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이벤트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미디어 기자 스마트폰 뉴스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3주차)

    2016.12.23
  • 희망듬뿍(Book) 중학생 독서캠프 - 파주출판단지에서의 1박 2일

    2016.12.23
  • 읽고 쓰는 시간,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

    2016.12.22
  • 강의를 만나다② 온라인 강의로 만나는 미디어의 이해

    2016.12.21
  • 읽기 프로젝트 : 의식적 읽기가 '습관'이 되길 바라며

    2016.12.21
  • 언론의 자유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다양한 이론을 통해 바라본 언론과 표현의 자유

    2016.12.20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3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3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즐기며 살아야 합니다. 저녁은 하루 중에 가장 좋은 때요.당신의 하루의 일을 끝냈어요.이제는 다리를 쭉 뻗고 즐길 수 있어요내 생각은 그래요.아니, 누구를 잡고 물어봐도 그렇게 말할 거요.하루 중 가장 좋은 때는 저녁이라고. 가즈오 이시구로 『남아 있는 나날』 중에서 이미 끝난 일을 말하여 무엇하겠으며이미 지나간 일을 비난하여 무엇하겠는가. 공자(孔子) 너인 채로, 그대로 너를 사랑한다. 곽세라 『영혼을 팔기에 좋은 날』중에서 사람에게 가장 무서운 것은 암도 죽음도 아니고 사람이참으로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오직 하나 영원,영원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권이복 『영원을 믿기에 우리에게 이별은 없다』 인생이..

2016. 12. 23. 17:00
희망듬뿍(Book) 중학생 독서캠프 - 파주출판단지에서의 1박 2일

황다은,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올해로 4년째를 맞이한 ‘희망듬뿍(Book) 도서지원’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 고른 독서의 기회를 제공하고 독서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희망듬뿍(Book) 도서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인 제1회 중학생 독서캠프는 파주출판단지에서 1박 2일로 진행되었습니다. 1일차 #멘티들과의 첫 만남 아침 10시, 서울역에 집결해서 아이들을 처음 만났습니다. 상기된 표정의 아이들에게 단체 티셔츠와 이름표를 나눠주며 첫인사를 나눴습니다. 씩씩하게 통화할 때의 자신감은 어디 가고, 아이들은 동행한 인솔 선생님 뒤로 숨으면서 부끄러워했습니다. 처음 보는 친구들 사이에서 쭈뼛쭈뼛 굳은 표정의 아이들 모습에 1박 2일을 어떻게 꾸려나가나 걱정이 생겼습니다.다행히 걱..

2016. 12. 23. 12:00
읽고 쓰는 시간,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

황다은,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요즘 마음 속에 상처 하나쯤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삶이 지치고 가슴이 답답할 때, 여러분은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시나요? 다독다독에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혼자 책 읽는 시간: 독서의 치유 효과 갑작스럽게 언니를 먼저 떠나보낸 니나 상코비치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에 빠져있었습니다. 충격과 비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녀는 자기 일에 온 정신을 몰두했지만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상처가 아물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그녀는 1년 동안 혼자 독서를 하기 시작합니다. ‘책’은 어린 시절부터 언니와 자신을 이어준 끈이었기에 책이 그녀를 절망에서 꺼내줄 방법일지 모른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나의 독서의 한 해는언니를 잃은 뒤 어떻게 살아가야 ..

2016. 12. 22. 17:00
강의를 만나다② 온라인 강의로 만나는 미디어의 이해

양정환, 2016 다독다독 기자단[요약] 온라인 강의의 활성화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명사나 교수들의 강의를 만나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다독다독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미디어 그리고 저널리즘 관련 온라인 강의 3편을 준비했습니다. 미디어와 관련된 좋은 강의를 접하는 것은 뉴스와 방송에 대한 이해와 리터러시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외와 국내의 좋은 강의를 만나기는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대학을 다니는 학생들이나 강연을 들을 수 있는 시설 근처에 살지 않는다면, 또는 학업이나 개인적인 업무 등의 문제로 바쁜 시간 중 강의를 듣기 위해 일부러 시간을 쪼개지 않는다면 적절한 기회를 갖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온라인 강의의 활성화로 YouTube..

2016. 12. 21. 17:00
읽기 프로젝트 : 의식적 읽기가 '습관'이 되길 바라며

2016 다독다독 기자단 3조 장두원, 신혜진, 이혜인 [요약] 다독다독 기자단 3조는 읽기 문화 확산이라는 목표를 갖고 9월 19일부터 11월 20일까지 약 두 달간의 시간을 활용해 읽기 습관 길들이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신혜진 기자 활동 후기 그동안 '읽기'의 대부분은 정말 단어 그대로 ‘읽는’ 수준에서 그쳤었다. 그러나 읽기 프로젝트를 통해 읽고, 기록하고, 내 생각을 정리해보며 이제는 신문과 책을 적극적으로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신문은 여름방학 동안 구독하였는데 개강 이후 시간에 쫓겨서 뒷전으로 미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신문 스크랩을 해야 했기에 다시금 신문을 읽기 시작했고, 시사 이슈에 대해서 정리해보며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가까이에서 느꼈다. ..

2016. 12. 21. 12:00
언론의 자유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다양한 이론을 통해 바라본 언론과 표현의 자유

양정환,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개인에 따라 책과 영화를 통해 느끼는 감정이 다른 것처럼 사건과 사실을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것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 기자의 인식 차이에 따라 표현된 기사를 접했을 경우, 이는 다수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표현의 자유를 바라보는 대표적인 이론 세 가지인 '절대주의 이론'과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이론', '이익 형량의 이론'을 소개합니다. 헌법 제21조 1항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어느 나라나 언론의 자유가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로 받아들여지며 대다수가 그 권리를 침해받지 않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방식에서만큼은 사람마다 일정 부분 차이가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을..

2016. 12. 20. 17:00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