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이벤트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교육 독서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뉴스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북칼럼니스트가 추천하는 글 잘 쓰는 세가지 방법

    2012.07.06
  • 내가 매일 '진짜 작가'를 꿈꾸는 이유

    2012.07.06
  • '대학내일' 팀장이 20대에게 말하는 창의적 인재란?

    2012.07.05
  • 작가가 주인공인 소설, 작품 속 작가의 모습은?

    2012.07.05
  • 2011년 프랑스인이 가장 많이 읽은 신문은?

    2012.07.04
  • 면접날 할아버지가 쥐어준 신문기사

    2012.07.04
북칼럼니스트가 추천하는 글 잘 쓰는 세가지 방법

옛 성현들께서 말씀하시기를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다독, 다작, 다상량(多讀, 多作, 多商量) 하라고 했습니다. ‘많이 읽고, 많이 써보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틀린 말이 절대 아니죠. 읽는 것은 글을 어떻게 쓰는 것인지 간접 체험과 함께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축적해 나가는 일입니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선수라면 누구라도 남몰래 흘린 피와 땀, 남다른 훈련이 숨어있듯 글을 잘 쓰는 사람도 남다른 훈련이 숨어있습니다. 부지런히 글을 써보는 일입니다. 많이 생각하라는 말은 여러 의미로 해석이 되겠지만 일단은 머릿속의 지식을 정돈하는 것과 서로 연결시키기, 자신의 생각(철학이나 신념)을 논리적으로 정리, 전개시키는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글을 잘 쓰는 ..

2012. 7. 6. 14:13
내가 매일 '진짜 작가'를 꿈꾸는 이유

저는 꽤나 기특하게도 아주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즐겨했습니다. 나를 포함한 형제자매가 넷. 밥벌이에 쉼 없이 바쁜 부모님은 그 빈자리를 조금이나마 채워주기 위한 방편으로 무슨무슨 전집 같은 것들을 많이 사주셨는데 아마 그때부터 독서가 제 인생에 가장 큰 조각이 되었던 것 같네요. 초등학생이 읽기에는 다소 난해한 동양문학전집이며 서양문학전집 따위를 의미도 모른 채 읽고 또 읽으며 시간을 때웠지요.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단연 . 그 안에서 자유와 일탈, 세상에 대한 풍자와 해학 등을 깨달은 것은 당연히 아니었고 세상에 뭐 이렇게 해괴망측하고 재미없는 소설이 다 있나 하는 마음으로 읽었던 기억이 생생하거든요. 물론 조금 철이 들고 난 후 만난 돈키호테는 닿을 수 없는 꿈에 손을 뻗는 자체로 이미 위대했지만..

2012. 7. 6. 11:02
'대학내일' 팀장이 20대에게 말하는 창의적 인재란?

요즘만큼 창의성을 강조하는 시대도 없습니다. 특히 대학 졸업을 앞둔 취업 준비생들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이란 무엇인가 늘 고민하고 있는데요. 스펙 쌓기에 몰두하느라 시간에 쫓겨 사는 이런 대학생들에게 오히려 해답은 책 속에 있다고 말한 ‘현직 마케팅 팀장’이 있습니다. 바로 의 정은우 팀장님입니다. 빡빡한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연간 100여 권의 책을 읽는 독서광 정은우 팀장님이 사회와 인생 선배로서 졸업을 앞둔 후배들에게 험난한 취업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무기, ‘창의적 인재상’에 함께 이야기 나눠볼게요.^^ Q. 만나 뵙게 돼서 영광입니다. 다독다독 독자들을 위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요. A.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마케팅1팀에서 일하고 있는 정은우라고 합니다. 건축학과를 졸업했고 ..

2012. 7. 5. 10:51
작가가 주인공인 소설, 작품 속 작가의 모습은?

“너희의 젊음이 노력해서 얻은 상이 아니듯, 나의 늙음도 잘못으로 받은 벌이 아니다.” -PLAY CGV '상반기 영화, 웃고울린 명장면·명대사 10' -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체인인 CGV는 한 언론을 인용하며 2012년 상반기 명대사 중 하나로 위와 같이 영화 ‘은교’의 대사를 꼽았습니다. 극중 제자의 시상식에서 시인 이적요가 제자의 수상을 축하하면서 인용한 문구인데요. 요즘 책을 원작으로 한 영화, 스크린셀러가 늘어나고 있죠? 그중에서도 ‘은교’처럼 책 속 주인공으로 작가가 직접 등장하는 작품이 눈에 띕니다. 과연 대 시인 이적요는 어째서 제자를 축하하는 자리에 이런 적적한 말을 남겼을까요? 작가들이 써 내린 작품 속의 작가, 함께 살펴봐요.^^ [출처-네이버 영화] 작가도 욕망한다 – 은교, 박범..

2012. 7. 5. 09:34
2011년 프랑스인이 가장 많이 읽은 신문은?

2011년 프랑스 인쇄매체산업 결산이 발표되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에서는 여러 산업 분야의 전년도 실적이나 총결산 내역이 3월이나 4월경에 공개되는데, 인쇄매체 분야에 대한 결산 역시 최근 두 전문기관을 통해 발표되었다. 첫 번째는 신문사 편집인이 주축이 된 기관인 Audipresse가 실시한 신문 독자에 관한 조사이고, 두 번째는 신문 발행을 인증하는 기관인 OJD의 인쇄 매체 발행부수 조사이다. 매일 신문 읽는 프랑스인이 43% 2011년 한 해 동안 약 3만 6,000명의 프랑스인을 대상으로 여론조사기관인 Ipsos, TNS-Sofres가 실시한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신문 구독자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Audipresse에 따르면, 매일 약 43%의 프랑스인이 일간지를 읽고, 약 53%의 프랑스인이 ..

2012. 7. 4. 13:44
면접날 할아버지가 쥐어준 신문기사

꼬깃꼬깃 접어서 주머니에 넣었다. 할아버지께서 읽어 보라고 오려 주신 신문 기사다. 봉사활동 면접날이었다. 아침 일찍 길을 나섰다. 할아버지께 감사하다는 인사도 제대로 못 드렸다. 나이를 먹을수록 표현만 서툴러지는 손자다. 주머니에 넣었던 신문 기사를 다시 꺼냈다. 면접 팁을 다룬 짤막한 기사였다. 새벽부터 언제 또 이런 걸 하셨는지 모르겠다. 괜히 마음 한 구석이 저려 왔다. 할아버지 댁 안방에는 낡디낡은 화장대가 하나 있다. 화장대 위에는 세월의 묵직함만큼 지난 신문들이 쌓여 있다. 할아버지께서는 그날의 시작을 언제나 신문과 함께하셨다. 안방 마루에서 신문을 활짝 펴놓으시고, 빛바랜 갈색 안경으로 꼼꼼히도 읽으시던 모습이 아련히 생각난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글자를 읽던 손자를 무릎에 앉히고, 신문을..

2012. 7. 4. 09:23
1 ··· 447 448 449 450 451 452 453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