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미디어 미디어교육 NIE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신문 독서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6)

  • 감정이 메마른 여인, 책 한 권에 눈물 지은 사연

    2012.01.03
  • 2011년을 되돌아 본 미디어 환경의 변화

    2012.01.02
  • 다독다독 블로그 · 트위터 1년을 마무리하며

    2011.12.30
  • 외국으로 간 교환학생이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푸는 방법

    2011.12.29
  • 겨울방학, 학원보다는 독서 어떠세요?

    2011.12.28
  • 다양하게 책을 읽어보는 7가지 방법

    2011.12.27
감정이 메마른 여인, 책 한 권에 눈물 지은 사연

스무살 시절엔 장르를 가리지 않고 많은 책을 읽었습니다. 그 시절엔 에세이도 좋았고, 시도 좋았습니다. 여자들은 읽지 않는다는 무협지도 밤을 새워가며 읽을 정도로 그 흡입력은 대단했죠. 물론 실화소설은 더 말할 필요 없이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 넣었구요. 나이가 들고 결혼을 해 아이 키우랴, 직장생활 하랴, 가사일 하랴. 거기에 어른들 병간호에 눈코뜰새 없이 바쁜 시간 속에서 책을 읽는다는 건 사치로만 느껴질 지경이었습니다. 고작해야 아이들 동화책 읽어주는 걸로 만족해야 했죠. 가을이면 마음의 양식이라며 책 읽기를 권하는 방송을 보며 이제는 그 역시 나와는 거리가 먼 세상. 다른 나라 이야기려니 하며,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 버리기 일쑤였습니다. 바쁜 생활만큼 마음은 피폐해져 가고 있었죠. 그래서일까..

2012. 1. 3. 09:07
2011년을 되돌아 본 미디어 환경의 변화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행태 및 인식 변화를 조사하는 의 2011년도 결과를 담은 보고서가 12월에 발간되었다. 본 조사는 1984년부터 현재까지 총 16회 실시되었으며 2010년부터 격년 실시에서 매년 실시로 그 주기를 변경,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도를 반영하고자 했다. 2011년 조사의 특성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지난 달 발표한 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신문 이용과 관련한 개념 및 측정방법 등에 있어 일관성 있는 데이터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문뿐 아니라 다른 미디어의 경우에도 회상시기 등을 일괄적으로 적용, 미디어 간 비교 및 향후 시계열적 분석에도 용이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2012. 1. 2. 09:12
다독다독 블로그 · 트위터 1년을 마무리하며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4월 7일 신문의 날을 맞이하여, 다양한 신문산업 진흥 활동과 읽기 문화 전파에 관한 소식을 전하고자 블로그/트위터 을 오픈했습니다. 불과 9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았고, 또 신문과 읽기문화에 대한 양질의 콘텐츠를 쌓아 왔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다독다독은 블로그를 통해 신문과 언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읽기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자 노력했는데요. 올 한 해를 마무리하며 지난 4월부터 12월까지 소개된 포스트 중 가장 큰 사랑을 받았던 베스트 포스트를 뽑아보았습니다. 하나하나 되새겨 보며, 여러분들의 소중한 댓글들도 다시 읽어보니 감회가 새로운데요. 자, 그럼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요? 종류별로 모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명사들이 추천했던 신문 읽기 우리 사..

2011. 12. 30. 11:05
외국으로 간 교환학생이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푸는 방법

까마득한 창공에 별들만이 뚜렷이 빛나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 한 학기 차 고단한 대한민국 교환학생의 도서관 폐관시간에 맞춘 하굣길이다. 찰스 램(C. Lamb)은 그의 편지 글 중 ‘감상에 젖는 일보다 중요한 할 일이 너무 많다.’라고 썼지만, 젊은이로서 만끽하고 싶은 타지에서의 고독과 나름의 뿌듯함, 존재에 대한 의문 등을 돌아볼 매일 밤 하굣길의 시간만은 양보해 둔다. 하지만 그날 하루만큼은 기숙사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했다. 몇 주전 부모님께 부탁 드린 최고의 반찬인 김부각과 옷가지가 도착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방에 도착 후 황급히 뜯은 소포 속에는 한글 신문이 몇 장 덮여 있었다. 옷가지 보호 차원에서 덮힌 상자 위아래의 아직은 빳빳한 신문지들을 차례로 책상에 펴놓고 김부각 하나를 뜯었다. 그리..

2011. 12. 29. 10:12
겨울방학, 학원보다는 독서 어떠세요?

학업을 잠시 멈추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겨울방학. 하지만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면 두 달 남짓한 시간을 헛되이 보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독서. 독서는 독해력과 배경지식을 키우고 심리적 안정감을 더해줍니다. 요즘은 책을 얼마나 많이 읽었는가 하는 ‘독서기록’도 대입에 반영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어떻게 독서를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해 방학기간을 활용한 독서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방학에는, 도서관으로 가자 겨울방학이 되면 전국의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그 중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에서는 벌써 10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사서와 함께하는 독서여행’ 프..

2011. 12. 28. 09:06
다양하게 책을 읽어보는 7가지 방법

책을 읽는 것은 사람을 만나는 것과 같습니다. 표지가 멋지다고 내용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책 앞부분만 읽고는 그 책을 다 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처음 읽어도 싫증이 나는 책이 있고, 볼 때마다 깨달음을 주며 깊이가 느껴지는 책이 있습니다. 어떤 책은 쉽게 휙 읽고 지나치게 되는 반면, 어떤 책은 내용이 좋아 한번 읽고 덮어버리기엔 너무 아깝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모두가 베스트셀러를 원하지 않기도 하며, 잘 알려지지 않은 책이 자신의 마음을 뺏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책을 늘 가까이하고, 누군가는 책 읽기를 싫어합니다. 어떤 책은 읽는 이의 인생을 바꾸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읽을거리가 매우 적었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SNS가 활발해지면서 읽을 게 많아졌습니다. 신문도 쉽게 볼 수 있고 친구들이 무슨..

2011. 12. 27. 09:04
1 ··· 472 473 474 475 476 477 478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