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다독다독 이벤트 스마트폰 독서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6)

  •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2018.06.08
  •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가짜 뉴스 팩트체크 TIP!

    2018.06.04
  • 인터뷰: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2

    2018.05.25
  • 인터뷰: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1

    2018.05.23
  • 장애 이해 교육을 위한 수업 지도안 제작

    2018.05.18
  •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3

    2018.05.14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현대 사회에서 뉴스는 그 형태를 달리하며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진짜처럼 교묘하게 만들어진 가짜 뉴스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며, 그것을 읽고 생각이 바뀌기도 한다. 이 때문에 우리는 뉴스를 분별해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좋은 뉴스를 판단할 수 있는 뉴스 분석법을 소개한다. 김경희(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스마트폰에서 포털 앱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만 4~50여 개의 뉴스가 나타난다. 뉴스를 모두 살펴보려면 많은 시간이 들지만, 우리는 몇 분 안에 뉴스를 훑어보고 다른 화면으로 이동한다. 때문에, 관심 있는 기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사는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이에 대해 『미디어 리터러시』(2013/2016)라는 책에서 포터(Porter)는 정신적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우리의 마..

2018. 6. 8. 15:01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가짜 뉴스 팩트체크 TIP!

가짜 뉴스의 팩트를 체크하는 꿀팁! 언론사의 이름이 미심쩍다면? 광고가 지나치게 많다면? 가짜 뉴스를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또,기자의 이름이 00000확인해야 한다는 것! 빈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정답을 맞히면 추첨을 통해 열다섯분에게 영화 관람권 1매를 드립니다! 참여방법 1.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및 이벤트 게시글 좋아요 누르기 2. 빈칸에 들어갈 정답 번호를 댓글에 남기기 * 친구 태그 + 공유 시 당첨 확률 UP!! 이벤트 기간 2018. 6. 4(월) ~ 2018. 6. 15(금) 당첨자 발표 2018. 6. 18(월)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하기☜

2018. 6. 4. 19:48
인터뷰: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2

우리나라의 미디어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아직 다양한 해결과제가 남아있다. 이에 미디어교육에서 저명한 학자인 데이비드 버킹엄(David Buckingham)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그 두 번째 이야기를 소개한다.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Q. 미디어교육을 위해서 다양한 주체(정부, 공적 기관, 학계, 학교, 언론사, 가정 등)가 참여하는데, 각 주체가 수행해야 할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A. 미디어교육과 관계된 다양한 주체들 간에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우선 교사와 학교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어린이는 학교에 다니기 때문에 학교에서 미디어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들은 가정에서도 미디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부모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부모 중에는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2018. 5. 25. 18:09
인터뷰: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1

데이비드 버킹엄(David Buckingham) 교수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전자매체와 맺는 관계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전문가다. 현재는 영국 러버러(Loughborough) 대학교의 명예 교수이자 서섹스(Sussex) 대학교의 객원 교수, 노르웨이의 어린이 연구센터 객원 교수로 강의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최근 우리나라는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미디어교육을 교육과정에 적용할 구체적인 방안 탐색에 나서고 있다. 이에 미디어교육에 있어 저명한 학자인 데이비드 버킹엄(David Buckingham) 교수를 만나 다양한 이야기와 조언을 들어보았다. Q. 매스미디어(신문, 텔레비전) 시대에 미디어교육 연구를 시작했는데, 그..

2018. 5. 23. 20:27
장애 이해 교육을 위한 수업 지도안 제작

언론진흥재단은 2017년 뉴스 리터러시 교과연구회를 공모, 30개를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하였다. 재단의 지원을 받는 연구회는 개정 교육과정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융합 모델 및 다문화, 탈북, 장애 학생 등과 함께 하는 수업 모형 등을 개발했다. 이 중 대구 범물중학교 연구회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아이들을 세상과 소통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다양한 수업 지도안을 제작해 교육을 진행했다. 여러 지도안 중 소외계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해 제작한 ‘장애, 다름의 이해’ 수업지도안을 소개한다. 임현아(대구 범물중학교 교사) 우리 학교는 장애아동시설인 애망원과 오래전부터 MOU를 맺어 학생들이 정기적인 봉사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간혹 처음 장애시설에 가는 학생들의 경우 정도가 심한 ..

2018. 5. 18. 19:02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3

미디어 메시지 제작자는 창의적 기법을 사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제작하고, 이용자를 설득한다. 그 때문에 우리는 미디어 메시지에서 구성된 실재를 파악하고 구별하는 능력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은 그것이 신문이든,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든, 아니면 공포영화든 그 자체의 독특한 언어를 가진다. 신문 1면의 헤드라인은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한 것이며, 카메라의 클로즈업은 친밀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음향과 시각 언어는 인간의 정신세계 깊숙한 곳까지 도달할 수 있는 요소로, 미디어 경험에서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하거나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그러면서도 그 메시지가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특별한 기법을 사용해 ..

2018. 5. 14. 17:15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