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독서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3주차)

    2016.07.22
  • 영자신문과 독해능력의 관계

    2016.07.22
  • 납량특선, 한여름 밤의 추리소설

    2016.07.21
  • 집에서 할 수 있는 NIE 교수법

    2016.07.21
  • 브렉시트(Brexit) 한 번에 정리하기

    2016.07.20
  • 한국 뉴스 생태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5가지 지표

    2016.07.20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3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3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나는, 오직불확실한 미래에는 긍정으로걸어서 가고 싶을 뿐이라네 권오은『나는』중에서 학자들은 합리적인 답을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예상 가능한 질문만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답을 얻을 수 없는질문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유발 하라리『사피엔스』중에서 우리가 가장 연기하기 어려운 존재,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김영하『보다』중에서 한 번도떨어지지 않고어찌 강이 되겠는가 서태수『폭포』중에서 아무것도 갖지 않은 상태는 마음먹기에 따라부자가 될 수도 가난한 자가 될 수도 있다. 만족만 한다면 텅 빈 상자에서우주를 꺼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장은진『그녀의 집은 어디인가』중에서

2016. 7. 22. 16:08
영자신문과 독해능력의 관계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게임 ‘포켓몬 고’가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정식 출시가 되지 않아 아쉽게도 할 수 없지만, 예외적으로 속초에서는 게임을 할 수 있어서 일부 열성적인 게이머와 언론사 기자들이 속초로 달려갔습니다. (저도 가고 싶어요 ^^) ‘포켓몬 고’와 같은 흥미로운 소재의 기사는 가독성이 높습니다. 특히 게임에 대해 관심이 있는 청소년이라면, 그리고 포켓몬을 어렸을 때 접한 청소년이라면, 관련 기사를 읽기 위한 준비가 완벽하게 되어있다고 봐야 합니다. 물론 영어로 된 ‘포켓몬 고’ 기사를 읽기에도 유리합니다. 이런 ‘흥미로운’ 소재의 기사는 매일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면서 뉴스를 추적해서 읽..

2016. 7. 22. 09:09
납량특선, 한여름 밤의 추리소설

[요약] 오싹한 공포영화가 생각나는 무더운 여름밤, 영화 대신 트릭과 범인을 찾는 재미가 쏠쏠한 추리소설은 어떠세요? 오싹한 추리소설 3편을 소개해드립니다. #, 미나토 가나에 미나토 가나에는 ‘고백’을 통해 2009년 일본 서점 대상을 비롯하여 제29회 소설 추리 신인상 등을 받았습니다. 출간 직후 많은 화제를 낳았고 영화로도 제작된 ‘고백’은 어떤 내용일까요? 소설은 첫 시작부터 충격적입니다. 자신이 근무하는 중학교에서 어린 딸을 잃은 여교사 ‘유코’는 봄방학을 앞둔 종업식 날, 학생들 앞에서 차분하면서도 단호한 목소리로 말합니다. “내 딸 마나미는 사고로 죽은 것이 아니라 살해당했습니다. 그 범인은 우리 반에 있습니다.” 학생들은 단순한 익사사고가 아닌 ‘살해’라는 이야기에 술렁대기 시작합니다. 유..

2016. 7. 21. 17:00
집에서 할 수 있는 NIE 교수법

김우주,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NIE(News in Education)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자녀를 직접 교육하고 싶어 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NIE 전문 강사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NIE 교수법'을 소개합니다. #부모라면 누구나 최고의 선생님이 될 수 있다 NIE(News in Education)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나오면서 점차 NIE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자신의 자녀를 대상으로 NIE 교육을 지도해보고 싶다는 부모님들의 글을 인터넷에서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NIE 교수법에 대한 전문성의 문제 때문에 교육의 방향성이나 유의점을 알지 못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남영희 ..

2016. 7. 21. 09:24
브렉시트(Brexit) 한 번에 정리하기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지난달 23일 영국의 EU 잔류 및 탈퇴를 묻는 국민투표가 진행되었습니다. 결과는 '탈퇴'였습니다. 사실, 영국의 EU 탈퇴 논쟁은 꽤 오래전부터 주장되어 온 사항이었습니다. 브렉시트의 과정과 찬성파와 반대파의 입장을 정리해드립니다. 2016년 6월 23일 22시(영국 런던 현지 시간). 유럽연합 탈퇴를 묻는 영국의 국민투표가 마감됐다. 세계의 시선은 영국에 집중됐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의 예상을 뒤엎고 EU '탈퇴(51.9%)'가 '잔류(48.1%)'를 3.8%p 앞서는 이변이 속출됐다. 투표율은 72.2%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세계의 금융은 요동을 쳤고 ‘하나의(united)’ 유럽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

2016. 7. 20. 18:00
한국 뉴스 생태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5가지 지표

[요약]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영국의 로이터 저널리즘연구소와 공동으로 연구한 ‘디지털 뉴스 보고서 2016’을 공개했습니다. 한국은 26개국 가운데 스마트폰을 통한 뉴스 소비가 가장 높았으며, 주로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올해부터 영국의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가 발행하는 의 한국 파트너로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도 보고서에는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일본을 비롯한 총 26개국의 뉴스 소비 현황을 비교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온라인뉴스 소비, 26개국 중 상위권 온라인을 통한 뉴스 이용에서 한국은 26개국 중 상위권에 속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주로’ 뉴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그리스(35%), 스웨덴(34%), 노르웨이(..

2016. 7. 20. 13:57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