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미디어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독서 신문 뉴스리터러시 NIE 기자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2월 수상작 소개 ②

    2016.04.15
  • 신문활용교육(NIE)과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2016.04.14
  •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2016.04.14
  •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2016.04.13
  • 이세돌 9단 vs 알파고 대결 영문기사 읽기

    2016.04.12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2016.04.12
한국의 퓰리처상 ‘이달의 기자상’ - 2016년 2월 수상작 소개 ②

[요약] 지난 2월 11일 울산MBC의 설태주 기자는 국내외 취재를 통해 수족관에 갇혀 지내는 돌고래들의 실태를 담은 ‘꽃분이의 눈물’을 방영하였습니다. 방송 후 해양수산부가 큰돌고래를 보호 대상 해양생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동물권리에 대해 새로운 화두를 던졌습니다. 2016년 2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여섯 작품 중 수족관에 갇힌 돌고래 ‘꽃분이’의 이야기를 다룬 ‘꽃분이의 눈물’을 소개합니다. 해당 보도는 돌고래 거래를 공론화시키고 사회적 공감대를 끌어내 돌고래 수입 제한이라는 행정당국의 조치를 이끌어낸 작품입니다. 지역 기획보도부문울산MBC 탐사보도부 설태주 기자, 미디어영상부 전상범 기자 지난 2월 11일 울산MBC의 설태주 기자는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서 쇼를 하는 암컷 돌고래 ..

2016. 4. 15. 09:22
신문활용교육(NIE)과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이화여대 국어교육과 겸임교수 뉴스(News)하면 무엇이 떠오를까? 뉴스는 본래 새로운 소식을 뜻한다. 그래서 누군가는 News를 동(East), 서(West), 남(South), 북(North)의 합성어로 보면서 동서남북 곧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소식을 가리킨다고도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새로운 소식을 어디서 보고 들을까? 요즘 우리는 뉴스를 텔레비전, 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보고 듣는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새로운 소식을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듣거나 보았지만, 요즘 학생들은 뉴스를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보고 듣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것이 신문의 본령이라고 본다면 종이신문보다는 인터넷 기사가 신문의 본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

2016. 4. 14. 17:00
스마트폰 세대를 위한 미디어의 이해

박명호 서강대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석사, 미디어 교육가 #들어가는 말 : 미디어는 메시지다 지하철의 풍경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예전엔 커다란 신문을 펴보는 사람, 소설책을 읽는 사람, 옆 친구와 담소를 나누는 사람 등 다양했지만 지금은 하나같이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를 손에 들고 쳐다보고 있다. 지금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풍경이지만, 사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낯선 풍경이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등장이 이처럼 우리의 일상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것이다. 미디어(media)는 그 말의 의미처럼 우리의 삶을 ‘매개’한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매개하고, 또 사람과 사회 사이를 매개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미디어의 존재는 아주 중요하다. 그 시대에 지배적으로 사용되어지는 ..

2016. 4. 14. 11:56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요약] 내가 투표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내가 투표를 포기했을 때 일어나는 일, 내가 투표를 했을 때 달라지는 일을 비교하여 소개합니다. #그래, 투표하지 마라최근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랩 영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Let's Vote!(작사·작곡 눈노)입니다. 다가오는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이 영상은 제목과 반대되는 가사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다음은 랩 가사입니다. "혼자 벌어먹고 살기 힘들어서 맞벌이/ 내 자식 학교 학비 볼 때마다 간 떨림/ 애는 애대로 친구와 경쟁이고/ 휴가는 무슨 여가생활과도 기약 없는/ 작별인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선거날은 빨간날?/ha 그래, 투표하지 마라/ 무시하고 살아, 줄어드는 반찬에도/ 세상 욕 ..

2016. 4. 13. 09:30
이세돌 9단 vs 알파고 대결 영문기사 읽기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 (부장)·주니어헤럴드 에디터 안녕하세요! 작년 말에 연재를 하다가 이제야 다시 새로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오늘은 영어학습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 있었던 2가지 일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일단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세돌 9단이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를 상대로 마침내 첫 승을 거뒀죠. 3월 13일 열린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5번기 제 4국에서 180수 만에 알파고에 백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알파고는 사람을 상대로는 첫 패를 당했지요. 컴퓨터는 사람이 못하는 걸 아주 잘합니다. 저희는 예를 들어 복잡한 계산을 잘 못하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은 0.001초만에 연산을 통해 바로 답을 맞춥니다. 정확도 측면에서 보면..

2016. 4. 12. 19:00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요약] 고궁 야간개장, 야간 벚꽃놀이, 박물관 야간 개장에 이어 최근 보도된 해운대 해수욕장 야간 개장 소식까지! 낮보다 아름다운 밤을 보내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경복궁 또는 덕수궁 야간개장에 참여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어떤 느낌을 받으셨나요? 조명을 받아 빛나는 밤의 고궁은 고즈넉함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던 낮의 모습과는 다른 색다른 운치를 제공합니다. 최근 고궁에 이어 미술관, 동물원이 야간개장을 했고,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은 야간개장 운영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낮보다 아름다운 밤을 보낼 수 있는 야간개장, 이와 관련된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 야간개장의 첫 주자 고궁과 미술관 [경주: 동궁과 월지] ‘동궁과 월지’를 아시나요? 동궁과 월지는 신라왕궁 서쪽에 위치한 별궁터로 나라의 경사가..

2016. 4. 12. 14:00
1 ··· 198 199 200 201 202 203 204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