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다독다독 신문 기자 책 NIE 이벤트 미디어교육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6)

  • 결혼 이주민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의 미디어

    2018.07.31
  • [인터뷰] JTBC 팩트체커 오대영 기자

    2018.07.26
  •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4

    2018.07.24
  • 미디어 속 다문화 재현의 문제점

    2018.07.19
  • 언론진흥재단 지원, 수원미디어센터의 풀뿌리 마을신문 만들기 수업 현장

    2018.07.17
  • 페이스북 'F8 2018'을 통해 살펴본 가짜 뉴스 대책과 미디어교육

    2018.07.13
결혼 이주민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의 미디어

결혼 이주민의 수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누적 규모가 2001년 대비 무려 6배나 늘어났다. 이렇게 많은 이주민이 우리 주변에 살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그들은 편견의 시선과 마주해야 한다. 이에 미디어가 그리고 있는 이주민의 모습을 결혼 이주민의 눈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글: 아사히 노리코(일본) 아사히 노리코 씨는 니가타현에 있는 한 병원에서 관리영양사로 일하던 중 현재의 한국인 남편을 만나 결혼, 한국에 오게 됐다. 15년째 한국에서 생활하며 아들 셋을 키우고 있다. 저는 일본에 있을 때 한국 드라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 계기로 일본에서 공부 하던 한국 남자를 만났습니다. 그렇게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연애를 하였고 드라마와 같이 많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결국 지금의 남편과 결혼에 성..

2018. 7. 31. 21:36
[인터뷰] JTBC 팩트체커 오대영 기자

무분별한 정보의 범람 속에서 올바른 ‘사실’만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인이 있다. JTBC 뉴스룸에서 ‘팩트체크’ 코너를 담당하고 있는 팩트체커 오대영 기자다. 지난 6월 29일 JTBC의 정치부 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그를 만나 팩트체크 노하우와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들어보았다. 글: 정현정(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사원) 바야흐로 정보 홍수의 시대다. 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생겨나며, 그것이 퍼지는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 그 정보가 사실인지, 거짓인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우리는 홍수처럼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어떤 정보가 옳은지 그른지, 합리적이고 비합리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언론을 통해 우리에게 정보의 ‘사실’을 전달하고 올바른 정보를 판별해주고자 노..

2018. 7. 26. 17:30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4

미디어 이용자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메시지를 수용하고 분석한다. 이에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던져볼 수 있는 질문과 유의해야 할 점을 알아본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사람들은 미디어 메시지를 접할 때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미디어 메시지와 상호작용 한다. 누군가는 특정 메시지를 드러난 그대로 받아들이는 반면 다른 누군가는 그 메시지를 거부하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미디어 텍스트에 연령, 성, 교육, 문화적 기반 등 자신만의 독특한 생활 경험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해석도 달라진다. 에 대한 핵심질문은 ‘사람들은 같은 메시지를 어떻게 달리 지각하고 이해하는가?’에서 시작한다. 핵심개..

2018. 7. 24. 17:30
미디어 속 다문화 재현의 문제점

예멘 난민 문제가 연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를 통해 ‘혐오 발언’이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외국인 이주민과 교류할 기회가 많지 않으므로 그들을 이해하는 데 미디어가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미디어에서 다문화 관련 담론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감수성의 현주소를 가늠해본다. 장은미(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요즈음 SNS상에서는 예멘 난민 문제로 인한 논쟁이 뜨겁게 일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혐오 발언’이 성찰적 이슈로 부상했다. 외국인 혐오, 인종 혐오, 소수자‧약자 혐오는 미디어를 통해 일파만파 유통되고 증폭되는 중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외국인 이주민과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경험이 제한되어..

2018. 7. 19. 16:19
언론진흥재단 지원, 수원미디어센터의 풀뿌리 마을신문 만들기 수업 현장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다양한 미디어센터 및 민간단체 미디어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재단의 지원을 통해 수원미디어센터에서도 미디어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최근에 교육과정이 마무리된 수업 현장을 방문했다. 편집부 경기도 수원시 영통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된 수업은 지난 6월 22일, 교육과정을 마무리하고 신문 발행 단계의 교육을 진행했다.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서지연 대표가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에서 매탄마을신문을 만들어온 지도 벌써 6년이 넘었다. 그는 마을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고민하는 한편 마을신문을 만드는 주민기자 학교 프로그램도 진행해왔다. 수업은 친근하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시작됐다. 강의실로 들어오는 수강생들의 얼굴에는 수업에 대한 부담감보다는 의욕적인 모습이 엿보였다. 서 대표와 스스..

2018. 7. 17. 18:16
페이스북 'F8 2018'을 통해 살펴본 가짜 뉴스 대책과 미디어교육

지난 5월 1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페이스북 연례 개발자 회의인 ‘F8’이 열렸다. 본 글에서는 페이스북의 최고 경영자 마크 저커버그가 'F8 2018'에서 소개한 세 종류의 가짜 뉴스와 그 대응책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의 가짜 뉴스 유통 현황을 살펴보고 미디어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알아본다. 최원석(핀란드 라플란드대학 미디어교육 석사과정 및 연구조교) 지난 5월 1일, “올해 정말 만만치 않네요!”라는 농담을 던지며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 경영자(CEO)가 F8 무대에 등장했다. 최근 페이스북의 제3자 개인정보수집 사태를 의식한 듯 보이는 씁쓸한 인사말에 이어 “페이스북의 책임감을 더 넓게 봐야겠다는 점을 배웠다. 누군가 페이스북을 악용하지 ..

2018. 7. 13. 17:15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