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이벤트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기자 미디어 책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최근 한국 영화 속 지옥도의 풍경(터널, 부산행, 아수라 3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2016.12.15
  • 피델 카스트로의 삶과 죽음에 대한 엇갈린 반응

    2016.12.14
  • 책 있는 거리, 경의선 책거리

    2016.12.14
  • 겨울철, 난방기기 화재 주의보

    2016.12.13
  • 사진의 경계를 묻다, <닉나이트 사진전-거침없이, 아름답게>

    2016.12.12
  • 풍자와 과장, 예술적 상상력으로 현실 해석

    2016.12.12
최근 한국 영화 속 지옥도의 풍경(터널, 부산행, 아수라 3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미디어 교육가 [요약] 2016년 터널, 부산행, 아수라 등 다수의 한국 영화가 관객의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이들 영화의 공통점은 지옥도라는 테마입니다. 영화가 은유적으로 혹은 사실적으로 지옥과도 같은 풍경을 그리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 한국 영화가 던지고 있는 우리 사회에 대한 메시지는 무엇이 있는지 고민해봤습니다. 2016년은 한국 영화 풍년의 해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감독들의 영화가 연달아 개봉하였고, 또 그에 맞추어 영화 담론도 넘쳐났다. 영화인들에게나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에게나 큰 잔치와 같은 1년이었다. #2016 한국영화의 테마=지옥도? 올해 이슈가 되었던 영화들을 돌아보면, ‘지옥도’라고 하는 테마가 떠오른다. 영화가 은유적(metaphor)으로,..

2016. 12. 15. 11:00
피델 카스트로의 삶과 죽음에 대한 엇갈린 반응

[요약] 지난달 25일(현지시각) 쿠바의 공산혁명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 전 국가평의회 의장이 향년 90세로 사망했습니다. 그는 폴헨시오 바티스타 독재 정권으로부터 쿠바를 해방한 혁명가이자 동시에 공산주의 독재를 펼쳐 국민들의 자유를 억압한 독재자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그의 삶에 대한 평가만큼 죽음에 대한 입장도 상반됩니다. 각국 정상들은 애도와 추모 내용부터 조문단 구성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피델 카스트로, 그는 누구인가 피델 카스트로는 1959년 사회주의 혁명에 성공하면서 총리에 취임하고 1976년 국가평의회 의장직에 올라 약 반세기 동안 쿠바를 통치한 지도자입니다. 건강이 악화하면서 2008년 의장직에서 물러났지만, 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의장직을 이어받아 이후에도 쿠바 정치사..

2016. 12. 14. 17:00
책 있는 거리, 경의선 책거리

[요약] 지난 10월 28일 홍대입구역 6번 출구에는 ‘경의선 책거리’가 생겼습니다. 경의선 책거리는 마포구가 경의선 홍대복합역사에 만든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양한 주제의 부스를 만날 수 있으며, 부스 안에는 테마에 맞는 다양한 책이 비치되어 있습니다.신혜진,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지난 10월 28일 홍대입구역 6번 출구에는 새로운 볼거리가 생겼습니다. 바로 ‘경의선 책거리’인데요. 경의선 책거리는 마포구가 경의선 홍대복합역사에 독서문화가 살아 숨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 책 테마 거리입니다. 홍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신촌 방향 와우교까지 250m 구간에 조성한 경의선 책거리를 거닐다 보면 산책과 동시에 다양한 책을 만날 수 있습니다. 책의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문화명소인 경의선 책거리를 즐기..

2016. 12. 14. 11:00
겨울철, 난방기기 화재 주의보

[요약] 최근 5년간 국민안전처 통계를 보면, 겨울이 봄과 비슷한 28.1%를 기록하며, 계절별 화재 발생 비율 2위를 차지했습니다. 사망자 비율은 겨울이 34.1%로 가장 높았습니다. 겨울철 화재의 경우 전열기 사용에 따른 과부하 등 전기적인 요인이나 난방기기 사용 부주의로 인해 불이 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난방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가정용보일러 화재 가장 많아 난방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날씨가 건조한 12월~2월은 1년 중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시기입니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3년간(2013∼2015년) 주거용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살펴본 결과, 발화 기기별로 계절용 기기가 2천495건으로 주방 기기(4천919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계절용 기기 화재의 68%..

2016. 12. 13. 12:00
사진의 경계를 묻다, <닉나이트 사진전-거침없이, 아름답게>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포스터를 보고 떠오른 생각은 ‘와, 아름답다’는 경탄이었다. 그리고 뒤이어 따라오는 물음들. “이게 사진이라고? 그림 아니야? 도대체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 4층으로 구성된 전시장을 돌아다니며 점점 더 깊이 빠져들수록 궁금증이 커졌다. 이건 어떻게 찍은 사진일까? 이걸 사진이라 해야 하나 회화라고 해야 하나? 그동안 우리는 ‘사진’을 일상의 순간을 ‘포착’하는 매개물이라고 생각해왔다. 진실의 편린들. 객관적인 사실을 증명해주며, 진실만을 말하는 것. 그러나 사진 자체가 만들어진 구성물이라면? 그 셔터를 누르는 0.1초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2박 3일을 준비했다면? 디지털로 CG를 구성하듯 새로운 이미지를 작업했다면? 수많은 사진들을 합성했다면? 과연 이것은 사진일까?..

2016. 12. 12. 17:00
풍자와 과장, 예술적 상상력으로 현실 해석

조홍식, 숭실대 정치학과 교수 [요약] 유럽 언론에서 풍자의 대표격인 만평의 지위는 대단합니다. 프랑스의 대표적 권위를 자랑하는 르몽드는 1면에 반드시 만평을 실어 강조합니다. 풍자와 저널리즘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더 많은 표현의 자유 이 글에서 다루려는 것은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이다. 일단은 이미 역사가 긴 신문의 만평이나 뉴스를 패러디한 방송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나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은 만평이나 패러디뿐 아니라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안고 있다. 왜냐하면 객관성과 중립성의 틀로 규정되는 일반 저널리즘과 달리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은 오히려 이를 벗어나는 주관성과 상상력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저널리즘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진리를 추구한다. 언론이 팩트를 정확하게..

2016. 12. 12. 12:00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