니다. 이제 다독다독과 함께 사진 찍는 노하우를 배우러 가볼까요? ‘ZAKO’는 프로젝트 촬영과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입니다. ..

2014. 8. 7. 11:00
사투리가 이상하나? 너흰 서울 사투리 쓰는 기다

출처_ 서울신문 2014. 3. 17. 언젠가부터 대한민국에 사투리 열풍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재작년과 작년에 방영된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는 사투리의 인기를 톡톡히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오래전부터 각종 드라마, 개그 프로그램, 예능,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사투리를 볼 수 있었지만, 최근 그 인기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투리는 단순히 많은 등장인물 중 한 배역의 개성에 불과했지만,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나 영화 ‘바람’의 경우는 아예 사투리를 매개로 이야기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보여줍니다. 이처럼 예전과 비교해서 지금의 사투리 사용은 꽤 보편적이며 오히려 매력적으로 들리기도 합니다. 때론 애교스럽게, 때론 무뚝뚝하고 멋있게, 때로는 익살스럽게 여겨지..

2014. 8. 6. 11:26
기자들의 영화 평점은 왜 나랑 다를까?

출처_ pixabay by DasWortgewand 여러분들은 어떤 기준으로 영화를 고르시나요? 인터넷에 뜬 리뷰를 보거나 영화평론가들의 평가를 찾아보시나요? 사실 영화를 평가하는 지표 중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건 ’평점’일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영화만큼 평점에 민감한 것이 있을까 싶습니다. 책이나 TV와 달리 영화는 관람의 집중도가 높지요. 캄캄한 극장 안에서 넓은 스크린을 통해 2시간 동안 몰입해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영화를 볼 때는 시간이 어떻게 흘러갔는지도 모를 정도로 집중해서 보지만, 간혹 별로인 영화를 볼 때면 그보다 지루한 시간도 없습니다. 책이나 TV는 내 맘대로 볼 수 있지만, 영화는 일단 극장에 들어가면 끝날 때까지 집중을 해야 하기에 더욱 신중하게 고르게 되는지도 ..

2014. 8. 6. 09:10
1 ··· 47 48 49 50 51 52 53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