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스마트폰 신문읽기 미디어 기자 이벤트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4)

  •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 시대

    2016.06.29
  • 장마철 집안 손질법

    2016.06.28
  • 우리는 뉴스를 '본다'

    2016.06.28
  • 언제나 힘이 되었던 민족의 신문

    2016.06.27
  •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2016.06.27
  • 나를 깨우는 한 줄 (6월 3주차)

    2016.06.24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 시대

[요약]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소셜 미디어를 보면 마냥 그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일상을 하나하나 사진으로 남겨 거리낌 없이 소셜 미디어에 공개하기 때문입니다. 사진 한 장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시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호모 포토그라피쿠스 시대를 연 사람들 뉴욕타임스는 현 세대를 두고 인터넷으로 일상을 ‘모두 말하는 세대’(tell-all generation)라고 명명한 적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신의 일상을 하나하나 남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에 업로드 하는 사람들을 ‘인증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진 한 장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호모 포토그라피쿠스 시대를 본격적으로 연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어릴 적..

2016. 6. 29. 12:00
장마철 집안 손질법

[요약] 장마철이 되면 높아진 습도로 인해 곰팡이가 피어나 건강을 위협하게 됩니다. 장마철, 그리고 장마가 지난 뒤 집안 곳곳을 정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장마철이 되면 습도가 높아져 집안 곳곳에 곰팡이가 피어납니다. 곰팡이에는 200가지가 넘는 독성물질이 있어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장마철, 습기와 곰팡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보일러를 켤 때는 환기와 동시에장마로 인해 집안이 습할 때 제습효과를 위해 보일러를 가동하게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보일러로 인해 바닥 온도가 올라가면 바닥에 깔렸던 습기가 공기 중으로 떠오르면서 곰팡이가 함께 퍼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습기 제거를 위해 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꼭 창문을 열어놓고 환기하면서 가동하는게 좋습니다. #곰팡..

2016. 6. 28. 17:00
우리는 뉴스를 '본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시대에 따라 저널리즘의 소비행태는 변화한다. 라디오를 통해 뉴스를 ‘들었던’ 시대에서 신문을 통해 뉴스를 ‘읽는’ 시대로, 그리고 점차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인포그래픽(Info-graphic), 카드뉴스와 같이 정보들이 소리에서 글을 넘어 그림으로 바뀌어가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저널리즘을 소비해야하는 것인가. 읽기의 행태가 변한다면 그 안의 내용도 바뀌는 것도 당연한 결과이다. 그 변화하는 콘텐츠 속 저널리즘의 원칙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켜져야 한다. 변화의 이면에 자리 잡은 우리 사회 스낵컬쳐(Snack Culture) 열풍은 읽기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인가? 이 시대 현명한 뉴스 소비자가 되기 위해 우..

2016. 6. 28. 09:36
언제나 힘이 되었던 민족의 신문

양정환,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우리민족의 역사 속에는 언제나 묵묵히 제 역할을 해주었던 신문이 있었습니다. 보훈의 달, 날이 따뜻했던 주말, 독립의 과정에서 민족의 대변자이자 소통의 창구가 되었던 신문에 대한 좀 더 많은 이야기를 만나보고자 광화문역에 위치한 신문 박물관을 찾았습니다. ▲학교 앞에 걸린 보훈의 달 플래카드 5월, 가족의 달을 지나 여름이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6월이 벌써 달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습니다. 매년 6월을 맞이할 때면 삶 속에서 잊고 지냈던 수많은 애국지사들의 희생에 대해 다시금 되새기고는 합니다. 민족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그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지금도 우리는 이 땅에서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는 그들의 희생만..

2016. 6. 27. 15:00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홍예진, 미네소타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요약] “저널리즘도 스포티파이(Spotify), 넷플릭스, 아이튠즈가 필요하다.” ‘블렌들’은 한곳에서 모든 언론사의 읽고 싶은 기사만 골라 간편하게 돈을 내고 기사를 읽을 수 있게 한 서비스 입니다. 또한 구입한 기사가 만족스럽지 못 할 경우 환불을 해주는 등 이용자 입장의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그러자 젊은 세대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 블렌들 미국판 초기화면 네덜란드의 미디어 플랫폰 블렌들(Blendle)이 지난 3월 23일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독자가 읽고 싶은 기사를 건별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블렌들은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타임매거진 등 프리미엄급 언론사를 포함 총 20개의 언론사와 제휴해 서비스를 시작했으..

2016. 6. 27. 11:00
1 ··· 184 185 186 187 188 189 190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