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이벤트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기자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영어 고민, 책으로 고수들의 공부법을 훔쳐라

    2012.06.22
  •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책읽기란 어떤 것일까?

    2012.06.22
  • 웹툰 1화-신문 스크랩이 학교 숙제예요!

    2012.06.21
  • 서울국제도서전 '저자와의 대화' 다녀와보니

    2012.06.21
  • 신문활용교육의 효과와 만족도 살펴보니

    2012.06.21
  • 영화 부러진 화살, 신문과 봐야하는 이유

    2012.06.21
영어 고민, 책으로 고수들의 공부법을 훔쳐라

알다시피 대한민국의 ‘영어사랑’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된 영어공부는 중고등학교 학창시절을 지나고 대학에 진학하고 사회에 나가서까지도 우리의 발목을 붙들고 놓아줄 생각을 안 하지요. 요즘은 영어유치원, 영어로 배우는 태권도나 영어체험학습, 영어골프연수, 영어커피숍까지 성황이죠. 하여튼 대한민국이라는 땅에서 ‘영어’가 포함된 모든 메뉴는 사시사철 호황인 것 같네요. 영어는 언제부턴가 이 땅의 새로운 권력이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영어양극화 현상 역시 매우 심각한 수준이지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현재 우리나라의 영어 사교육 시장은 몸집이 비대해져 연간 10조 원까지 불어났다고 합니다. 이는 전체 사교육비의 약 33%를 차지하는 수준이기도 하고요. 오늘날 한국인에게 있어서 영어는 ..

2012. 6. 22. 11:17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책읽기란 어떤 것일까?

새해가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반년이 지나 방학이 찾아왔습니다. ‘여름’하면 떠오르는 여러 시원한 이미지들을 뒤로 한 채 여러분은 높은 영어성적, 점수 채우기 식의 봉사, 다양한 자격증 등 빠르게 성과를 보일 수 있는 일들만을 찾고 있지는 않으신지요? 많은 20대들의 공감을 받는 소설가 이외수님의 책 ‘장외인간’을 보면 ‘예전에는 책을 읽지 않으면 대학생 취급을 받기 힘들었다. 그러나 지금의 대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아도 대학생 대접을 받는다. (생략) 밤이 깊었다. 나는 잠이 오지 않는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외수님의 말처럼 지금의 대학생들은 책 읽기를 그다지 즐기지 않는 것 같아요. 대학생들이 많은 질타를 받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여러분, 도대체 우리는 왜! 책을 읽지 않는 걸까요? 도대체 왜..

2012. 6. 22. 10:28
웹툰 1화-신문 스크랩이 학교 숙제예요!

©다독다독

2012. 6. 21. 14:47
서울국제도서전 '저자와의 대화' 다녀와보니

2012 서울국제도서전이 열린 첫 날인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는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요. 이중에서도 작가의 작품세계와 문학적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저자와의 대화’라는 프로그램이 유독 많은 이의 시선을 붙잡았습니다. 쉽게 만날 수 없었던 두 작가와 40 명 안팎의 소수 인원만 함께 할 수 있었던 생생한 현장을 가족 여러분께 소개할게요. 첫 번째 시간은 라는 작품의 저자인 정호승 작가와 함께 시작했습니다. 서글서글한 인상에서 뿜어져 나오는 특유의 재치 있는 입담은 더위도 잊게 했는데요. 정호승 작가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모두의 기억에 각인될 가치 있는 이야기를 속속들이 전해줬습니다. 강연을 들으며 정호승 작가의 인생사와 문학적 세계관을 들여다 볼 수 있었는데요. 정호승 작가의 생생한 이야기 전..

2012. 6. 21. 13:37
신문활용교육의 효과와 만족도 살펴보니

신문활용 교육(NIE)이란 'Newspaper In Education'의 머릿글자로 신문활용교육을 뜻합니다. 가정과 학교에서 신문에 나와 있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죠. 전국 신문활용 교육(NIE) 거점학교 44개의 2,424명에게 신문활용 교육(NIE)에 대한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했습니다. 오늘 인포그래픽을 통해 학생들이 신문활용 교육(NIE)을 받기 전과 받은 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함께 살펴봐요~ ©다독다독

2012. 6. 21. 11:53
영화 부러진 화살, 신문과 봐야하는 이유

이 세상엔 현실을 반영한 영화들이 많습니다. 일명 ‘사회 고발영화’라고도 하지요. 화제와 논란이 됐던 사건들을 영화로 재조명하고, 영화의 시각에서 풀어가는 장르인데요. 이러한 영화 속 사건은 어디서 소재를 찾아낸 걸까요? 가족여러분도 짐작하셨듯 그건 바로 ! ‘신문’ 이예요. 신문은 사회를 비추는 창으로, 사회에 일어났던 주요 사건을 상세하게 보도하고, 활자로 기록하는 매체이지요. 우리가 신문에서 봤던 사건이 스크린에 펼쳐지는 만큼 영화에 대한 기대도 더 크겠죠? 사회 고발영화는 논쟁이 진행 중인 사건을 소재로 할 수 있어 영화적 연출과 신문 속 실제 사건을 잘 비교하면서 객관적 시각을 갖고 영화를 즐겨야 더 재미있어요. 그럼 최근 화제작으로 많은 흥행을 했던 사회 고발영화 을 신문으로 어떻게 200% ..

2012. 6. 21. 10:20
1 ··· 450 451 452 453 454 455 456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