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뉴스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공모전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2016.05.11
  • 낚일 것인가 낚을 것인가

    2016.05.10
  • '뉴스보이' 세상을 바꾼 소년들

    2016.05.10
  • 어머니와 함께 읽고 싶은 책

    2016.05.09
  • 낙종하더라도 기사 신뢰도가 최우선

    2016.05.09
  •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1주차)

    2016.05.06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블로그 '다독다독'2016 전국 대학생 기자단 최종 합격자 발표 다독다독 기자단 모집에 보여주신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더 많은 분들과 함께하지 못해 아쉽고 죄송하지만,더 좋은 기회로 다시 만날 수 있길 기대하겠습니다. 기자단 모집에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2016 다독다독 기자단과 함께 더욱 발전해가는 다독다독이 되겠습니다. ※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위촉식은 5월 13일(금) 진행됩니다. ※

2016. 5. 11. 11:00
낚일 것인가 낚을 것인가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100억대 해외 원정도박으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이사가 연일 언론에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필리핀·마카오·캄보디아 등지에 있는 불법도박장에서 원정도박을 한 혐의가 기소 이유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언론에 보도된 내용은 비도덕적인 기업가의 상습적인 도박행위 혹은 그릇된 일탈행위 정도로 치부되었다. 자고 일어나면 연일 터지는 사건사고 중 새로운 것에 관심을 집중하는 언론계의 특성 탓에 이 같은 원정 도박사건은 쉽게 묻히기 십상이다. 그러나 최근 변호를 맡았던 부장판사 출신의 여 변호사에 대한 폭행 혐의로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억원 수임료를 키워드로 법조·경찰 로비, 전관예우, 조폭, 범서방파, 브로커, 언론인..

2016. 5. 10. 15:00
'뉴스보이' 세상을 바꾼 소년들

[요약] 1899년 뉴욕에서 신문을 팔며 생계를 유지하던 ‘뉴스보이’들의 파업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뉴스보이’라고 들어보셨나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뉴욕에서 신문을 팔고, 배달하여 생계를 유지하던 소년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지금은 사라진 이 소년들의 ‘어떠한’ 이야기가 최근 다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는 무엇일까요? 1899 뉴스보이 파업 이야기를 알기 위해서는 1899년 뉴욕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신문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유일한 매체였던 당시, 신문사 간의 경쟁이 매우 치열했습니다. 신문사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선정적인 신문 보도를 일컫는 ‘황색언론(Yellow Journalism)’이 창시되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퓰리처상(Pulitzer Prizes)..

2016. 5. 10. 11:00
어머니와 함께 읽고 싶은 책

송화준, 책읽는 지하철 대표 기획자 많은 사람이 어버이날 하면 카네이션을 떠올리겠지만, 저는 ‘매운' 짜장면이 떠오릅니다. 사천짜장이냐고요? 아니면 고춧가루 뿌린? 둘 다 아닙니다. 어릴 적 아버님이 사업에 실패하시고 어머님은 보따리장수처럼 이것저것 들고 팔러 다니셨습니다. 아직 어린 막내아들을 혼자 놔둘 수 없어 데리고 다니셨습니다. 또 하나의 보따리였을 겁니다. 얼마라도 손에 돈이 잡히는 날에는 버스터미널 뒤에서 짜장면을 먹었습니다. 그날도 중국집에 들어갔습니다. 어머님은 늘 짬뽕을 시키셨습니다. 제가 짜장면을 다 먹을 동안 기다렸다가, 짬뽕에서 면을 건져 버무려주고 나서야 자기 입으로 가져가셨습니다. 수십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제게 어머니의 사랑은 매콤한 짬뽕 면을 버무린 곱빼기 짜장면입니다. 어..

2016. 5. 9. 19:00
낙종하더라도 기사 신뢰도가 최우선

신문이나 방송 뉴스에서 심심찮게 접하게 되는 문구가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이나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같은 말들이다. 이 문구를 쓰는 기자들이나, 그런 기사를 승인하는 데스크들이나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인다. 이런 얼굴 없는 취재원들의 발언을 직접 인용 처리해주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런 관행이 뉴스 신뢰성 제고 관련 연구를 할 때마다 단골로 지적되는 ‘익명 취재원’이다. 익명 직접 인용 금지 바다 건너 뉴욕타임스에서 익명 취재원과 관련한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져왔다. 딘 베케이 편집국장은 지난 3월 15일 국장단 명의로 기자들에게 보낸 메일을 통해 익명 취재원 사용 관행을 정비하겠다고 선언했다. 베케이 국장을 비롯한 국장단 3명이 제시한 원칙은 크게 네 가지였다. 1. 기..

2016. 5. 9. 12:00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1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5월 1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었다.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이 독서하는 습관이다. 빌 게이츠(Bill Gates) 일생의 반을 변하는 것들과 싸우고,일생의 나머지 반을 변하지 않는 것들과 싸운다. 무서운 건 습관이다. 황경신『밤 열한 시』중에서 늦은 봄날 나는추억의 속도를 느꼈다. 이응준『합창』중에서 한 명의 인간이 세계라는 이름으로자신의 주위에 쌓아 올린 벽은 대개생각보다 두껍게 마련이다. 최원호『혼자가 되는 책들』중에서 아침 일찍 신문을 읽는 것은 일종의 현실주의적 아침 기도다. 헤겔(Hegel)

2016. 5. 6. 17:30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