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신문읽기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다독다독 스마트폰 이벤트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소셜미디어와 민주주의

    2016.12.01
  • 대학 미디어리터러시 수업, 정필모 해설위원님의 강연을 듣다!

    2016.12.01
  • 수고한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2016.11.30
  • <책이 된 예술, 예술이 된 책>전시회-우리책의 표지화와 삽화

    2016.11.30
  • No racism, 옷핀 달기 운동

    2016.11.29
  • 일본 재난보도의 교훈

    2016.11.29
소셜미디어와 민주주의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소셜미디어는 어느새 선거운동에 필수적인 매체가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2008년 미국 대선입니다.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버락 오바마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이용해 차별적인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2011년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국가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일명 '아랍의 봄' 역시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시위대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했고 소규모로 시작했던 시위가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조직적인 시위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가 이처럼 민주주의에 좋은 영향만을 끼친 것은 아닙니다. 지난 8일 제45대 미국 대선 때 페이스북에는 트럼프를 옹호하는 가짜 뉴스가 흥행했습니다. 심지어는 미국 주요 언론사 1..

2016. 12. 1. 17:00
대학 미디어리터러시 수업, 정필모 해설위원님의 강연을 듣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성균관대학교의 미디어 글쓰기 수업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4번의 전문가 특강을 진행 중입니다. 저는 지난 11월 16일 ‘미디어 융합시대의 저널리즘 : 형식적 객관주의를 넘어 진실과 맥락 찾기’ 라는 주제로 진행된 KBS 연구위원이신 정필모 연사님의 강연을 듣고 왔습니다. #저널리즘 그리고 미디어 융합시대 정필모 연사님은 먼저, 뉴스의 역할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뉴스는 특정 프레임을 통해 현실을 사회적으로 재구성합니다. 선택된 언어, 선택된 장면으로 구성된 뉴스는 유사현실일 뿐 진정한 현실은 아니지요. 그래서 기자는 기사가 최대한 현실을 담아낼 수 있도록 노력할 의무가 있습니다. 팩트(fact)를 꿰어맞춰 진실(truth)을 찾아가는 여정에 도움이 될 수..

2016. 12. 1. 11:00
수고한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요약] 벌써 11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11월에는 참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유난히 다사다난했던 11월을 보낸 직장인, 대학생, 그리고 수능을 치느라 고생한 수험생 모두에게 마음을 위로하는 책을 추천합니다. # 김연수 이른바 무한경쟁의 시대입니다. 남을 이기지 않으면 내가 지고 만다는 강박관념이 마음을 잠식했기 때문일까요? 이 책의 제목 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옵니다. 작가 김연수는 ‘지지 않는다는 말’의 여러 가지 의미와 구체적인 모습을 들려줍니다. “졌다, 졌어”라고 중얼거리며 축구 중계를 시청하던 아버지에 대한 유년시절의 기억, 축구경기에 지면 모든 중대원이 연대 기합을 받던 군대의 추억 등은 이기지 못하는 것은 곧 환영받지 못한다는 의미였죠. 하지만 작가는 의문을 제기하지요. ‘과연 이기지 않는 것..

2016. 11. 30. 17:00
<책이 된 예술, 예술이 된 책>전시회-우리책의 표지화와 삽화

신혜진,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이 전시회에서는 우리나라의 근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주요 화가들, 삽화가들, 서예가들 등 미술의 대가들이 만든 책표지와 삽화 등을 만날 수 있습니다. 아래 표에 있듯이 출판 예술을 하는 예술인 65명의 책 117권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서양화가 김환기, 장욱진, 남관, 박서보, 서세옥, 이준, 우경희, 천경자, 박고석, 최재덕, 김찬영, 김만형, 김화경, 류경채, 변종하, 문학진, 조병덕, 정현웅, 길진섭, 이응노, 구본웅, 윤명로, 전혁림, 장석수, 박문원, 권영우, 백영수 동양화가·한국화가 김기창, 장우성, 노수현, 박래현, 정종여, 오일영, 박노수 동양·서양화가 김용준 조각가 한용진 삽화가·만화가 김용환, 김의환, 김영주, 이승만, 김규택, 김세종, 백인수 서예가 ..

2016. 11. 30. 11:00
No racism, 옷핀 달기 운동

[요약]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에서는 무슬림, 흑인, 라틴계, 여성 등 소수인종과 소수민족의 차별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습니다. 이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들이 ‘옷핀(안전핀, Safety Pin)’을 달고 있습니다. 옷핀을 단다는 것은 인종차별적 공격에 저항한다는 의미로, 영국의 브렉시트 탈퇴 이후 인종차별 범죄가 증가하면서 시작했습니다. #이미 예견된 증오범죄 트럼프 당선자는 여성에 대해 성차별적이고 모욕적인 말을 한 바 있고, 미국 내 유색인종에 대해서도 인종차별적 발언을 수차례 했습니다. 또한, 선거운동 과정에서 모든 무슬림의 미국 입국을 막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에 트럼프 당선 이후 특정 종교와 인종을 향한 증오 범죄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은 예상한 바입니다. BBC가 미 전역에서 보고된 ..

2016. 11. 29. 17:00
일본 재난보도의 교훈

이홍천, 일본 도쿄도시대 교수 [요약] 지난 9월 12일 한국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은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래 규모가 가장 큰 지진이었습니다. 경주 뉴스를 다룬 한국 언론은 과장 보도로 경주 지역이 폐허가 된 것처럼 보도해 이재민들에게 과다한 스트레스를 안겨주었고, 국민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에 반해, 일본의 지진 보도는 '인명 우선 보도'입니다. 한국과 일본의 재난보도 형식을 비교하여 알려드립니다. “긴급 지진 속보”, “긴급 지진 속보가 발령됐습니다. 미야기현 , 이와데현 , 후쿠시마현 , 아키타현 , 야마가타현입니다. 다치지 않도록 안전을 확보해 주십시오. 넘어지기 쉬운 가구로부터 떨어져 주세요. 지금 국회에서도 흔들림이 느껴지고 있습니다.” 2..

2016. 11. 29. 15:00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