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공모전 기자 NIE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책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세계 역사를 바꾼 두 가지 보도

    2016.03.14
  • '엄마만'의 전쟁 아닌 '우리 모두'의 전쟁을 위해

    2016.03.11
  • 우등생을 만드는 코넬 필기법

    2016.03.10
  • 민주적인 공론의 장을 만드는 필리버스터

    2016.03.09
  • 뉴스 빅데이터, 다양한 활용과 그 가능성

    2016.02.19
  • 영자신문으로 단어 배우는 5가지 비결

    2016.02.02
세계 역사를 바꾼 두 가지 보도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교수 이재경 교수의 글입니다. “그 사람은 참으로 특별한 존재였다. 그 어떤 방송기자도 다시는, 회사 안이거나 밖에서나, 에드워드 머로우(Edward Murrow)가 쌓아 올린 명망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데이비드 핼버스텀의 말이다. 1960, 70년대 미국 언론의 거장들을 인터뷰해 쓴 ‘군림하는 권력(The Powers That Be)’이라는 책에서다. 방송기자의 롤 모델 에드워드 머로우는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나는 1996년 뉴욕의 UN본부에서 열린 미디어 관련 포럼에서 그의 이름을 처음 들었다. 1982년부터 TV 기자를 시작했고, 80년대 중반과 90년대 초에는 미국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공부하며 7년여의 시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미국 방..

2016. 3. 14. 02:00
'엄마만'의 전쟁 아닌 '우리 모두'의 전쟁을 위해

최삼호 SBS 시사교양본부 PD의 글입니다. “나는 여자야, 엄마야?” 작년 여름, 신년 특집의 테마를 놓고 갈피를 잡지 못하던 내게 아내가 던진 질문이었다. 기획을 한다는 명분으로 이 사람 저 사람 만나 이야기를 듣고 그러다 보면 한두 잔이 너덧 잔으로 늘어나 결국 만취하는 날들이었다. 그전부터도 집안일이며 두 아이 키우는 일은 전업주부인 아내에게 위임돼 있긴 했지만, 그즈음에는 아내의 넋두리도 제대로 못 들어주고 있던 터였다. 뜬금없는 질문에 답을 머뭇거릴 때 아내가 다시 물었다. “당신한테 나는 여자야, 엄마야? 내가 보기에 당신은 나를 여자가 아니라 엄마로 생각하는 것 같아. 굳이 매기자면 9대1 정도. 엄마 9, 여자 1.” 엄마는 평생 전쟁을 하며 산다. 2부 '캥거루맘의 비밀'에서는 자기 자..

2016. 3. 11. 15:11
우등생을 만드는 코넬 필기법

[요약] 많은 학생들이 필기를 합니다. 그러나 종종 자신의 필기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코넬 필기법을 소개합니다. 핵심 내용을 한 장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는 방법 코넬필기법, 특히 복습 시 효과가 좋습니다. #효과적인 노트정리, 코넬 필기법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들으면서 필기를 합니다. 선생님의 말씀을 그대로 받아 적기도 하고 키워드만 적거나 혹은 정리를 하며 적기 등 모두 자신만의 필기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복습을 하기 위해 노트를 펼쳤을 때 종종 자신의 필기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알아보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너무 장황하게 적어 핵심내용을 알아 볼 수 없거나, 반대로 단어만을 적어 내용이 빠져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학생들에게 ‘코넬 필기법’을 추천합..

2016. 3. 10. 15:48
민주적인 공론의 장을 만드는 필리버스터

[요약] 2016년 2월 23일 테러방지법 본회의 처리를 막기 위해 야당에서 필리버스터를 진행했습니다. 1964년 이후 52년만에 진행된 필리버스터는 국민들과 외신의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테러방지법 부결에는 실패했지만 민주적인 절차를 밟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필리버스터. 필리버스터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있었던 제도로 현재 영국과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에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동안 실시간 검색어를 장악했던 필리버스터(filibuster). 필리버스터는 16세기 ‘약탈자’, ‘해적선’을 뜻하는 스페인어 ‘필리부스테로(filibustero)’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는 의회에서 길고 느리게 연설하여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 주로 소수파가 다수파의 독주를 막거나 의사진행을..

2016. 3. 9. 18:23
뉴스 빅데이터, 다양한 활용과 그 가능성

요즘 이곳저곳에서 ‘빅데이터’라는 말이 심상찮게 들립니다. 익숙한 말이긴 하지만 한번 더 짚어보고 가죠. 빅데이터란 생성된 데이터의 양ㆍ주기ㆍ형식 등이 기존 데이터에 비해 너무 커 종래의 방법으로는 수집ㆍ저장ㆍ검색ㆍ분석이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원래는 수십에서 수천 TB(테라바이트)에 달하는 거대한 데이터 집합 자체만을 지칭하던 양적인 개념이었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해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기술 용어로 확장되었다고 합니다. 지난 1월 19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언론사 기자들을 대상으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Big KINDS)’의 설명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재단이 그동안 보유해왔던 신문기사 DB 3천만건을..

2016. 2. 19. 09:57
영자신문으로 단어 배우는 5가지 비결

최근 ‘응답하라 1988’ 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걸그룹 출신 배우는 누구일까요? 힌트1: 영어로는 Hyeri라고 합니다. 힌트2: 위에 영자신문 톱기사에 그분의 얼굴사진이 3개나 있습니다. 네, 답은 걸스데이 (갓)혜리님이시죠. ^^ (필자는 원래 걸스데이를 좋아했어요… 물론 걸스데이 멤버들은 저를 전혀 몰라요…) 뜬금없이 왜 ‘응팔’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실지도 몰라서 설명을 드리자면 저기 위에 있는 기사의 헤드라인을 보시면 unveil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오늘 바로 이 단어에서 이야기를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unveil을 사전에서 찾아보시면 품사: 동사영한사전 정의:1. (그림・동상 등을 처음으로 공개하기 위해) 덮개를 벗기다[제막식을 하다]2. (새로운 계획・상품 등을) 발표하다 영영사..

2016. 2. 2. 14:00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