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독서 기자 언론진흥재단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책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뉴스리터러시 뉴스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6)

  • 아빠, 책 읽어 주세요!

    2016.09.08
  • 청소년 언론중재스쿨에서 언론의 참모습을 배우다

    2016.09.08
  • '스몸비(Smombie)족' 의 탄생

    2016.09.07
  • 혼이 담긴 사과(謝過)

    2016.09.07
  • 읽는 SNS, 쓰는 SNS

    2016.09.06
  • 느림의 미학

    2016.09.06
아빠, 책 읽어 주세요!

황다은,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TV 프로그램, 의 영향으로,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아빠들이 많아졌지요. 그렇다면 아이들과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시나요? 여기, 아이와 아빠가 함께할 수 있는 재미있는 독서 활동을 제안합니다. #프렌디(frienddy) 열풍 요즘 대세는 '친구 같은 아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부터 시행된 주5일제와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활동으로 아빠의 육아 참여가 중요해졌지요. 친구(friend)와 아빠(daddy)를 합친 신조어도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소위 ’프렌디(frienddy)‘들은 가부장적인 과거의 아버지상에서 벗어나 아이를 친밀하게 대하고, 적극적으로 육아에 힘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라서 프렌디로 가는 길 앞에서 망설이는 아빠들..

2016. 9. 8. 17:00
청소년 언론중재스쿨에서 언론의 참모습을 배우다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청소년 언론중재스쿨’은 정확한 언론보도 용어에 대한 개념과 언론중재위원회가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배우는 기회의 장(場)입니다. 언론중재스쿨 참가 학생과 교육 강사님의 인터뷰를 통해 국민과 언론을 이어주는 언론중재위원회에 대해 알아봅니다. #청소년 언론중재스쿨? 신문, 방송, 인터넷 뉴스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가 늘어나면서, 언론으로 피해를 입은 사례들도 많아지는 현실입니다. 언론중재아카데미는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각종 분쟁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다양한 노하우를 제공하며,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자유롭고 책임 있는 언론의 참모습을 이루기 위한 각종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언론의 자유와 ..

2016. 9. 8. 11:00
'스몸비(Smombie)족' 의 탄생

[요약] 최근 ‘스몸비(Smombie)'라는 신조어가 유행입니다. 스마트폰(Smart phone)과 좀비(Zombie)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길을 걷는 사람을 뜻합니다.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고 생활하는 ’스몸비‘의 위험성을 조명합니다. 하루에 스마트폰을 몇 시간 사용하시나요? 대부분 2~3시간 이상 사용하시며, 어딜 가든 스마트폰을 항상 소지하고 다니실 겁니다. 우리 생황을 조금 더 편리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그러나 편안한 만큼 위험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몸비족, 거리를 점령하다 지난 9일 도로교통공단은 ‘보행 중 음향기기 사용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8개 지점에서 영상을 찍어 판독한 결과 1천 865명 중 213명(무단횡단 제외)이 음악을 듣거나 전화..

2016. 9. 7. 17:00
혼이 담긴 사과(謝過)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최근 공허한 사과로 공분을 불러일으키는 사례가 적지 않다. 작게는 드라마에서 현실감이 떨어지는 복장으로 등장해 시청자의 반감을 불러 일으킨 연예인의 짤막한 SNS 사과부터 과거 저지른 성추행 사건에 대한 뒤 늦은 목사의 후회와 같은 사과에 이르기까지! 사과란 왜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지난 2005년 12월 27일 청와대 춘추관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해 11월 여의도에서 열린 농민대회에 참가자 두 사람이 경찰의 과잉진압에 의해 사망하자 대통령은 “국민여러분께 머리 숙여 사죄드립니다. 그리고 돌아가신 두 분의 명복을 빕니다”라며 공식적으로 사과를 했다. 아울러 책임자를 가려내 책임을 물을 것과 피해자에..

2016. 9. 7. 09:30
읽는 SNS, 쓰는 SNS

이혜인,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SNS는 인생의 낭비? No, 잘 사용하면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글쓰기’와 ‘읽기’의 목적을 가장 충실하게 이행할 수 있는 SNS 세 종류를 선정해 실제 사용자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SNS는 인생의 낭비다? 前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인 알렉스 퍼거슨이 ‘공인이거나 대중을 상대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SNS를 안 하는 게 이득이다.’ 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SNS로 인해 곤욕을 치른 공인들이 많기도 하고, 일반인 중에서도 SNS 때문에 논란이 생긴 사람들이 많다 보니 퍼거슨 감독의 이 말은 마치 진리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사진을 올리는 SNS는 사진 프레임 안의 모습이 작위적이라는 것과, SNS의 목적이 남들에게 보여주고 과시하기 ..

2016. 9. 6. 17:00
느림의 미학

[요약] 슬로시티는 자연과 전통문화, 경제를 보호하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탈리아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어 세계적 캠페인으로 자리매김한 슬로시티는 한국의 11곳에서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11곳의 슬로시티 중 다섯 곳을 소개해 드립니다. 외국인이 한국에 오면 가장 먼저 배운다는 '빨리 빨리'. 빠른 것에 익숙해진 우리는 인터넷 창이 느리면 껐다, 켰다를 반복하고 신호등 기다리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창밖으로 느리게 흘러가는 풍경, 여유로운 일상을 동경합니다. 우리 마음 속 숨은 욕구를 충족시킬 우리나라의 슬로시티를 소개합니다. 슬로시티는 ‘풍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치타슬로(cittaslow)'의 영어식 표현입니다. 자연과 전통문화, 경제를 보호하는 취지의 슬..

2016. 9. 6. 11:00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