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신문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공모전 책 스마트폰 독서 언론진흥재단 기자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성균관대학교 ‘미디어 글쓰기’ 강의로 알아보는 오늘날 대학에서의 미디어 교육

    2016.12.20
  • 대학생 미디어 교육의 오늘을 한국외국어대학교 <뉴스 다이어리> 수업을 통해 알아보다

    2016.12.19
  • 정치·자본에서 자유로운 ‘작지만 바른 언론’

    2016.12.19
  •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2주차)

    2016.12.16
  •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 인성교육 사례발표회

    2016.12.16
  • 생활 속 미소지니

    2016.12.15
성균관대학교 ‘미디어 글쓰기’ 강의로 알아보는 오늘날 대학에서의 미디어 교육

2016 다독다독 기자단 2팀 윤상아, 서현정 [요약] 다독다독 기자단은 팀 미션으로 대학 미디어 교육 현장을 취재하였습니다. 2조는 성균과대학교의 ‘미디어 글쓰기’ 수업을 듣고, 교수님을 만나보았습니다. 미디어의 발달이 급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 발맞춰 여러 대학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역시 대학 미디어 교육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에서는 '미디어 글쓰기'라는 강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성균관대학교를 찾아가 미디어 글쓰기 강의에 참여해보았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와 미디어 글쓰기의 이해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에 접근하여 메시지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성균관대학교의 미디..

2016. 12. 20. 11:00
대학생 미디어 교육의 오늘을 한국외국어대학교 <뉴스 다이어리> 수업을 통해 알아보다

2016 다독다독기자단 1조 김우주, 양정환, 황다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 미디어는 더 이상 낯선 존재가 아닙니다. 기존의 신문과 뉴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콘텐츠와 카드뉴스 등 무궁무진한 형태와 내용으로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홍수에 빠져든 지도 벌써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 ‘우리가 제대로 미디어를 활용하며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미디어를 많이 접하는 대학생들 대상의 미디어교육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이 취재를 통해 저희 1조는 현재의 미디어교육이 ‘우리가 제대로 미디어를 활용하며 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해주기를 기대했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수업은 어떻게 미디어교육을 하고 있는가? 저희가 취재를 위해 찾아간 곳은 한국..

2016. 12. 19. 17:00
정치·자본에서 자유로운 ‘작지만 바른 언론’

[요약] 기존 언론사의 운영 방식에서 탈피해 새로운 모델을 가지고 언론계에 신성한 바람을 일으키는 신생 언론사들의 활약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매출 양대 축 중 하나인 광고를 과감히 거부하고 뜻을 함께하는 시민들의 후원 등을 통해 ‘작지만 올곧은’ 언론사를 만드는 이들을 소개합니다. #비영리 언론, 기성 언론의 대항마 최근 두각을 나타내는 비영리 언론으로는 뉴스타파, 팩트올 등을 꼽을 수 있다. 뉴스타파는 지난 2012년 1월 한국 언론의 고질적인 병폐인 정파주의와 상업주의를 배격하고 진실 규명을 위한 탐사 저널리즘 구현을 목표로 탄생했다. 탐사 저널리즘을 무기로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한편 특권과 반칙, 차별 등을 들춰내고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게 뉴스타파의 설립 목적이..

2016. 12. 19. 12:00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2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2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위대한 일들은 갑작스럽게 나타나지 않고 작은 일들이 계속 모여서 이루어진다. 최연욱『반 고흐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32가지』중에서 논쟁하려면 성질을 죽여라. 네가 조금이라도 논리적이라면 그 논리는 자연스레 드러날 것이다. 조셉 파렐(Joseph Farrell)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지식에는 한계가 있지만 상상력은 세상을 감싼다.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그저 우리가 가진 것에 만족하라.자기보다 더 나아보이는 사람을 보며 괴로움을 느낀다면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세네카의 화 다스리기』중에서 역경은 지나가는 바람에 불과합니다.그 바람에 꺾..

2016. 12. 16. 17:00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 인성교육 사례발표회

장두원&윤상아, 2016년 다독다독기자단 [요약] 교육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활성화 업무협약 기관’인 한국신문협회는 진로교육법과 인성교육법 시행에 맞춰 지난 11월 8일 화요일 ‘신문으로 만나는 진로·인성교육 사례발표회’를 개최했습니다. 전문교사의 교수경험을 공유하고 수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된 이번 발표회에는 초・중・고등학교의 많은 선생님들이 참석했습니다. ▲강의를 듣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의 모습 지식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다양한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 수많은 매체를 접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합니다. 그 중 특히, 신문 매체는 ‘세상을 보는 창(窓)’이라 불릴 만큼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여론을 형성해 사회..

2016. 12. 16. 16:00
생활 속 미소지니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여성과 남성의 권리 및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는 페미니즘 운동이 한국에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활 속에 깊숙이 묻어 있어 아무렇지 않게 지나쳤던 미소지니(misogyny)가 하나 둘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성혐오, 수면 위로 떠오르다 지난 여름 강남역에서 ‘묻지마식’ 여성 살인사건이 터지고 난 후 우리사회에서는 ‘여성혐오’가 사회적인 이슈로 강하게 떠올랐다. ‘여성혐오’는 여성에 대한 부정과 비하, 여성에 대한 폭력, 남성 우월주의 사상, 여성의 성적 대상화 등을 포함한 여러 방식으로 등장한다. 이와 비슷한 말로 ‘미소지니(misogyny)’를 쓰기도 한다. 일본식 영어의 우리말 표현인 미소지니는 부정적 의미의 ..

2016. 12. 15. 17:00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