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공모전 뉴스 언론진흥재단 독서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책 NIE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기자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사진기자들의 삶과 고뇌를 밀착 취재한 '뱅뱅클럽’

    2013.04.22
  •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신문논술대회 소문내기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04.19
  •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 고민하는 당신에게

    2013.04.19
  •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2013.04.19
  •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2013.04.18
  •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04.17
사진기자들의 삶과 고뇌를 밀착 취재한 '뱅뱅클럽’

우리는 오늘도 많은 사진기자들이 촬영한 사진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봅니다. 저 아프리카의 내전, 유럽에서의 테러, 중동 지역의 전쟁을 사진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느끼고 있죠. 이런 사진은 세상을 보는 하나의 창과 같습니다. 사진기자들이 목격한 세상을 우리는 같은 방향으로 목격하고 그 목격을 통해서 세상을 이해합니다. 따라서 그 누구보다 사진기자는 양심적이어야 하며 거짓이 없어야 하며 정치적인 성향에 물들지 말아야 합니다. 사진기자를 동경했습니다. 그 이유는 사진의 힘 때문입니다. 사진 한 장으로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세상의 흐름을 가속화 시키는 촉매제가 되거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를 사진이라는 증명성 강한 매체로 제시하면 우리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고 우리의 편견마저도 바꾸게 합니다. 이런 사진들은..

2013. 4. 22. 10:22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신문논술대회 소문내기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13. 4. 19. 18:09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 고민하는 당신에게

평균 수명 90세를 바라보는 시대입니다. 2040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89.38세. 인류가 그토록 고대하던 수명연장의 꿈이 현실이 되었지만 사실 90세 턱 아래까지 치 닿은 긴 시간을 산다는 것이 그리 기쁘고 흥겨운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넉넉잡고 65세에 은퇴를 한다 해도 25년의 세월이 남아있는데 이 길고 무성한 세월이 누군가에겐 축복이, 또 다른 누군가에겐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수명은 늘었으나 노동생명은 오히려 단축되었으니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힘겨운 노후를 보내게 될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그런데 노후를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비단 경제력뿐 만이 아닙니다. 건강, 친구, 취미생활, 점점 노쇠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준비까지, 실로 많은 준비가 필요한 ‘일생일대의 프로..

2013. 4. 19. 14:21
53년 전 신문기사로 본 오늘 (4.19)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아마 모든 분들이 알고 계실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와 2조입니다. 그렇다면 그 헌법 전문에서도 인정하는 우리나라의 두 뿌리가 되는 역사적 사건을 아시나요? 바로 3.1 운동과 4.19 혁명입니다.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적혀있죠. 오늘은 바로 대한민국의 뿌리가 되는 4.19혁명 53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뜻 깊은 날에 당시부터 지금까지 신문 기사들은 4.19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4.19 혁명이 일어난 배경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국민들의 기대와는 달리 안타깝게도 1848..

2013. 4. 19. 09:43
생각의 전환 ‘라면샌드위치’ 가능하려면?

‘라면샌드위치’를 아시나요?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샌드위치는 고소한 식빵 사이에 다양한 채소와 햄, 치즈가 들어간 형태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라면샌드위치’는 이런 고정관념을 깨고 라면 사이에 치즈와 햄을 끼워 만들었습니다. 이 ‘라면샌드위치’는 오늘 우리가 생각해볼 ‘강제결합법’의 적절한 예시로 볼 수 있는데요. 서로 상관없는 아이디어나 물건들을 결합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물건을 재생산해내는 활동이 바로 ‘강제결합법’입니다. 이러한 ‘강제결합법’이 아이의 창의력 키우기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사실! 오늘은 신문을 활용한 ‘강제결합법’ NIE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라면햄 샌드위치, 레시피 봤더니.. ‘식빵 없을 때 대박상품’ (서울신문,2013-04-15) ▲라면샌드위치 [출처-..

2013. 4. 18. 09:56
다독다독 대학생 서포터즈 합격자 발표

2013. 4. 17. 14:48
1 ··· 400 401 402 403 404 405 406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