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미디어교육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신문 다독다독 NIE 미디어 신문읽기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9)

  • 디지털 성공의 열쇳말 ‘저널리즘·독자·관여’

    2016.08.01
  •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4주차)

    2016.07.29
  • 일상 속, 헷갈리는 외래어 표기 7가지

    2016.07.29
  • 여름휴가를 책임질 바로 그 책

    2016.07.28
  • '어떤 뉴스'에 끌리나요?

    2016.07.28
  • ‘포켓몬 고’로 보는 증강현실

    2016.07.27
디지털 성공의 열쇳말 ‘저널리즘·독자·관여’

서은영, 서울경제신문 전략기획실 기자 [요약] 2016 제23회 세계편집인포럼(WEF, 6.12~14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참관기 ▲ 뱅상 페레뉴 세계뉴스미디어협회 이사장은 독자층 확대를 위해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소속감 △몰입도 높은 콘텐츠 △문제에 대한 해결책△믿을 만한 정보 등 4가지 핵심 요소를 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출처: WAN-IFRA) #질 높은 콘텐츠가 저널리즘 살린다 시계를 거꾸로 돌려보자. 지난 2000년은 국내 미디어 산업역사에 새로운 페이지가 열린 해로 기록된다. 온라인 경제매체를 표방한 머니투데이가 설립됐고 이듬해 같은 포맷의 이데일리가 창간됐다. 뒤이어 정치 뉴스 전문 오마이뉴스, 프레시안이 잇따라 얼굴을 내밀었다. 이들은 윤전기로 대변되는 기성 매체의 ..

2016. 8. 1. 13:13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4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7월 4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아무리 힘들어도 포기하지 마세요. 열쇠 꾸러미에서 실제로 문을 여는 것은가장 마지막 열쇠일 경우가 많습니다. 파울로 코엘료『마법의 순간』중에서 누군가의 대답 속엔누군가의 삶이 배어 있게 마련이고,단지 그 이야기를 듣는 것만으로 당신들의 시간을 조금 나눠 갖는 기분이었다. 김애란『두근두근 내 인생』중에서 남들과 똑같은 식으로잘날 필요도,남들과 똑같은 식으로평범할 필요도 없다. 임경선『월요일의 그녀에게』중에서 거창하고 대단하지 않아도 좋다.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된다. 평범하지만 단단하고꽉 찬 하루하루를 꿰어훗날 근사한 인생 목걸이로 완성할 것이다. 김려령『완득이』중에서 인생은 어떤 것이 아니라항상..

2016. 7. 29. 17:00
일상 속, 헷갈리는 외래어 표기 7가지

[요약] 우리말 외래어 표기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것은 예외가 많기 때문입니다. 일상생활 속 헷갈리는 외래어 표기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외래어가 어려운 이유는 예외 때문! 우리 외래어 표기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이유는 예외가 많기 때문입니다. 외래어 표기법 제1장 4항에는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4항에 따르면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는 쓸 수 없습니다. 따라서 ‘까페’는 ‘카페’로, ‘빠리’는 ‘파리’로, ‘뻐스’는 ‘버스’로, ‘째즈’는 재즈‘로 바꿔 써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어와 일본어, 태국어와 베트남어 표기에는 된소리가 허용돼 예외의 범위가 너무 넓기도 합니다.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조항은 또 있습니다. 제5항에는 ‘이미 굳어진 외..

2016. 7. 29. 11:00
여름휴가를 책임질 바로 그 책

[요약] ‘독서’하면 빠지지 않을 독서가들이 뽑은 여름 휴가지에 가져가고 싶은 단 한 권의 책을 소개합니다. 휴가지에 도착하기 전까지의 무료한 시간을 달래줄 책을 소개합니다. 어떤 책이 선정되었을까요? #, 파스칼 메르시어 4대 서점 MD가 선정한 책 중 하나인 ‘리스본행 야간열차’는 2014년 영화로 만들어진 적이 있는 소설입니다. 독일 김나지움(Gymnasium)에서 고전문헌학을 가르치는 교사 라이문트 그레고리우스는 비가 내리는 출근길 한 여인이 다리에 서서 뛰어내리려고 하자 몸을 던져 막습니다. 자살을 감행한 여자는 그레고리우스 이마에 숫자를 적고, 그의 모국어가 무엇이냐고 묻자 ‘포르투게스’라고 대답을 하고 사라집니다. ‘포르투게스’의 울림에 이끌린 주인공은 책방에 들려 우연히 아마데우 드 프라두..

2016. 7. 28. 17:00
'어떤 뉴스'에 끌리나요?

[요약] 뉴스는 주제와 가치, 미디어 조직의 관행, 수용자들의 선택과 심리적 보상 차원 등에 따라 '경성 뉴스(hard news)'와 '연성 뉴스(soft news)'로 분류됩니다. 뉴스 분류 방법과 용어를 소개합니다. #경성 뉴스(Hard News)와 연성 뉴스(Soft News) 뉴스는 내용의 성격에 따라 크게 '경성 뉴스(Hard News)'와 '연성 뉴스(soft news)'로 나뉩니다. 경성 뉴스는 세제의 개혁이나 교육제도의 변화, 국제관계 등 '매우 큰 비중을 갖는 뉴스' 입니다. 24시간 안에 일어난 사건에 대한 사실적 설명을 담아 육하원칙(5W1H, who, what, when, where, why, how)에 맞게 요약 보도하는 뉴스를 말하기도 합니다. 독자에게 즉각적인 기쁨이나 흥미는 ..

2016. 7. 28. 11:00
‘포켓몬 고’로 보는 증강현실

[요약] 2014년 구글의 만우절 이벤트가 모티브가 된 ‘포켓몬 고’가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에 증강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해외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포켓몬 고’ 게임을 통해 화제가 되고 있는 증강현실, 정확히 어떤 것을 말하는 걸까요?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간략하게 이야기하면, 현실의 사물에 대한 관련 정보를 가상의 이미지를 통해 덧붙이는 것입니다. 증강현실은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합니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이 증강현실과 헷갈려하는 가상현실은 무엇일까요? 가상현실(Virtu..

2016. 7. 27. 09:01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