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책 NIE 미디어 뉴스 독서 신문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기업에 관련된 기사, 어떻게 읽어야 할까

    2016.04.27
  •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2016.04.27
  • 우리나라의 전문 도서관

    2016.04.26
  •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2016.04.26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2016.04.25
  •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2016.04.25
기업에 관련된 기사, 어떻게 읽어야 할까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먹고 사는 데 관심이 커지면서 기업관련 기사는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취업준비생에게는 경제 상식, 시사 그리고 기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정보원이 되고, 투자자들에게는 투자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기업관련 기사의 관심이 커지면서 기사의 양도 늘어나고 있지만, 보도되는 내용을 가감없이 흡수해도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의문이 남는다. 최근 가습기살균제의 유해성관련 수사결과가 발표되면서 제조사인 옥시와 PB(Private Brand: 자체 브랜드)상품으로 판매했던 롯데마트 등에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5년전 발생한 이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 중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등 당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잠시 여론의 프리즘에서 사라..

2016. 4. 27. 17:00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요약]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한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좋은 일’의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근로자의 날이 존재하기는 하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비정규직 비율이 22.4%로 OECD 가입국 기준 평균 비율(11.8%)의 두 배에 달합니다. 또한, 가입국 중 노동시간 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 근로자들과 시민들은 ’좋은 일‘을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좋은 일’의 기준은? 희망제작소(The Hope Institute)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네이버 해피로그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를 통해 ‘좋은 일 기준 찾기’ 온라인..

2016. 4. 27. 11:00
우리나라의 전문 도서관

[요약] 모든 분야의 책을 보관하고 있는 일반 도서관과 달리 특정 분야의 전문도서를 모아둔 전문 도서관과 이용 정보를 소개합니다. 도서관이라고 해서 다 같은 다 같은 도서관이 아니라는 사실! 모든 분야의 책을 고루 읽을 수 있는 도서관도 좋지만 가끔은 특정 분야의 전문도서와 정보를 모아둔 이색 도서관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한곳에서 찾는 인권정보 ‘국가인권위원회 인권도서관’ 인권 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인권전문도서관은 어린이부터 노약자까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 열람과 대출 이외에도 매월 4번째 목요일 오후 12시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인권영화 상영회’, 어린이 인권도서 전시회 ‘인권아, 놀자!’, 인권도서관 및 국가인권위원회 소개, 장애인보조공학기기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2016. 4. 26. 15:00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요약]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라는 생소한 개념이 입법 예고돼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알려드립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 지난 2월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Right to disconnect)’라는 생소한 개념을 노동개혁법안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일부 프랑스 회사들은 퇴근 시간 이후 회사 이메일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일본 역시 퇴근 후 상사가 업무상 연락하는 것을 노동기준법 상으로 금지해놨고 위반한 경우 벌칙규정도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자체적으로 근로시간 종료 30분 후에는 회사 스마트폰의 이메일 기능을 아예 차단시켜 버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무엇이고 해외에서 이 권리에 대해..

2016. 4. 26. 09:54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독일·헝가리·아일랜드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독일의 ‘차이퉁스 차이트’ 프로그램 독일의 신문활용교육(NIE)은 1979년 실행된 이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초기에는 8학년에서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후에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고등학생과 유치원생에게까지 확대되었습니다. 1) 차이퉁스 차이트(Zeitungs Zeit) : 최초의 NIE 프로젝트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정부와 그 지역 53개 출판사가 2006년 처음 시작한 대규모 캠페인 형태의 프로젝트입..

2016. 4. 25. 16:00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요약] 신문이나 방송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에 밀려 사라져 간다는 주장과 이에 반해 소셜 미디어를 뉴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소개합니다. 에밀리 벨 ‘우리가 알고 있던 뉴스의 종말’ 달라진 뉴스 환경 지난 5년 동안 가상현실, 실시간 동영상, 인공지능 뉴스봇, 문자 메시지, 채팅앱 등 엄청난 기술 혁신은 뉴스 생태계를 놀라운 수준으로 바꿔놓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저널리즘만 집어삼킨 것이 아니라 선거, 금융 시스템, 개인사, 여가 산업, 소매업, 정부와 보안까지 관여하게 됐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사안이 있다. 첫째, 뉴스 산업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 회사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

2016. 4. 25. 10:53
1 ···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