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공모전 뉴스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NIE 신문 다독다독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언제나 힘이 되었던 민족의 신문

    2016.06.27
  •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2016.06.27
  • 나를 깨우는 한 줄 (6월 3주차)

    2016.06.24
  • 좋은 질문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

    2016.06.24
  • 다독다독 150초 - 제1장 미디어리터러시!?

    2016.06.23
  •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우선이다

    2016.06.23
언제나 힘이 되었던 민족의 신문

양정환,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우리민족의 역사 속에는 언제나 묵묵히 제 역할을 해주었던 신문이 있었습니다. 보훈의 달, 날이 따뜻했던 주말, 독립의 과정에서 민족의 대변자이자 소통의 창구가 되었던 신문에 대한 좀 더 많은 이야기를 만나보고자 광화문역에 위치한 신문 박물관을 찾았습니다. ▲학교 앞에 걸린 보훈의 달 플래카드 5월, 가족의 달을 지나 여름이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6월이 벌써 달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습니다. 매년 6월을 맞이할 때면 삶 속에서 잊고 지냈던 수많은 애국지사들의 희생에 대해 다시금 되새기고는 합니다. 민족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그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지금도 우리는 이 땅에서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는 그들의 희생만..

2016. 6. 27. 15:00
미디어 월드 와이드 ① 소액결제 뉴스 플랫폼

홍예진, 미네소타주립대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 [요약] “저널리즘도 스포티파이(Spotify), 넷플릭스, 아이튠즈가 필요하다.” ‘블렌들’은 한곳에서 모든 언론사의 읽고 싶은 기사만 골라 간편하게 돈을 내고 기사를 읽을 수 있게 한 서비스 입니다. 또한 구입한 기사가 만족스럽지 못 할 경우 환불을 해주는 등 이용자 입장의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그러자 젊은 세대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 블렌들 미국판 초기화면 네덜란드의 미디어 플랫폰 블렌들(Blendle)이 지난 3월 23일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독자가 읽고 싶은 기사를 건별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블렌들은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타임매거진 등 프리미엄급 언론사를 포함 총 20개의 언론사와 제휴해 서비스를 시작했으..

2016. 6. 27. 11:00
좋은 질문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

송화준, 책읽는 지하철 대표 기획자 우문현답(愚問賢答)이라고 하면 질문한 사람이 자신을 낮추기 위해 또는 조언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칭찬의 뜻을 담아 사용합니다. 대체로 현답에 방점을 찍는 거죠. 하지만 혹시 이런 생각 안 해보셨나요? '우문이 있어 현답이 있다.' 또는, 우문은 글자 그대로 '어리석은 질문’, 그뿐일까? 우(愚)에는 '어리석다' 이외에도 '둔하다', '느리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문을 '느린 질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쉽게 나오지 않은 질문, 남들이 보기에는 어리석은(또는 어리석어 보이는) 질문이지만, 그 사람에게는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나온 질문. 그게 진짜 우문 아닐까요. 그런 사람이라면 어떤 얘기를 듣더라도 그 안에서 자신만의 답을 찾아내고..

2016. 6. 24. 10:25
다독다독 150초 - 제1장 미디어리터러시!?

이예은,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여기도 미디어리터러시, 저기도 미디어리터러시. 최근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해 강조하는 이유를 150초 동영상을 통해 알려드립니다. 쉽고 간단하게 알려주는 다독다독 150초제1장 미디어리터러시!?

2016. 6. 23. 18:00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우선이다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1인 미디어 시대다.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주체가 특정 언론 혹은 기업에서 개인으로 옮겨지고 있다는 의미다. 대표적인 사례가 백만장자가 된 꼬마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 유튜브에 장난감을 갖고 노는 5살짜리 아이가 1년에 1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훌얀과 마야라는 필리핀 이민자 출신의 남매가 등장하는 유튜브 채널의 가입자 수는 47만건이며, 최대 2,200만건이 조회(2015년 9월 기준) 되는 등 두 꼬마가 장난감을 갖고 천진하게 노는 모습이 지구촌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면서, 완구계의 새로운 마케터로 등장한 것이다. 같은 시기에 국내 지상파 모 방송국의 유튜브 공식채널의 가입자 수는 4만 7,000건이..

2016. 6. 23. 10:00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