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미디어 NIE 스마트폰 뉴스 신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독서 책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20)

  • 이론과 실천의 조화: 교사 연구자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여정

    2025.03.26
  • AI로 그려보는 청소년들의 음악과 희망 이야기

    2025.03.19
  • 디지털 교육 환경 속, 위기의 교실을 구하라

    2025.03.12
  • 프랑스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도전 과제

    2025.03.05
  • 카타르시스를 주는 '가짜'를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2025.02.26
  • AI는 정말 전 세계 선거에 영향을 주었는가?

    2025.02.19
이론과 실천의 조화: 교사 연구자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여정

|글. 김세진 (인천 신정초등학교 교사)|국내 최초 미디어교육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에 기여한 교육자를 발굴하여 노고를 격려하는 동시에 우수 교육사례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공로를 포상하기 위하여 2024년 을 주최했다. 총 7명의 수상자 가운데 교육부장관상의 영예를 안은 김세진 인천 신정초등학교 교사의 수상 후기를 함께 들어본다.​​교사이자 연구자로서 새로운 여정의 시작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일상이던 그 시절, 여느 때처럼 화면 앞에서 수업하던 어느 날 문득 아이들의 표정이 눈에 들어왔다. 연결된 듯하지만, 어딘가 끊어진 듯한 희미한 표정들. 화면 속 아이들과 나의 모습은 물리적으로 가까워 보였지만, 심리적으로는 너무나 멀게 느껴졌다. 그 거리감을 깨달은 그 ..

2025. 3. 26. 10:00
AI로 그려보는 청소년들의 음악과 희망 이야기

|글. 김현 (EBS PD, 생성형 AI 교육자)|제법 바람이 선선해진 가을날,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축제가 열렸다.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개최한 ‘2024 학교 밖 청소년 Y.E.S! 꿈드림 축제’에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참여했다. 청소년들이 창작의 영감과 잠재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된 가운데, 두 기관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노래 창작 교실’을 운영했다. 흥미로운 수업 진행 사례와 뒷 이야기를 들어본다. ​ 2024년 10월 4일과 5일,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특별한 축제가 열렸다. 가을바람이 선선하게 부는 가운데 청소년들의 열정은 더욱 뜨겁게 타올랐고, 수련원은 그들의 활..

2025. 3. 19. 10:00
디지털 교육 환경 속, 위기의 교실을 구하라

|글. 주민정 (진산중학교 교사)|​한국언론진흥재단은 급격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학교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알아보고,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리 119 위기의 수업을 미리(미디어 리터러시) 구하라!’라는 주제로 토의형 교사 연수를 마련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 달라진 교실 환경에서 달라진 학생들과 함께 수업해 나가는 교사들은 어떤 고민이 있을까? 이러한 위기를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인지를 두고 전국에서 모인 15명의 초·중·고 교급의 교사가 열띤 토의를 펼쳤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가 오고갔던 뜨거운 연수 현장을 소개한다.​ 지난 11월 9일, 15명의 초·중·고 교사는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를 함께 심층 진..

2025. 3. 12. 10:00
프랑스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도전 과제

|글.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프랑스는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국가적 차원에서 공감하여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모범적 국가로 알려져 있다. 그 중심에는 미디어 전담 교육기구인 ‘끌레미’가 있다. 지난 2017년도부터 끌레미의 수장으로 재임하며 7년째 기관을 이끌고 있는 세르쥬 바르베 원장을 직접 만나서 오늘날 프랑스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끌레미의 역할과 방향성을 들어보았다. 이를 통해 프랑스 사회에서 미디어 교육이 확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었던 배경을 이해하고, 보편적인 미디어 교육을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기회가 될 것이다. 프랑스의 미디어 교육 전담 기구인 ‘끌레미(CLEMI, Cen..

2025. 3. 5. 10:00
카타르시스를 주는 '가짜'를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글. 박수진 (SBS 탐사보도부 기자)|2024년을 뜨겁게 달군 슈퍼 선거 가운데서도 단연 화제의 중심은 미국 대통령 선거였다. 지난 1월 후보 경선부터 11월 본 선거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치열한 선거 운동 레이스에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이 과정에서 진위를 알 수 없는 딥페이크 사진과 영상물이 생성되어 선거판을 어지럽혔다. 언론과 미디어 전문가들은 AI 허위정보의 유포에 대해 심각히 우려했으나, 과연 실제 유권자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미국 현지에서 유권자들을 만나 직접 딥페이크 허위정보에 관한 생각을 묻고, 이를 검증하는 전문 단체를 만나 대응 방안을 들어보았다.​희미해진 진짜와 가짜의 경계 그는 유명 인사다. 만약 당신이 뉴욕 맨해튼에 있는 트럼프 타워를 방문한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

2025. 2. 26. 10:00
AI는 정말 전 세계 선거에 영향을 주었는가?

|글. 오연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공지능정책본부 수석연구원)​|올 한 해 선거를 치른 세계 각국의 소셜미디어는 AI가 만들어낸 각종 허위조작정보로 몸살을 앓았다. 언론은 가짜뉴스를 구분하느라 진땀을 뺐다. 이 시점에서 지난 선거를 돌아보며 문득 떠오르는 질문이 있다. 우리의 걱정대로 과연 AI는 전 세계 선거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쳤을까? 선거의 어떤 부분에 개입하여 얼마나 위협적인 영향을 주었을까? 영국 앨런튜링연구소가 같은 고민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두 개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슈퍼 선거의 해, AI의 선거 개입은 실제 어느 정도였는지 함께 확인해 보자.​ 11월 5일 열린 미국 대선을 끝으로 2024년 예정된 전 세계 주요 선거가 마무리되었다. 2024년은 70여 개국에서 전 세계 인구 절반 이상..

2025. 2. 19. 10:00
1 ··· 7 8 9 10 11 12 13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