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 이벤트 스마트폰 뉴스 뉴스리터러시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신문 신문읽기 NIE 독서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종로거리를 헤매는 서글픈 사연들 살펴보니

    2013.03.07
  • TED의 첫 경험, 한국 대표 연사 4인 4색 스토리

    2013.03.06
  •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2013.03.05
  •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2013.03.05
  •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2013.03.04
  •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2013.02.28
종로거리를 헤매는 서글픈 사연들 살펴보니

이씨 할아버지는 경기도 광주에 삽니다. 하지만, 일주일에 4~5번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종묘공원을 찾습니다. 아침밥을 먹고 무료 지하철을 타고 서울 종로까지 도착하면 종묘공원을 찾아 무료한 하루를 보내는 것이지요. 평일 낮 종로 일대를 찾으면 이씨 할아버지와 같은 처지의 어르신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어르신들이 바둑을 두거나 벤치에 앉아 소소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은 어느새 종로거리의 일상적인 풍경처럼 박혀버렸지요. 노인들은 왜 거리로 나오게 된 것일까요? 단순한 노년의 외로움 때문에 거리로 나온 것일까요? 오늘은 거리로 내몰린 어르신들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출처-서울신문] OECD국가 중 노인빈곤 1위 대한민국 우리나라는 현재 OECD 국가 중 안타깝게도 노인빈곤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013. 3. 7. 10:22
TED의 첫 경험, 한국 대표 연사 4인 4색 스토리

18분, 1500여 건의 강연, 강연 동영상 조회수 10억, 빌 클린턴, 앨 고어부터 노벨상 수상자와 민간인을 아우르는 방대한 연사. 무엇보다 놀랍게도 이 모든 강연을 인터넷에서 무료로 누릴 수 있다는 것. 바로 세상을 바꾸는 18분의 아이디어 강연 TED입니다. TED는 기술(Technology), 오락(Entertainment), 디자인(Design)의 이니셜로 미국의 비영리 재단입니다. 원래 기술과 오락, 디자인의 융합을 꿈꾼 리처드 솔 워먼이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폐쇄적인 행사였다고 해요. 21세기 들어 미디어 사업가인 크리스 앤더슨이 TED를 인수하며 현재와 같은 TED가 확립되었습니다. ‘퍼뜨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를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개방을 택한 거죠. 이제 TED는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

2013. 3. 6. 10:08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신문, 언제 읽으셨어요?” “오늘 아침에 보셨다고요?!” “아니요~ 소리 내 읽으면서, 30분 동안이요!” 기억하시나요? 소리내 신문을 읽어본 기억. 지난 3일, 서대문역에 위치한 한 레지던스에서는 30분마다 다른 목소리가 흘러나왔습니다. 신문기사를 읽어내려 가는 소리였는데요. 2013년 3월, 오롯이 종이 신문만이 가지고 있는 따뜻함을 전달하기 위해 20대 청년들이 직접 나섰다고 합니다. 바로 국내최초, 세계최초!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에 도전한 것입니다. 그 도전 속으로 다독다독이 함께했습니다. “컴퓨터 모니터로 보는 것, 스마트 폰으로 읽는 것, 종이로 읽는 것들은 물론 차이가 있고 가독성 또한 다릅니다. 그러나 종이로 읽는 것들이 더 잘 읽힌다는 걸 모두들 잘 알고 있지 않아요?” 청..

2013. 3. 5. 11:14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어려운 입시와 허리가 휘는 등록금을 내고 드디어 대학에 입학! 이제 대학 생활의 낭만을 즐기고 열심히 공부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웬걸, 난관이 하나 더 남아 있었네요. 바로 교재 값입니다. 시간표 맞춰 전부 다 사자니 교재 값만 학기에 2~30만 원이 넘어가게 생겼어요. 결국 친구들과 십시일반 돈을 모아 교재를 사서 복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녹록치 않게 되었습니다. 최근 대학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죠. 이를 둘러싸고 많은 논의와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학가의 저작권 분쟁 실태와 대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출처-서울신문] 대학가 저작권 비상 사태! 올 2월 저작권 강화로 대학가에서 공공연하게 묵인 되어 온 교재 복사, 동영상 상영 등 강의를 위한 행동..

2013. 3. 5. 10:27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우리 아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명절은 어떤 모습일까 생각해 봤습니다. 아직은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비붐 세대의 많은 형제들이 모여 온 가족이 함께 명절을 보냅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의 형제관계를 보면 많게는 둘. 셋 정도의 형제를 가지거나 또는 외동인 아이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아이들의 명절 풍경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요? 일 년 중 두 번 북적북적 거리는 가족들 틈새에서 서로의 가족애를 확인하고, 친목을 다지는데 의미를 두었던 명절의 의미가 아이들 세대에는 어떻게 전달이 될지 걱정스럽습니다. [출처-서울신문] 2013년 뜻밖의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왔는데요. 2009년 이래로 최저출산율을 극복하고 3년째 출산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통계 발표가 있었습니다. 2009년 1.14..

2013. 3. 4. 11:02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내일은 역사적인 함성이 되살아나는 3.1절입니다. 3월 1일은 1919년 수많은 열사들이 독립을 위한 열망으로 온 마음과 몸을 던지며 아우내 장터로 나섰던 날입니다. 그 후에도 6.10만세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이 지속되었지요. 그런데 어떻게 그 많은 사람들이 아우내 장터 한 곳으로 모일 수 있었을까요? 전화기도 없던 그 시대에 말이죠. 그 비결은 바로 ‘신문’에 있습니다. 이라는 신문에 기고된 글을 보고 사람들은 3.1운동이후 지속적으로 독립운동에 대한 정보를 알고 모이게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민중들의 힘을 필요로 했던 여러 독립운동 힘의 원천은 바로 신문에 있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오늘은 돌아오는 3.1운동맞이 일제 치하 속에서 신문들은 어떤 상황 속에서 어떤 행보를 겪었는지 한 번 살펴볼까합니다...

2013. 2. 28. 13:30
1 ··· 92 93 94 95 96 97 98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