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독서 언론진흥재단 기자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책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신문읽기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0)

  • 대한민국 10대, 투표권을 요구하다

    2016.04.06
  • 본격! 총선 읽기

    2016.04.05
  • 4월 13일 제20대 총선 똑똑한 유권자 되기!

    2016.04.05
  •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2016.04.04
  • 기성세대의 반성과 ‘청년에게 말 걸기’

    2016.04.04
  • 나를 깨우는 한 줄 (3월 4주차)

    2016.04.01
대한민국 10대, 투표권을 요구하다

[요약] 세계적으로 20세~21세로 규정되어있던 투표권 연령을 18세로 낮추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이웃나라 일본은 올 7월 '참의원 선거'부터 18세의 투표권이 인정되어, 정치권에서 10대 표심 잡기가 한창입니다. 우리나라는 선거법상 19세 이상의 국민만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교육감 선거 때부터 10대에게까지 투표권을 확대하자는 여론이 일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10대, 투표권을 얻을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 만 18세는 결혼, 취업, 군 입대, 운전면허 취득, 9급 공무원 지원, 법정대리인 동의서 없이 여권 신청, 신용카드 발급, 모든 상영 등급의 영화 관람까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과 국회의원 등 국민의 대표를 선출하는 ‘투표’를 할 수 없는 나이입니다. 10대를 위..

2016. 4. 6. 14:00
본격! 총선 읽기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본격 총선체제로…. 오는 4월 13일 치러지는 제 20대 총선(總選)을 앞두고 여·야 할 것 없이 표심 공략에 나섰다. 선거철이 되면 언론의 보도 역시 총선에 집중된다. 포털 뉴스 검색에서 ‘총선’이라는 키워드만으로도 하루에 1,600건 이상이 검색되며, 그 중에서 신문과 방송 보도뉴스는 200여건으로 봇물 터지듯 쏟아진다. 포털에서는 총선 관련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아예 별도의 사이트를 개설해 놓을 정도다. 네이버는 KBS와 손을 잡았고, 다음은 SBS와 공동으로 총선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정 이래 19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있었고, 1950년 5월에 치렀던 제 2대 총선을 제외한 평균 투표율은 73.3%로 높은 ..

2016. 4. 5. 18:00
4월 13일 제20대 총선 똑똑한 유권자 되기!

[요약] 제20대 국회의원 총선에 언론과 국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4.13 제 20대 총선에서 소중한 한 표를 선사하는 똑똑한 유권자가 되기 위해 사전투표와 후보자 자질을 검증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총선이 불과 8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지난 달 31일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고부터 더욱더 언론과 국민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4·13 총선. 똑똑한 유권자가 되기 위해 사전투표와 후보자 자질 검증 홈페이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기억하시고, 확인하신 후 여러분의 소중한 권리인 투표를 꼭 하길 바랍니다. 신분증만 있으면 사전투표가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실 거주지가 다른 분 혹은 투표 당일 출장이나 해외여행이 잡혀있는 분 모두 걱정하지 않으셔도 ..

2016. 4. 5. 16:00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우리나라에서 미디어활용교육의 큰 축을 담당했던 것이 신문 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교과와 비교과교육에 두루 활용되면서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안착된 게 사실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은 아니다. 신문을 교수학습 과정에 보조교재로 활용할 뿐이다. 보조교재인 신문이 가진 교육적 가치는 이미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김옥태 교수는 어릴 때부터 꾸준히 종이신문을 통해 활자를 접한 학생은 읽기 능력뿐 아니라 논리력과 사고력 등이 향상되고 시사 상식도 풍부해지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조선일보, 2016.03.07.). ..

2016. 4. 4. 16:00
기성세대의 반성과 ‘청년에게 말 걸기’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장은미 연구원의 글입니다. 청년에게 눈 돌린 언론들 2015년 한국 사회를 강타한 ‘헬조선’과 일명 ‘금수저·흙수저’로 얘기되는 ‘수저계급론’은 우리 시대 사회적 불평등과 청년세대의 고통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신조어로 이슈화되면서 많은 이들이 ‘청년’을 담론의 중심으로, 여기저기서 마구 불러내기 시작했다. 언론은 ‘청년’을 2015년 연말과 2016년 새해 화두로 제시했다. 시사인은 지난 12월에 ‘헬조선 다시읽기’를 통해 청년담론을 ‘탈조선, ~충, 노오력, 노답’이라는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해 내고 청년 당사자들의 언어로 ‘헬조선’의 문제를 자기 성찰적으로 분석했다. 한겨레는 20대 청년 215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불어 행복한 세상-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이란 제..

2016. 4. 4. 12:03
나를 깨우는 한 줄 (3월 4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3월 4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인간의 목표는 풍부하게 소유하는 것이 아니고풍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 법정, 『맑고 향기롭게』중에서 - 저 서운산 연둣빛 좀 보아라 이런 날무슨 사랑이겠는가무슨 미움이겠는가 - 고은, 『순간의 꽃』중에서 -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우리가 알아야 할 것을 가리고 있다. - 박웅현, 『여덟 단어』중에서 - 사람들은 '논리'나 '당위'로 절대로쉽게 변화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공감'해야 비로소 변화하지요. - 문유석, 『판사유감』중에서 - 책 한 권 읽기를 간절히 바라는 사람과읽을 만한 책을 기다리다 지친 사람 사이에는매우 큰 차이가 있다. - G.K. 체스터튼 (G. K. Chesterton) -

2016. 4. 1. 17:30
1 ··· 203 204 205 206 207 208 209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