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뉴스리터러시 책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 기자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신문읽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신문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7)

  • 인공지능(AI)을 다룬 책

    2016.03.23
  • 춘분, 그리고 한국의 24절기

    2016.03.23
  • 내게 꼭 필요한 O2O 서비스

    2016.03.22
  • 취업문만큼 좁은 스펙쌓기의 자격

    2016.03.22
  • 구찌가 중앙일보 1면을 차지한 사연

    2016.03.21
  • 새롭지 않지만 외면해선 안 되는 뉴스

    2016.03.21
인공지능(AI)을 다룬 책

[요약] 이세돌 9단과 구글 ‘알파고(AlphaGo)’의 대국 소식이 연일 화제였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지능정보 사회 플랜’ 연중수립을 예고하며 인공지능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3권의 책과 출간당시 서평 기자들이 작성했던 서평을 소개합니다.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전 세계의 이목이 한 곳에 집중되었습니다. 세계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자회사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소프트웨어 알파고(AlphaGo)의 바둑 대결. 결과는 4대 1로 알파고의 승리였습니다.대결이 끝난 직후, 알파고의 승리에 놀라워하며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지능정보 사회 플랜 수립을 예고하며 인공지능(..

2016. 3. 23. 16:00
춘분, 그리고 한국의 24절기

[요약] 지난 20일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꽃샘바람’이 잠자는 나무를 흔들어 깨운다는 ‘춘분(春分)’이었습니다. ‘춘분’에 대한 소개와 함께 한국의 24절기의 의미와 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지난주 일요일은 ‘춘분(春分)’이었습니다. ‘춘분’은 해가 짧았던 겨울과 달리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춘분’이 되고, 남부 지방에는 벚꽃이 피고 있으니 정말 완연한 봄이 왔다고 느껴집니다. 다양한 준비를 하는 시기, 춘분 ‘춘분’은 양력으로 3월 21일 전후, 음력으로는 2월 무렵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의 24절기 중 개구리를 비롯하여 모든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뜻을 가진 ‘경칩(驚蟄)’과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의미를 지닌 ‘청명(淸明)‘ 사이의 네 번째 절기입니다. 춘분이 ..

2016. 3. 23. 11:30
내게 꼭 필요한 O2O 서비스

[요약]전단지 없이도 주문을 할 수 있고, 택시를 타기 위해 기다릴 필요가 없어진 이유는 'O2O' 서비스 덕분입니다. 'Online To Offline', 온라인을 오프라인 옮겼다는 뜻을 지닌 'O2O' 우리의 일상을 조금 더 편리하게 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불편함을 해결해줄지 살펴보겠습니다. 야심한 시각 출출한 배를 채우기 위해 배달음식을 시키려 하는데 전단지가 없었던 적, 버스와 지하철이 끊겨 택시를 하염없이 기다린 적 있으신가요? 아마 모두 한 번쯤은 겪은 상황일 겁니다. 그러나 이제는 전단지를 찾거나 하염없이 택시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스마트폰에 다운받은 배달앱과 모바일 택시앱을 열고 클릭 한 번만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삶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해 준 바로 이 ..

2016. 3. 22. 17:30
취업문만큼 좁은 스펙쌓기의 자격

[요약] 대학교 졸업식에 가보면 이전만큼 붐비지 않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이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취업`때문 입니다. 졸업생이 되면 취업에 필요한 스펙을 쌓을 기회가 좁아져 취업 준비생들이 졸업 유예를 필수적으로 선택하고 있습니다. 1년 평균 취업을 위해 사용하는 비용이 360만원에 임박한다고 합니다. 최근 이렇게 가열되는 스펙쌓기와 취업 비용을 해결하기 위해 몇몇 대기업들이 `탈스펙`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학교 졸업식에 가보신 적 있으신가요? 학사모를 쓰고 꽃다발을 들고 친구와 가족과 함께 졸업사진을 찍는 풍경이 익숙하시겠지만, 오늘 날 대학 졸업식을 찾는 학생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졸업을 미루는 졸업 유예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교육..

2016. 3. 22. 11:30
구찌가 중앙일보 1면을 차지한 사연

[요약] 지난 3월 9일, 중앙일보 1면에 헤드라인 기사 대신 럭셔리 브랜드 구찌(Gucci)의 새 화보가 실렸습니다. 표지를 포함한 별도 커버지 총 4면에 광고를 실은 새로운 시도였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우리 주변을 환기시켜 준 신문광고들을 소개해드립니다. 신문광고는 5대 매체(TV, 신문, 라디오, 잡지, 온라인)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광고는 1886년 2월 22일 한성주보에 게재된 독일 무역상 ‘세창양행(世昌洋行)’의 광고입니다. 초기 신문광고는 광고할 상품을 글로 소개하는 등 단순한 형태였으나 시대 흐름에 따라 다양한 표현법과 아이디어로 발전해왔습니다. ▲ 한성주보에 실린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광고 (출처 : 신인섭·서범석(1998), 한국광고사) 신문 1면에 ..

2016. 3. 21. 18:30
새롭지 않지만 외면해선 안 되는 뉴스

서울경제신문 디지털미디어부 유병온 기자의 글입니다. 서울경제 ‘썸 신년 기획-이슬 맞고 자는 사람을 생각하다’ 솔직히 말하면 그렇다. 지하철역 후미진 곳 한구석에 몸을 구겨 넣은 노숙인들을 지나칠 때면 두 종류의 불편함을 느낀다. 하나는 시각적 불편함. 자기 옷과 몸을 제때 씻지 못하는 이들이 공공장소의 여러무리에 섞여 아무렇지도 않게 보이는 건 애당초 쉽지 않은 일이다. 다른 하나는 도덕적 불편함. 이들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불편하게 보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뜻하지 않는 죄책감을 불러일으킨다. 노숙인도 사람인데, 처음부터 이들을 다른 시선과 잣대로 바라보는 것은 잘못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날 불편하게 한다. 노숙인에 대한 관심, 그 시작은 이 불편함에서 비롯됐다. 지난 12월 15일 서울 중구청에서 ..

2016. 3. 21. 11:30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