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신문 책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독서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2015.05.13
  • 생존의 갈림길에 선 미국 신문산업

    2015.05.12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5월 1주)

    2015.05.12
  • 빅데이터 활용, 소비자 플랫폼이 대세 2

    2015.05.11
  • 가슴 아픈 기억으로 남을 네팔 대지진 참사

    2015.05.11
  •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2015.05.08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공짜 뉴스가 흔하게 쏟아지는 세상 뉴스는 흔합니다. 분신이나 다름없는 스마트폰만 열면 수돗물처럼 쉴 새 없이 쏟아지는 게 뉴스입니다. 그것도 거의 공짜로 말이죠. 저는 “리퍼트 미국대사 피습”이라는 짤막한 문장의 1보(사건이나 사고가 났을 때 첫 번째로 보도된 짤막한 기사)를 시간 강의를 하러 원주로 가는 통학버스 안에서 바로 볼 수 있었습니다. 포털의 실시간 뉴스 서비스 덕분이었죠. 예전 같으면 당일 석간이나 다음 날 조간신문, 또는 9시 뉴스까지 기다려야 제대로 된 뉴스를 볼 수 있었을 겁니다. 귀한 뉴스 감별해 줄 ‘뉴스 지침서’ 필요 뉴스는 귀합니다. 전례 없이 풍부한 뉴스를 빠르게 공기처럼 무의식적으로 흡입하지만 제대로 된 뉴스는 좀처럼 없는 것 같습니다. 뉴스다운 뉴스가 점점 줄어드는 것도 원..

2015. 5. 13. 08:47
생존의 갈림길에 선 미국 신문산업

인터넷 미디어가 무섭게 성장하는 것에 반해서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매체가 쇠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종이 신문은 가장 큰 타격을 받으면서 생존 자체가 위험한 매체로 분류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의 경우 어느 때보다 일촉즉발의 긴장감이 강하게 작용해서 신문의 운명을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습니다. 미국신문협회(Newspaper Association of Americ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미국 일간지 신문의 수는 1,331개로 1940년보다 약 30% 감소하면서 547개의 신문사가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그 하락세는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으며, 신문의 죽음을 선언하는 사람들이 나올 정도로 암울한 상황에 부닥쳤습니다. 덴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록키 마운틴 뉴..

2015. 5. 12.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5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푸른빛을 자랑하는 나뭇잎 같이 이번 주도 새로 나온 책들이 무성합니다. 모든 책을 다 접할 수 없는 아쉬움을 알기에 다독다독에서 새로 나온 책 중 유익하고 회자되는 책들을 골라 소개해 드릴게요. 1위는 복지 국가론에 대한 사실 왜곡을 바로잡는 책 “복지 사회와 그 적들”, 2위는 26년간 떨어져 있던 쌍둥이의 극적 만남의 여정을 담은 “어나더 미”, 3위는 황당하고 엉뚱한 질문에 대한 과학적 해답을 제시한 “위험한 과학책”입니다. 책 읽기 좋은 5월. 새로 나온 책들로 지식도 넓히고 즐거운 시간도 가져봐요. 1위 : 복지 사회와 그 적들 가오롄쿠이 지음 | 부키 | 2015년 05월 08일 출간 최근 몇 년간 복지는 한국 사회 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의 ..

2015. 5. 12. 09:00
빅데이터 활용, 소비자 플랫폼이 대세 2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신동희 / 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데이터 저널리즘이나 디지털 저널리즘, 모바일 저널리즘 등이 근자에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으며 추진되어 왔고 과연 어떤 구체적인 모델로 나타나며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들 저널리즘의 형태들이 이전까지는 전통 언론매체의 부수적 현상으로 인식됐으나 앞으로는 하나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 혹은 룰세터(RuleSetter, 규칙 제정자)로서 시장의 판도를 주도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 과정에서 파괴적 혁신을 통한 기존 영역과의 마찰도 예상됩니다.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몇 년 전부터 하나의 막연한 대안으로서 거론되던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이 최근에는 학계와..

2015. 5. 11. 14:00
가슴 아픈 기억으로 남을 네팔 대지진 참사

4월 25일에 발생한 네팔 카트만두 대지진 참사로 많은 사람들이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4월 27일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망자만 3700명을 넘어섰고 계속해서 수색과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희생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비참하고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네팔 주민들은 여전히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그들의 아픔을 대신하진 못합니다.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가는 자연재해는 정말 피해갈 수 없는 걸까요. 두려움에 떨게 만드는 자연재해 네팔 역대 최악의 지진으로 1934년 1월15일 네팔 동부지역과 인도 비하르 지역을 강타한 8.1의 강진으로 약 1만700명이 숨졌습니다. 1988년엔 8월20일 네팔 동부에 진도 6.8의 지진이 발생해 721명이 숨지는 등 지진으로 많은 생명을 잃었습..

2015. 5. 11. 09:00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블로그의 글 또는 콘텐츠를 뉴스처럼 작성하는 방법은 글을 읽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자유로운 블로그 글의 스타일에 뉴스 기사 방식을 결합하면 새로운 글의 스타일이 출현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려면 뉴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방송이나 신문에서 제공되는 뉴스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합니다. 보도 기사, 르포 기사, 인터뷰 기사, 의견 기사입니다. 보도 기사는 스트레이트(straight) 기사라고 해서 육하원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사건이나 내용을 전달하는 기사입니다. 르포 기사는 사건 또는 행사가 벌어지는 현장을 스케치하듯이 설명하는 기사입니다. 인터뷰 기사는 대상 인물을 취재하여 그가 이야기하는 것을 중심으로 작성되는 기사입니다. 의견 기사(해설 기사)..

2015. 5. 8. 14:00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