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교육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NIE 기자 책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어린이날 놀이공원대신 기자놀이는 어떨까

    2013.05.03
  • 2013 신문논술대회 참가자는 누구?

    2013.05.02
  • 한 달에 한 번쯤은 달콤한 로그아웃을!

    2013.05.02
  • 사춘기 아이에게 ‘언어폭력’ 더 치명적인 이유

    2013.05.02
  • 현직기자가 전하는 ‘잘 쓴’ 기사의 조건

    2013.04.30
  • 다독다독 블로그만 보면 정답이 짜잔! [신문읽기 퀴즈 1회] ~5/15

    2013.04.30
어린이날 놀이공원대신 기자놀이는 어떨까

아이들에게 어린이날은 어떤 의미일까요? 단순히 부모님께 선물을 받을 수 있는 마냥 행복한 날로만 기억하고 있지 않을까요? 사실 어린이날의 의미를 되새겨 봤을 때, 그 의미는 깊습니다.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받고 바르고 씩씩하게 자라는 것을 고취하기 위해 만든 기념일인데요. 학교폭력이 난무하고 ‘왕따’로 고통 받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요즘, ‘모든 어린이가 차별 없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받고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듭니다. 이번 어린이날에는 단순히 학교에 가지 않고 부모님께 선물을 받는 어린이날이 아니라, 본뜻을 되새길 수 있는 날이 될 수 있도록 아이들에게 ‘어린이날 신문’을 만들어보게 하는 건 어떨까요? [출처-서울신문] ‘어린이날 신문 만들기’는 어린이날의 의미를 되새..

2013. 5. 3. 10:45
2013 신문논술대회 참가자는 누구?

©다독다독

2013. 5. 2. 17:19
한 달에 한 번쯤은 달콤한 로그아웃을!

새로운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그 이전의 삶은 금세 잊어버리기 마련이다.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지하철 역사는 그것이 없이 다녔던 그 위험천만했던 시기를 상상도 하지 못하며, 온 국민이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지금은 전화 한 통 하기 위해 공중전화에 긴 줄을 서 있던 시기를 까마득한 과거로 생각한다. 인터넷도 마찬가지다. 검색어 하나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다 찾을 수 있고, 이메일 한통으로 전 세계 어디든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지금 인터넷이 막 보급되기 시작한 불과 15년 전의 삶은 상상도 할 수 없다. 그렇다. 만약 인터넷이 없는 생활로 돌아가라면 해보지 않아도 당장 떠오르는 불편함이 너무나 많다. 우선 당장 회사에서 일할 수 없을 거다. 회사 인트라넷에도 접속할 수 없어 업무가 마비될 거고..

2013. 5. 2. 14:03
사춘기 아이에게 ‘언어폭력’ 더 치명적인 이유

2012년 8월 서울 송파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숨진 강 모양. 카카오톡을 통해 평소 친구들에게 언어폭력에 시달리던 강 양은 숨지기 20분 전까지도 욕설이 가득 담긴 언어폭력을 당하고 결국 죽음을 택했습니다. 악성 루머로부터 시작된 인터넷상의 언어폭력에 시달리다 자살을 택한 최진실과 그녀의 죽음으로 인한 언어폭력으로 자살한 남편 조성민 사건에 이르기까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언어폭력은 큰 사회문제가 되어 있습니다. 이름 없는 소녀부터 누구나 다 아는 국민 배우에 이르기까지 벗어날 수 없었던 언어폭력의 아픔이죠. EBS 다큐프라임에 의하면 의학적으로 봐도 언어폭력의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뇌에 손상을 입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특히 사춘기 아이들에게 치명적인 보이지 않는 폭력, 언어폭력에 대해 살펴볼게요..

2013. 5. 2. 09:52
현직기자가 전하는 ‘잘 쓴’ 기사의 조건

사적으로나 업무상으로나 우리는 매일 무언가를 쓰며 살고 있습니다. 그만큼 하루에 쏟아져 나오는 글의 양은 실로 어마어마하죠. 그만큼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만큼 매력적인 글을 쓰는 건 어렵습니다. 특히 언론인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어떻게 이겨내는지가 큰 과제인데요. 신문사 논설위원 등 현직 기자 8명이 글쓰기 방법을 전수해 드립니다. 바로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고 이화여대 언론홍보 영상학부가 주최하여 발간한 인데요. 언론인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글쓰기 기본 원칙을 소개하는 강연의 주옥같은 이야기들을 한데 모아 책으로 발간한 것이죠. 에서 기본적으로 글을 잘 쓰려는 방안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지난 시간 살펴봤었습니다. (http://www.dadoc.or...

2013. 4. 30. 14:04
다독다독 블로그만 보면 정답이 짜잔! [신문읽기 퀴즈 1회] ~5/15

2013. 4. 30. 10:35
1 ··· 397 398 399 400 401 402 403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