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다독다독 기자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신문읽기 신문 NIE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공모전 소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수기 공모전

    2017.08.14
  • EU 28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현황 보고서

    2017.08.14
  • 「미디어리터러시」 창간호(2017년 여름)

    2017.08.11
  • 가짜 뉴스에 대응하는 미국의 미디어교육

    2017.08.11
  • 질문으로 접근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2017.08.10
  •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017.08.09
[공모전 소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수기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은 8월 14일부터 9월 12일까지 전국의 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수기'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공모기간 2017. 8. 14(월) ~ 9. 12(화) 응모부문 초등/중등/고등/대학 4개 부문 공모주제 아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여러분에게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소개해 주세요.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경험(논술, 토론 또는 제작 등) - 학생기자 및 동아리 활동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진로 탐색, 대학 진학 활용 사례 - 뉴스활용교육(NIE) 및 뉴스 리터러시 교육 경험 사례 응모 방법 1)접수 : medialiteracy.kpf@gmail.com 2)제출형식 : 한글(HWP파일)/신명조(11pt)/줄간격 160%/여백..

2017. 8. 14. 16:00
EU 28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현황 보고서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유럽 전역의 미디어 리터러시 현황과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가 출간돼 관심을 끌고 있다. 유럽의 경우 각 국가 단위는 물론, 유럽연합 차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유럽 전반의 미디어 리터러시 특징을 조망한 보고서는 거의 없었다. 유럽시청각연구소(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가 유럽집행위원회 의뢰를 받아 지난 3월 말에 발표한 보고서 『Mapping of media literacy practices and actions in EU-28』는 학교를 제외한 사회 미디어 리터러시 현황과 구체적 사례 등 총 458쪽의 방대한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적인 특..

2017. 8. 14. 12:51
「미디어리터러시」 창간호(2017년 여름)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이하 재단)은 8월 4일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교육’ 관련 이슈 분석 및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간 를 창간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이하 재단)은 8월 4일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교육’ 관련 이슈 분석 및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간 를 창간했습니다. 창간호 특집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뉴스 분별력’을 주제로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민주시민과 미디어 리터러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현장 교사, 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결과를 소개해 교육의 중점 방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합니다. 그리고 재단 지원으로 개설된 홍익대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뉴스 활용 ..

2017. 8. 11. 18:06
가짜 뉴스에 대응하는 미국의 미디어교육

미국에서 가짜 뉴스 논란에 대한 해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다시 조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 각 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과 사회 각계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가짜 뉴스나 잘못된 정보가 홍수처럼 늘어나는 현대에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할을 되짚어 본다. 류동협(미 콜로라도 대학교 언론학 박사) 2016년 미국 대선을 혼란에 빠지게 만든 주역으로 가짜 뉴스가 있었다. 디지털 혁신은 누구나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지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잘못된 정보가 폭발적으로 퍼져나가는 악영향도 그만큼 커졌다.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책 없이 노출된 청소년을 보호하고 교육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미 스탠퍼드대 역사 교육팀은 2015년에서 2016년까지 미..

2017. 8. 11. 17:00
질문으로 접근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질문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질문은 새로운 세상을 여는 창(窓)이고, 창의력을 다지는 발판이다. ‘단순히 뉴스는 이런 것이고, 이렇게 생산되고 유통된다. 이런 유의점이 있으니 이런 식으로 봐라.’라고 하는 교육은 이론 위주의 전형적인 ‘집어넣는 교육’ 형태이다. 이런 문제는 뉴스 읽기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권영부(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최근 들어 뉴스 리터러시 교육은 기존의 신문 활용 교육과 뉴스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추세다. 이 같은 변화는 뉴스 공급이 과잉되고 가짜 뉴스(Fake news)가 등장함에 따라 뉴스와 뉴스 생태계의 특성은 물론 뉴스에 대한 책임과 권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진 가운데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서 신문 활용 교육(NIE)이 처음 시작된 것은 ..

2017. 8. 10. 11:00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5월 미디어 교육 담당 교사와 강사 418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에서는 미디어 교육 교·강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인식 및 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등을 알 수 있다.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아미(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 최근 학교 교육의 변화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올해 초등학교 1~2학년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중시하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기 위한 중학교 자유학기 등 창의적 체험 활동과 진로교육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록 독립된 교과 교육 분야는 아니지..

2017. 8. 9. 12:03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