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NIE 공모전 미디어 다독다독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언론진흥재단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신문 책 신문읽기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강남스타일? K릿스타일! 세계 속 한국문학

    2012.09.28
  • 재수생 딸이 엄마의 독립을 도운 이유는

    2012.09.27
  • 소돔120일로 보는 금서와 불온도서의 역사

    2012.09.27
  • 민규동 감독이 말하는 내 영화의 힘

    2012.09.25
  • 한 대학생의 신문 스크랩북 들여다보니

    2012.09.25
  • 조선시대 왕들의 특별한 공부법 살펴보니

    2012.09.24
강남스타일? K릿스타일! 세계 속 한국문학

지금 세계는 그야말로 ‘강남스타일’ 열풍입니다. 유튜브 조회수는 이미 2억뷰를 넘겼고,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를 하고 있지요. 아이튠즈 차트에 그치지 않고 미국 빌보드 2위뿐 아니라 영국 차트에도 정상에 올랐습니다. 비틀즈의 나라 영국에서 거둔 쾌거 이지요. 이대로 1위까지 찍었으면 좋겠네요. 하지만 싸이보다 반 년 먼저 영국 차트에 오른 또 한 사람의 한국인이 있습니다. 바로 ‘엄마를 부탁해’의 신경숙 작가입니다. ‘Korea’의 첫 글자 K와 문학을 뜻하는 영어 줄임말 ‘Lit(Literature)’를 합한 'K릿'이란 신조어까지 만들어낸 세계 속 한국문학 한번 살펴볼까요? [출처-서울신문] 한국문학의 힘! 세계는 ‘엄마를 부탁해’ 열풍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의 영어판은 지난..

2012. 9. 28. 10:23
재수생 딸이 엄마의 독립을 도운 이유는

지난해 가을 엄마가 암 수술을 받았다. 엄마가 암 선고를 받았을 때, 난 전국을 여행하고 있었다. 아버지가 귀띔을 해 준 후에야 엄마 몸속에 암 덩어리가 자라고 있음을 알았다. 엄마는 항상 본인의 삶과 내 삶을 일치시키려 했다. 19살 겨울 나는 재수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엄마는 공부를 하려면 서울로 가야 한다고 했다. 아무것도 모른 채 서울행 기차를 탔다. 그렇게 양 팔이 다 벌려지지도 않는 지하 고시원에서 서울 생활이 시작됐다. 시험이 끝난 후에야 엄마는 진심을 털어놨다. 자신이 대학을 못 갔기 때문에 나는 성공시키고 싶었다고. 엄마는 나를 통해 배움의 욕구를 충족했다. 내가 사고 싶다는 책은 묻지도 않고 사 주셨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내 공부일 뿐 아무리 해도 엄마의 욕구를 채우진 못했다. 그래서일..

2012. 9. 27. 13:30
소돔120일로 보는 금서와 불온도서의 역사

최근 책과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 큰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다름 아닌 ‘소돔의 120일’이란 책 때문인데요. ‘사디즘’이란 용어를 낳은 프랑스 작가 마르키 드 사드의 ‘소돔의 120일’이 우리나라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간행물윤리위원회에 의해 즉시 수거, 폐기 처분 결정이 내려졌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19세 미만 금지’ 처분을 넘어 성인을 포함해 모든 독자가 조차 읽을 수 없도록 즉시 수거, 폐기 처분 결정을 내린 것은 이례적입니다. 더군다나 ‘소돔의 120일’은 1785년에 처음 발표가 된, 나온 지 200년도 넘은 책인데다, 옥스퍼드 대학이 선정한 인문사상 추천 100선에 드는 작품입니다. 이런 조치는 프랑스 통신사 AFP를 타고 전세계로 알려졌습니다. ▲사드가 감옥 안에서 집필..

2012. 9. 27. 10:29
민규동 감독이 말하는 내 영화의 힘

이번 리더스 콘서트에서는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을 탄생시킨 민규동 감독님의 강연을 듣고 왔습니다. 영상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영화감독이지만 민규동 감독은 스스로를 활자세대 영화감독이라고 말하는데요. 활자세대 영화감독이 뜻하는 바가 뭔지, 영화감독이 어떻게 됐는지 민규동 감독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함께 들어보실까요. 민규동 감독 프로필 한국영화아카데미 13기 졸업, 프랑스 파리 8대학 영화과 실기 석사 수료함. 연출한 영화로는 , , , 등이 있음 민규동 감독은 학창시절 글쓰기를 좋아하지는 않았다고 해요. 그런데 수업시간에 한 친구의 시를 듣고 굉장한 충격을 받은 뒤로 글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고 합니다. 자신을 빗방울의 관점에서 표현한 친구의 시를 듣고 자신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는 생각에 ..

2012. 9. 25. 13:56
한 대학생의 신문 스크랩북 들여다보니

취업 경쟁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자신이 돋보일 수 있을까요? 많은 학생들이 이 부분을 고민하며 다양한 방법을 시도합니다. 어학연수를 떠나기도 하고, 다양한 대외활동을 하기도 하고, 각종 공모전에 도전하기도 하죠. 남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경쟁력’을 보여주기 위해서죠. 그 가운데 신문을 이용한 공부를 통해 자기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많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신문활용교육(NIE)을 하고 있지만, 대학생들이 어떻게 신문을 활용하는지는 알기 쉽지 않은데요. ‘자기경영, 신문읽기와 경쟁력’이라는 제목으로 세명대학교 경상학부 학술제 발제자로 나선 경영전공 2학년 김은하 학생은 어떻게 신문으로 공부하고 경쟁력을 높였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김은하 학생의 신문 스크랩 예시 신문스크랩으로 성적과 상식,..

2012. 9. 25. 10:10
조선시대 왕들의 특별한 공부법 살펴보니

오랫동안 ‘조선’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참으로 대조적이었습니다. 역사적 지식이 부족한 탓이겠지만 개인적으로 조선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두 가지였지요. 하나는 ‘폐쇄적이며 불평등한데다가 당파싸움마저 일삼던 부패한 나라’라는 밑바탕이었고, 다른 하나는 ‘세종, 정조, 성종 등의 성군을 배출한 왕의 나라’라는 자부심이었어요. 제 머릿속에 자리 잡은 이미지의 간극을 어떻게 메우면 좋을까요? 그러던 중 우연한 기회에 조선왕가의 공부법에 관한 자료를 읽게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학창시절 구구단처럼 외던 ‘태종태세문단세……’로 이어지는 조선 오백년 집권 왕가의 교육비법인 셈이지요. 그것을 접하며 역사에 대한 무지와 조선에 대한 오해로 인해 놀라움과 미안함이 불쑥 찾아왔습니다. [출처-서울신문] 조선은 1392년 건국하여..

2012. 9. 24. 09:37
1 ··· 429 430 431 432 433 434 435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