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뉴스 미디어교육 책 이벤트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독서 언론진흥재단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신문 NIE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새로운 데이터 분석틀 ‘관심지수’ 개발 소개

    2016.06.06
  •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5주차)

    2016.06.03
  •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4월 수상작 소개 ①

    2016.06.03
  • 직장생활의 기술을 알려주는 책

    2016.06.02
  • 강아지와 뉴스 리터러시 교육

    2016.06.02
  • 신문에 나오는 핵심 IT용어 사전

    2016.06.01
새로운 데이터 분석틀 ‘관심지수’ 개발 소개

류동협, 미 콜로라도대 언론학 박사의 글입니다. 조회수가 높은 기사가 과연 좋은 기사일까? 사이트 방문자 숫자를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조회수, 방문자 수 같은 통상적인 통계를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서 시작해서 새로운 통계와 데이터를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저널리즘 모델을 만들려고 시도하는 사람이 미국언론연구소(API, American Press Institute) 소장 톰 로젠스틸이다. 이 글은 그가 쓴 보고서의 내용을 소개하고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출처 :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 방송, 5월호 믿을 수 없는 데이터 이 보고서는 지난 2년간 55개 언론사에 실린 40만 건의 기사를 분석해서 얻은 결과이다. 이 분석을 하기 전..

2016. 6. 6. 12:00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5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5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어리석음은 엉성한 에러메시지와 같아서뭐가 잘못됐는지, 무엇을 고쳐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크리스 노더『사악한 디자인』중에서 어쩌면 우리는 '포기'를 몰라서,내가 모르는 수많은 즐거움 또한놓치고 살아가는지 모른다. 강세형 『나는 다만, 조금 느릴 뿐이다』중에서 이 우주가 우리에게 준 두 가지 선물사랑하는 힘과 질문하는 능력 메리 올리버『휘파람 부는 사람』중에서 책장을 덮어도눈이 자꾸 부시던유월이었다 박준『유월의 독서』중에서 독서란 자기의 머리가남의 머리로 생각하는 일이다. 쇼펜하우어(Schopenhauer)

2016. 6. 3. 17:00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4월 수상작 소개 ①

[요약] 한국일보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사고가 난 지 각각 30년, 5년 되는 해를 맞아 한국, 일본, 프랑스 3인의 다국적 프리랜서 기자를 통해 사고 현장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보도했습니다. 시리즈는 평범한 시민들과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 이야기 그리고 원전문제에 대해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2016년 4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일곱 개 작품 중 방사능으로 오염된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에 사는 평범한 시민들의 이야기를 담은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특별상프리랜서 기자 김혜경, 피에르 엠마뉴엘 델레트헤, 히사노라 다무라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한국일보에 시리즈로 연재된 해당 기획기사는 한국의 김혜경, 일본의 히사노라 다무라, 프랑스의 피에르 엠마뉴엘 델레트헤 기자 등 3인의 다국적 프리랜..

2016. 6. 3. 11:00
직장생활의 기술을 알려주는 책

[요약] 똑똑한 직장생활을 위한 기술을 알려주는 책을 소개합니다. 회사 잘 다니고 계신가요? 어려운 취업의 문턱을 넘으면 꿈꿨던 직장생활이 펼쳐질 것 같지만 막상 우리를 맞이하는 것은 더 어렵고 복잡한 직장생활입니다. 그렇다보니 입사 후 직장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어렵게 취업한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다독다독에서 직장생활에 힘들어하시는 분들을 위해, 다가오는 직장생활을 어떻게 맞이해야할지 걱정하시는 분들을 위해 직장생활의 기술을 알려주는 책을 소개합니다. #보고의 정석▲ 이미지 출처: 네이버 책 "결론적으로 당신의 보고서가 20장이든 200장이든 마지막 장이나 맨 앞 장에 1장의 도식이 있어야 한다."직장생활에서 '보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업무의 절반 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모든..

2016. 6. 2. 13:00
강아지와 뉴스 리터러시 교육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강아지를 키우며 언론을 생각하다 끝내 강아지 한 마리를 품에 안고 들어왔다. 몇 날 며칠을 강아지를 키우고 싶다던 아들 녀석이 저지른 만행이다. 친구 집에서 보쌈해온 강아지라고 했다. 어찌할 수 없이 강아지를 받아들였다. 갓 난 강아지의 처연한 눈빛을 보는 순간 내 마음은 이미 무너졌고, 꼬리를 살랑거리며 품속으로 기어드는 녀석을 어찌할 수 없었다. 이제 출타 중에 강아지 안부를 묻는 꼴이 되었다. 강아지를 키우는 사람은 강아지의 여러 가지 습성을 관찰하게 된다. 바깥에서 바스락 소리만 나도 짖어대고, 무릎 사이를 파고들며 온갖 아양을 떨기도 한다. 어떤 날은 주인이 오든 말든 잠에 취해 있기도 한다. 작은 공을 물고 와서는 툭 던져 놓고 놀아달라..

2016. 6. 2. 09:19
신문에 나오는 핵심 IT용어 사전

[요약] 한국언론진흥재단, Media Issue 제17호 중 활용도 높은 IT용어 10개를 소개합니다.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각종 IT 관련 용어는 독자들에게 생소하고 어렵기만 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를 발간해 언론에 오르내리는 각종 IT 관련 용어 중 활용빈도가 가장 높은 핵심 용어 100개를 소개했습니다. 그 중 다독다독 블로그를 통해 10개를 소개합니다. 1.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특정 가상 환경을 구현하고, 사람이 특수한 하드웨어를 착용해 이를 가상적으로나마 직접 체험하는 행위를 일컫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실제적 현실 위에 부가적인 정보를 더해 현실을 재구성하는 증강현실과는 구별됩니다. 특수 안경, 장갑 등을 착용해 인간의 시각, 청각 등 감각을 통..

2016. 6. 1. 17:00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