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책 미디어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NIE 미디어교육 신문 독서 뉴스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언론진흥재단의 모든 교육 정보를 한곳에

    2023.04.17
  • 국내 최초 미디어교육사 206명 탄생

    2023.04.13
  • 3월의 추천 영화 –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2023.04.12
  • 안전하고 즐거운 미디어 생활 위한 첫 미디어교육

    2023.04.11
  •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데이터에 숨은 함정을 찾자

    2023.04.10
  • 놀면서 배우고, 탐색하고, 성장하고

    2023.04.05
언론진흥재단의 모든 교육 정보를 한곳에

재단소식 언론인-미디어교육 통합 플랫폼 ‘KPF미카’ 오픈 ​ written by. 손제희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연수팀 과장) ​ ​ 한국언론진흥재단(이하 재단)은 2023년 2월 16일 언론인-미디어교육 플랫폼 ‘KPF미카(meca.or.kr)’를 오픈했다. ‘KPF미카’는 KPF미디어아카데미의 줄임말로 언론인 연수와 학생·시민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언론진흥재단의 통합 교육 플랫폼이다. 한편 ‘미카’라는 약칭에는 ‘메카(mecca, 종교나 예술, 학문 등 특정 분야의 중심지)’라는 의미를, 알파벳 한 줄 잇기로 제작된 로고에는 ‘모든 참여자를 이어주는 배움터’가 됐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다. ​ ​ ​ ​ ​ 기사와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의 선순환 KPF미카는 기존에 언론진흥재단이 별도로..

2023. 4. 17. 14:27
국내 최초 미디어교육사 206명 탄생

포럼·행사/동향 : 미디어 리터러시, 지금 우리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사 자격시험 실시 ​ written by. 이상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차장) ​ ​ 국내 미디어교육을 선도해온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미디어교육 전문 자격시험을 도입했다. 이에 지난 11월 제1회 미디어교육사 시험이 실시됐다. 미디어교육사 제도의 의의와 향후 전망을 소개한다. ​ 미디어교육사는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기획, 실행, 분석,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미디어교육사 자격시험에 필요한 검정 과목은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미디어교육 방법 및 사례 ..

2023. 4. 13. 14:14
3월의 추천 영화 –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3월의 추천 영화 –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written by. 계간 편집부 가성비 시대가 불러온 콘텐츠 트렌드의 거대한 변화 유행하는 드라마의 요약 영상을 보기, 유튜브 영상을 1.5 배속으로 보기, 대학 강의를 1.75 배속으로 듣기, 지루한 풍경 묘사 장면은 10초 건너뛰기. 언제부턴가 영상을 배속으로, 혹은 건너뛰며 보는 일이 보편화되었습니다.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에선 이러한 행위를 ‘요리를 믹서에 가는 것’에 비유합니다. 음식을 천천히 음미하며 씹어 삼키는 것과 요리를 믹서에 갈아 주스로 마시는 것. 물론 섭취하게 되는 영양소는 같겠지만, 둘을 같은 행위라 보기에는, 같은 음식을 먹었다 보기는 어렵습니다. 작가는 ‘빨리 감기’ 그리고 ‘건너뛰기’ 현상의 이유로 셋을 꼽습..

2023. 4. 12. 15:50
안전하고 즐거운 미디어 생활 위한 첫 미디어교육

교육현장 : 미디어교육, 들여다보기 유아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시범 수업 소개 ​ written by. 남기원 (중앙대 유아교육과 교수) 조하경 (중앙대 유아교육과 박사수료) 조신애 (중앙대 유아교육과 박사수료) ​ ​ 미디어를 접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질 뿐 아니라 이용 시간도 늘어나면서 유아를 위한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도 유아를 위한 미디어교육 교재 및 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확산에 힘쓰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인 '유아, 미디어 첫걸음'의 주요 내용과 시범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 본 프로그램은 유아가 미디어교육에 대한 친밀성을 키우며, 놀이를 통해 즐기며 참여하는 태도가 형성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아주 세밀한 상호작용을 담아 ..

2023. 4. 11. 15:33
[미디어 리터러시 셀프 체크] 데이터에 숨은 함정을 찾자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 뉴스 기사를 통해 자주 보게 되는 ‘숫자’들 가장 객관적인 정보라 생각되지만, 우리의 믿음을 배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 ​ 그렇다면 과연 어떤 함정이 우리 주변에 있는지, 와 함께 알아볼까요? 포털 등에서 기사를 검색하면 잘못됐거나 의도가 숨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잘못된 데이터 시각화 자료를 다수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A 집단과 B 집단의 연평균 소득이 각각 2,500만 원과 3,0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이들의 실제 비율은 1대 1.2로, 후자가 전자에 비해 20% 큽니다. ​그런데 막대그래프 Y축 시작점을 2,000만원으로 하면 자료가 주는 인상이 달라집니다. B집단의 연평균 소득이 A집단에 비해 두 배는 커 ..

2023. 4. 10. 10:26
놀면서 배우고, 탐색하고, 성장하고

특별 기획 :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전환 시대, 유아의 미디어 놀이 이해하기 ​ written by. 동풀잎 (창원대 유아교육과 교수) ​ 코로나19로 온라인 원격 학습이 활발해지고, 어린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더욱 늘어나면서 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과도한 미디어 노출이 어린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미디어 효과에 대한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유아의 미디어 이용과 놀이를 이해해 볼 수 있는 자리를 준비했다. ​ ​ 우리는 디지털 텍스트, 영상, 음향 등을 통한 유아의 다문식성(multiliteracies)에 주목해야 한다. AI,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나날이 발전하는 미..

2023. 4. 5. 13:47
1 ··· 18 19 20 21 22 23 24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