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미디어 기자 미디어교육 이벤트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독서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해외 미디어 교육(82)

  • 싱가포르의 체계적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다

    2024.05.01
  • 시민의 기본권 보호 위한 새로운 시도

    2023.12.24
  • ‘디지털 기기와 공존하는 법’ 가르치는 학교

    2023.12.22
  • 허위정보의 바다, 소셜 미디어 속으로 풍덩 ​

    2023.12.21
  •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2023.10.17
  •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2023.06.28
싱가포르의 체계적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다

2023년 미디어교육 해외연수 참여 후기 written by. 신윤경 (서울봉은초 교사)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교원의 미디어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 5박 6일간 싱가포르에서 미디어교육 교사 해외 연수를 진행했다.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선정된 7명의 초중고 교사가 참가한 이번 연수의 주요 내용과 참가 소감을 소개한다.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현재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싱가포르 교육자들의 노력을 엿보면서, 학생들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더 연단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이번 연수는 미디어교육을 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참으로 귀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교직 ..

2024. 5. 1. 10:00
시민의 기본권 보호 위한 새로운 시도

유럽연합 ‘디지털서비스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written by. 오연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 ​ 유럽연합에서는 내년부터 구글, 메타(옛 페이스북) 등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허위정보와 알고리즘 조작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유해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검열하도록 하는 ‘디지털서비스법(DSA)’이 시행될 예정이다. 디지털서비스법의 주요 내용 및 함의를 살펴본다. 미디어 역량 또는 디지털 역량 등의 개인 역량 강화 담론과 교육은 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위험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 전가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디지털서비스법은 그 책임을 국가와 기업으로 분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측면을 갖는다. 2014년 유럽사법재판소는 개인 정보 주체의 요청이 있을 시 구글이 검색 결과에서 해당 개인의 ..

2023. 12. 24. 10:00
‘디지털 기기와 공존하는 법’ 가르치는 학교

핀란드의 디지털 웰빙을 위한 미디어교육 ​ written by. 문수미 (핀란드 알토대 IDBM1) 프로그램 석사) ​[편집자 주] IDBM: 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알토대에 있는 MBA 과정. 기술, 디자인, 마케팅을 혼합한 과정으로 다른 분야 간의 통섭을 통해 경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핀란드는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상당한 수준에서 교육되고 있는 나라이다. 미디어교육을 책임지고 담당하는 국가 기관뿐 아니라 다양한 기관과 전문가가 협업해서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디어교육 강국이자 모범국인 핀란드에서 ‘디지털 웰빙’이라는 개념이 미디어교육에 등장했다고 한다. 관련 소식을 전한다. ..

2023. 12. 22. 17:00
허위정보의 바다, 소셜 미디어 속으로 풍덩 ​

미국 ‘미디어와이즈’의 팩트체크 교육 전략 ​ written by. 정재철 (내일신문 기자) ​ 미국의 ‘미디어와이즈(MediaWise)’는 디지털 리터러시 전문 교육 기관으로 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지는 허위정보 대응법을 가르친다. 첫 교육 대상은 청소년이었지만 현재는 모든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며, 소셜 미디어 플랫폼별로도 각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디어와이즈를 소개한다. ‘고객 우선’ 원칙도 흥미롭다. 미디어와이즈는 인구 연령 통계에 따라 프로그램을 맞춤화했다. Z세대, 밀레니얼세대, X세대, 시니어세대를 포함해 세분화된 고객 맞춤 전략을 세운 뒤, 이들이 콘텐츠에 쉽게 접근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 국내외를 막론하고 소셜 미디어가 허위정보의 온..

2023. 12. 21. 18:20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영국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젝트 사례로 보는 미디어 교육의 방향 ​ written by.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 영국 학술지 는 올 2월에 “포스트-팬데믹 시대 뉴스 리터러시 활동과 미디어 조직의 역할(The Place of Media Organisations in the Drive for Post-pandemic News Literacy)”1)이라는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는 ‘챗GPT’ 특집을 맞아 뉴스 미디어가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펴본 이 논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계간 시민 기획위원이 요약해 소개한다. 뉴스 미디어가 직접 운영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맡겨지는 현실을 우려하면서도, 전문 훈련을 받은 기자들이 수용자와 소통함으로써 저널..

2023. 10. 17. 09:30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미국-생성형 AI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written by. 박유신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장·삼광초 교사) ​ 챗GPT, 바드 등 생성형 AI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쁜 의도를 가지고 AI를 악용할 경우 허위정보가 무분별하게 대량으로 퍼져나갈 수 있고, 허위정보의 유통은 뉴스 신뢰도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우려 속에 미국의 미디어교육 기관들이 AI 시대에 맞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2023년 4월 3일자 는 포토 저널리즘의 윤리와 생성형 AI의 문제에 대해 다룬다. 생성형 AI는 더욱 정교한 가짜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선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경계해야 한다고 는 주장한다. ​ ​..

2023. 6. 28. 14:00
1 2 3 4 5 ··· 1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