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미디어 NIE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독서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신문 뉴스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뉴스 활용 강좌

    2017.08.03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2017.08.01
  • 발달장애 대안학교 호산나대학의 미디어교육

    2017.07.28
  • 민주시민과 미디어 리터러시

    2017.07.26
  • 미국 초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2017.07.20
  • 세계적 미디어교육 학자,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강연 참관기

    2017.07.11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뉴스 활용 강좌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2010년부터 전국 대학의 뉴스 활용 강좌를 지원하고 있다. 수업에 뉴스 읽기를 적극 도입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강좌의 수강생과 정지연 교수를 만나 그 후기를 들어봤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광고홍보학부 정지연 교수는 올해 초 학기 시작과 더불어 일간지 20종 구독을 신청했다. 학부 전공 선택 과목인 의 수업 자료로 쓰기 위해서였다. 이른 아침 잉크 냄새 짙게 밴 신문들이 배달되면 광고홍보학부 전 학년이 열람할 수 있는 공간에 신문을 비치했다. 그동안 모바일 뉴스를 힐끔거리는 것이 뉴스 읽기의 전부였던 학생들이 어느 순간부터 종이 신문을 넘기며 그날의 주요 이슈를 확인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모바일 대신 신문을 들다“대학생들이 의외로 신문을 안 읽어요. 대부분 모바일 포털 사이..

2017. 8. 3. 11:00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국가간 협력학습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현안을 공동으로 해결한 학습활동을 소개한다. 학습자들은 이 학습활동을 통해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Impactful Services Learning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중학생들의 국가간 협력학습으로 과학교과의 연장선 상에서 미래 핵심역량과 미디어 리터러시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현안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한 학습활동이다. 이 교류학습은 싱가포르의 체스트넛 드라이브 중학교(Chestnut Drive Secondary School; 이하 'CDSS') 학생들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CDSS 학생들은 싱가포르의 수자원 문제에 관한 학습을 하면서..

2017. 8. 1. 16:00
발달장애 대안학교 호산나대학의 미디어교육

미디어는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다. 이미 초·중·고교 및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진행될까? 호산나대학의 시사 수업의 사례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현장과 의미를 짚어본다. 박미영(한국 NIE 협회 공동대표) 편집자 주 : 수업 현장의 생동감을 전달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시점에서 글을 풀어나갑니다. 모든 이름은 가명입니다. 여기는 20대 발달장애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호산나대학입니다. 호산나대학에는 ‘시사 따라잡기’라는 수업이 있습니다. 학생들이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보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이지요. 발달장애(지적장애나 자폐성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미디어교육이 필요하냐고요? 물론입니다. 발달장애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미디..

2017. 7. 28. 11:00
민주시민과 미디어 리터러시

지난해 광장에서 타오른 촛불 민심은 잘못된 대통령을 바꾸고 정권을 교체하는 데 성공했다. 그 과정에서 소셜미디어는 국민의 생각을 하나로 모으고 행동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미디어 생태계의 선순환은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기초이며,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은 민주시민의 바로미터가 된다.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김경희(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많이 사용하지만 무슨 뜻인지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얼마 전 유시민 작가가 한 TV 프로그램에서 민주주의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강의 형식의 프로그램이지만 참여한 방송인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질문하면서 진행된 특별한 수업이었다. 유시민 작가는 ‘다수의 국민이 마..

2017. 7. 26. 13:00
미국 초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미국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측면을 학습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꾀한 사례가 있다. 이 사례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중심축을 이루는 미래 수업의 일단을 보여 주었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 개념이 적용된 미래의 수업은 어떤 모습일까? 어렴풋이 떠올릴 수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고나 외고 등과 같이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된 중·고등학교에서 일부 적용하고 있지만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 핵심역량 모델에 기초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들이 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고 그 구체적 모습들이 P21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

2017. 7. 20. 17:00
세계적 미디어교육 학자,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강연 참관기

세계적 미디어교육 학자 '데이비드 버킹엄(David Buckingham)' 교수는 지난 5월 11일과 12일, 양일에 걸쳐 서울대 교육연구소와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의 초청으로 강연회를 가졌다. 이 강연회에서 버킹엄 교수는 커지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버킹엄 교수는 이 강연회에서 미디어 문제의 해결은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언론인, 언론사, 정치인 등 사회 전반의 개혁과 함께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안용순(서울 배명중학교 국어교사) 젊은 교사 시절의 회상-미디어교육에 발을 내딛다 대학시절부터 영화를 좋아하고 새로운 청소년 문화에 꽤 빠르게 반응하던 필자는 교사가 ..

2017. 7. 11. 17:00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