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기자 미디어교육 NIE 신문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독讀한 만화가 강도하의 책과 연애, 그 험한 밀당

    2014.12.09
  • 쓰기도 벌기도 빠듯한 대학생 한달 생활비 129만원에 대한 속마음

    2014.12.08
  • 책 한 권이 인생을 바꿨다! 교도소의 베스트셀러

    2014.12.08
  • 골목길을 트렌드 발상지로! 2030 소자본 청년 창업가들

    2014.12.05
  • 한국 속 프랑스를 만나는 곳, ‘프랑스문화원’

    2014.12.05
  • 문명의 발전에 내재된, 빈부격차에 대한 화두를 던진 책들

    2014.12.04
독讀한 만화가 강도하의 책과 연애, 그 험한 밀당

12월은 한 해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새해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분주함으로 지나갑니다. 그래서인지 2014년이 시작되면서 세웠던 독서 계획을 미처 다 이루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아쉬움이 남는데요. 이런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달래 줄 수 있는 강연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답니다. 바로 올해의 마지막 독讀한 습관 강연인데요. 만화가 강도하 씨가 들려주는 ‘나의 읽기 투쟁기’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책이 멀어지게 된 까닭 지난 12월 4일은 많은 사람이 만화가 강도하 씨의 강연에 빠져든 날입니다. 이날의 사회는 4회부터 7회까지 함께 했던 칼럼리스트 박준우 씨가 다시 한 번 자리를 했습니다. 그의 목소리가 강연장을 가득 채우며 들려준 구절은 독讀한 팟캐스트에 올라온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의 한 부분 이었습니다...

2014. 12. 9. 09:00
쓰기도 벌기도 빠듯한 대학생 한달 생활비 129만원에 대한 속마음

출처_ 한국대학생연합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은 경제활동에서 제외된 비경제인구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생 4중 1명은 부채를 안고 있으며 높은 등록금과 주거 및 생활비 지출을 스스로 떠 안고 있지요. 이로 인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업과 더불어 아르바이트를 병행하지만, 한정된 노동시간과 낮은 시급으로 개인의 생활 문제를 개선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에서 대학생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오늘도 대학등록금과 생활비 그리고 취업 준비를 위한 부담으로 삼중고를 겪고 있는 청춘들. 얼음장 같은 날씨만큼이나 차가운 주머니 사정에도 자신의 꿈과 미래를 위해, 묵묵하지만 치열하게 현실과 싸워나가는 어느 대학생의 솔직한 이야기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출처_ 한겨레신문 / [왜냐면] 대학생..

2014. 12. 8. 13:00
책 한 권이 인생을 바꿨다! 교도소의 베스트셀러

출처_ 하버드대 출신 교도소 도서관 사서에게 무슨 일이? / 2012.03.02. / 헤럴드경제 , , . 이 책들은 서점에 가면 한 번쯤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읽은 사람도 있죠. 그런데 이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어 인기를 얻는 특별한 장소가 있습니다. 바로 ‘교도소’인데요. 이곳에서 독서를 통해서 인생을 바꾸고 있는 수감자들의 이야기를 다독다독에서 알아봤답니다. 수감자들의 독서는 인생의 전환점 ‘마치 긴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기분이다. 순식간에 인생 여정이 180도 바뀌어 버린 날, 무언가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지 않으면 세상 모든 화살이 나에게만 돌아오는 것 같았다.’ 서울 구로구 서울남부교도소에서 한 수감자가 노트에 쓴 일기의 한 부분입니다. 과거에 자신의 잘못으로 교도소에 들어왔고, 이곳에..

2014. 12. 8. 09:00
골목길을 트렌드 발상지로! 2030 소자본 청년 창업가들

출처_ jtbc뉴스 / 더 나은 세상 만드는 '나부터 혁신' 주인공들 / 2012-12-30 차갑고 번잡한 도심과 대조를 이루는 오래된 동네. 그 지역 토박이들이 아니면 아는 이조차 별로 없었던 골목길이 독특한 개성을 지닌 트렌드의 발상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골목길 변신의 동력은 바로 청년 창업가들인데요,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는 2030 소자본 창업가들의 개성 강한 외식업소들이 골목길의 변화를 이끌고 있지요.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골목길’을 ‘미니 자본과 다양한 문화의 자생지’이자 ‘골목길 순례자들을 끌어 모으는 새로운 문화생태계’로 표현하며 내년 소비트렌드 키워드 중 하나로 꼽기도 했습니다. 소비트렌드의 중심에 선 젊은 골목길 창업가들을 만났습니다. ‘인구론’(인문계 졸업생의 ..

2014. 12. 5. 13:00
한국 속 프랑스를 만나는 곳, ‘프랑스문화원’

‘프랑스’라는 국가의 이름을 들으면 떠오르는 것들이 있습니다. 파리의 에펠탑, 루브르 박물관과 같은 유명한 건축물이 떠오르기도 하고, 풍부한 감성과 다양한 생각을 담은 프랑스의 영화가 생각나기도 하죠. 또한, 아름다운 패션의 거리를 떠올리기도 합니다. 이런 모든 프랑스의 문화를 책과 미디어로 만날 수 있는 곳이 있는데요. 바로 ‘프랑스문화원’입니다. 이곳에 프랑스 문화를 만나볼까요? 프랑스 영화와 음악이 한 자리에 프랑스문화원은 서울 숭례문 인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실내장식에서 예술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데요. 프랑스 건축가 다비드 피에르 잘리 콩이 마치 선박의 내부를 옮긴 것 같은 느낌으로 설계했습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서 문화원으로 가는 통로는 마치 우주선에 들어가는 느낌을 줍니다. 통로..

2014. 12. 5. 09:00
문명의 발전에 내재된, 빈부격차에 대한 화두를 던진 책들

출처_ flickr by GK Sholanke 광대한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지구촌은 더욱 밀접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정보교류는 더욱 활발해졌으며, 글로벌 경제 관련 소식은 누구나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중요한 뉴스가 되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양적완화와 환율의 변동, 외인 자금의 유출입은 국내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요, 개개인 또한 이 거대한 물결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않은 만큼, 글로벌 경기는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외부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시스템의 근간인 자본주의 시장 모델이 결코 완벽한 건 아닙니다. 기술과 문명의 눈부신 발전에도 경제 공황은 주기적으로 찾아오며, 현 경제구조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경제모델이 지니고 ..

2014. 12. 4. 13:00
1 ··· 284 285 286 287 288 289 290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