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기자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독서 NIE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스마트폰 신문 이벤트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IoT시대 왕서방은 누구인가

    2015.05.14
  • SNS 환경에서 문학 커뮤니티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가

    2015.05.13
  •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2015.05.13
  • 생존의 갈림길에 선 미국 신문산업

    2015.05.12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5월 1주)

    2015.05.12
  • 빅데이터 활용, 소비자 플랫폼이 대세 2

    2015.05.11
IoT시대 왕서방은 누구인가

인터넷에서 가장 오래 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자 아직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이메일입니다. 지금은 대부분 다음 한메일이나 네이버 같은 웹메일을 사용하고 있지만, 웹메일이 대중화 되기 전인 1990년대만 해도 이메일을 이용한 방법은 PC에 프로그램을 설치 해 각자가 설정 후 관리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퀄컴(Qualcomm)의 성장배경 이 시절 국내에서도 막 인터넷 이용이 늘어나고 있었는데, 이 때 가장 많이 이용한 이메일 프로그램은 '유도라(EUDORA)'였습니다. 하지만, 유도라는 국내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용자 사이에서 유도라 제작사인 A업체에게 메일을 보내 한글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자는 작은 운동이 일어났습..

2015. 5. 14. 09:00
SNS 환경에서 문학 커뮤니티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가

“누구에게든 적용되는 노하우는 있어요. 습작생들이 곧잘 빠지는 폐단들. 글을 읽다 보면 이 사람들이 그 함정에 빠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죠. 작가의 조언에 대해 습작생들은 신뢰를 많이 하고, 칭찬 받으면 의욕이 샘솟지요. 즐거워하고 기뻐하고. 안 좋은 평 들으면 각성하거나 침체되거나. 문장은 우수작에 대해 주간, 월간 표식이 붙이는데 명예로운 성취감도 불러일으킵니다. 의견 교류도 첨예할수록 좋지요. 지적에 대해 고마워하며 노력하는 회원들의 발전 속도는 확실히 달라요.” (커뮤니티 참여 작가의 인터뷰) 사이버문학광장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사이버문학광장 ‘문장’(munjang.or.kr)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ts Council Korea)에서 “문학 생산자들에게는 창작과 발표 기회를, 소비자들에게 ..

2015. 5. 13. 14:00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공짜 뉴스가 흔하게 쏟아지는 세상 뉴스는 흔합니다. 분신이나 다름없는 스마트폰만 열면 수돗물처럼 쉴 새 없이 쏟아지는 게 뉴스입니다. 그것도 거의 공짜로 말이죠. 저는 “리퍼트 미국대사 피습”이라는 짤막한 문장의 1보(사건이나 사고가 났을 때 첫 번째로 보도된 짤막한 기사)를 시간 강의를 하러 원주로 가는 통학버스 안에서 바로 볼 수 있었습니다. 포털의 실시간 뉴스 서비스 덕분이었죠. 예전 같으면 당일 석간이나 다음 날 조간신문, 또는 9시 뉴스까지 기다려야 제대로 된 뉴스를 볼 수 있었을 겁니다. 귀한 뉴스 감별해 줄 ‘뉴스 지침서’ 필요 뉴스는 귀합니다. 전례 없이 풍부한 뉴스를 빠르게 공기처럼 무의식적으로 흡입하지만 제대로 된 뉴스는 좀처럼 없는 것 같습니다. 뉴스다운 뉴스가 점점 줄어드는 것도 원..

2015. 5. 13. 08:47
생존의 갈림길에 선 미국 신문산업

인터넷 미디어가 무섭게 성장하는 것에 반해서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매체가 쇠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종이 신문은 가장 큰 타격을 받으면서 생존 자체가 위험한 매체로 분류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의 경우 어느 때보다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강하게 작용해서 신문의 운명을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습니다. 미국신문협회(Newspaper Association of Americ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미국 일간지 신문의 수는 1,331개로 1940년보다 약 30% 감소하면서 547개의 신문사가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그 하락세는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으며, 신문의 죽음을 선언하는 사람들이 나올 정도로 암울한 상황에 부닥쳤습니다. 덴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록키 마운틴 뉴..

2015. 5. 12.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5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푸른빛을 자랑하는 나뭇잎 같이 이번 주도 새로 나온 책들이 무성합니다. 모든 책을 다 접할 수 없는 아쉬움을 알기에 다독다독에서 새로 나온 책 중 유익하고 회자되는 책들을 골라 소개해 드릴게요. 1위는 복지 국가론에 대한 사실 왜곡을 바로잡는 책 “복지 사회와 그 적들”, 2위는 26년간 떨어져 있던 쌍둥이의 극적 만남의 여정을 담은 “어나더 미”, 3위는 황당하고 엉뚱한 질문에 대한 과학적 해답을 제시한 “위험한 과학책”입니다. 책 읽기 좋은 5월. 새로 나온 책들로 지식도 넓히고 즐거운 시간도 가져봐요. 1위 : 복지 사회와 그 적들 가오롄쿠이 지음 | 부키 | 2015년 05월 08일 출간 최근 몇 년간 복지는 한국 사회 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의 ..

2015. 5. 12. 09:00
빅데이터 활용, 소비자 플랫폼이 대세 2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신동희 / 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데이터 저널리즘이나 디지털 저널리즘, 모바일 저널리즘 등이 근자에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으며 추진되어 왔고 과연 어떤 구체적인 모델로 나타나며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들 저널리즘의 형태들이 이전까지는 전통 언론매체의 부수적 현상으로 인식됐으나 앞으로는 하나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 혹은 룰세터(RuleSetter, 규칙 제정자)로서 시장의 판도를 주도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 과정에서 파괴적 혁신을 통한 기존 영역과의 마찰도 예상됩니다.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몇 년 전부터 하나의 막연한 대안으로서 거론되던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이 최근에는 학계와..

2015. 5. 11. 14:00
1 ···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