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1)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4)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5)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책 NIE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공모전 신문 뉴스리터러시 독서 이벤트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1)

  • 12월의 추천 다큐 - 알고리즘의 편견

    2022.12.28
  •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2022.12.28
  • 쉬운 검색과 빠르게 읽기 시대, 성인의 문해력도 위험!

    2022.12.27
  •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2022.12.26
  • 메타버스 시대를 살아가다!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미디어 산업의 대응

    2022.12.23
  • [웹진 다시보기]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2022.12.23
12월의 추천 다큐 - 알고리즘의 편견

왜 흑인 여성의 얼굴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걸까? 인공지능은 인간과 달리 편견이나 차별을 가지지 않고 정확하고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데이터에 기반하고, 데이터는 우리의 역사를 반영하기 때문에 인간의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학습한 알고리즘은 인종이나 성별 등을 기준으로 사람들을 차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AI챗봇 ‘이루다’가 인공지능 윤리 문제로 인해 서비스를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알고리즘의 편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 문제를 지적하며, 인공지능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하고 알고리즘이 가진 편향성과 위험성을 감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 다큐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인간이 가진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경..

2022. 12. 28. 16:46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선택적 탈진실의 시대, 《미디어리터러시》 역할 중요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활동 소감 2022년은 계간 《미디어리터러시》가 의미 있게 변신을 꾀한 한 해였다. 통권 20호(2022년 봄호)를 넘어서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동안 웹진으로만 발행하던 데서 나아가 오프라인으로까지 독자와의 접점을 확대했다. 이뿐이 아니다. 그동안 미디어교육 전문가나 언론인, 언론학자 중심으로 구성됐던 기획위원에 처음으로 ‘시민 기획위원’을 모셨다. 올 한 해를 마감하며 시민 기획위원이 바라본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2022년을 정리해 본다.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현재 《미디어리터러시》는 일반 시민이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와 환경 아래 있다. ‘다양한 미디어 정보에 대한 진실성 ..

2022. 12. 28. 10:06
쉬운 검색과 빠르게 읽기 시대, 성인의 문해력도 위험!

쉬운 검색과 빠르게 읽기 시대, 성인의 문해력도 위험! 방송 출연기- ‘당신의 문해력 플러스’ 얼마 전 한 지상파방송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해력(리터러시) 길러주기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 특히 지금처럼 온라인과 소셜미디어가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온라인 문해력은 어린이나 청소년은 물론 성인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다. 관련 프로그램 출연기를 통해 성인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되새겨 본다.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강사) 대부분의 참가자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사이트에 올라온 내용은 옳다고 생각하며, 검색 결과 중에서 가장 맨 앞에 나오고 조회 수가 높은 글을 신뢰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대신 검색 결과를 단순하게 믿는 모습을 보였다. 얼마 전 필자는 ‘당신..

2022. 12. 27. 17:01
[웹진 다시보기]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기후 보도의 질적 성장을 위한 대안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최우리 (한겨레신문 기자) 8월 수도권에 내린 집중호우와 9월 태풍 힌남노에 의한 포항 지역 침수 피해 등 이제 우리나라에서 기후 위기, 기후변화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러한 재난 상황을 신속히 보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시급하고 필요한 보도는 기후 위기의 원인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보도일 것이다. 기후 보도의 한계점과 대안을 현직 기자의 목소리로 소개한다. 는 2020년 4월 한국 언론 최초로 신문사에 기후변화팀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후 , , , , 등에서 순차적으로 기후와 환경을 다루는 팀이 따로 꾸려졌다. 그동안 언론사가 집중하지 않았던 기후 관련 보도를 전담해 이어갈 수 있는..

2022. 12. 26. 11:51
메타버스 시대를 살아가다!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미디어 산업의 대응

메.타.버.스. 시대를 살아가다!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미디어 산업의 대응 소셜미디어에서 메타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메타버스는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Meta(메타)’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말합니다. 이러한 메타버스가 소셜미디어에서 2020년 4분기 ~ 2021년 2분기 동안 긍정적 인식이 14%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면 기존의 전통 언론매체들은 메타버스 환경에서 매우 소극적인 활동을 보여 ✔ 세컨드 라이프 인콰이어러 (Second Life Enquirer) 가상공간 속 장소, 행사, 혹은 아티스트나 전문가에 대한 기사를 다루면서 가상공간의 언론사로서 활동 ✔ 매일경제신문의 Zerry 메타..

2022. 12. 23. 14:38
[웹진 다시보기]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기후 위기 보도 제대로 읽는 법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정희정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 연구위원) 언론은 사실을 확인하고 진실만을 보도해야 한다. 그러나 적어도 기후 보도와 관련해서는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기후 위기에 여러 사회, 정치, 경제적 이해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반 독자로서 기후 보도를 접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다섯 가지 핵심 비법을 소개한다. 첫째, 숫자도 거짓말을 한다. 통계에 속지 말자. 통계의 탈을 쓴 거짓말, 의도적으로 활용된 숫자에 속지 않기 위해 자꾸 의심해 봐야 한다. 둘째, 국제기구와 외신 등의 권위에 속지 말고 의심해 보자. 우리 언론은 국제기구, 국제 사회라는 권위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아예 검증을 시도하지 않는 ..

2022. 12. 23. 10:15
1 ··· 27 28 29 30 31 32 33 ··· 53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