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3172)
-
<미디어생활계획표 작성, 나의 미디어습관 돌아보기>
뉴스읽기 뉴스일기 일기장 잘 작성하고 있나요?? 하루동안 미디어를 사용은 얼마나 하는지, 미디어 습관은 얼마나 지키고 있는지 체크하고 있으신가요?? 잠깐-! 로니와 함께 하루를 되돌아보며 뉴스플랫폼, 주제 등 뉴스읽기 루틴을 체크해보자!! 체크리스트도 있으니 나의 미디어 안전 지수도 확인해보자구! 여러분의 미디어 습관은 잘 지켜지고 있나요?? 다음엔 뉴스일기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똑똑하게 찾는 방법에 대해 로니와 다시 만나요♥ 금요일 업로드되는 카드뉴스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s://www.뉴스읽기뉴스일기.org 인스타그램 :@kpf_medialiteracy 카카오톡 : '뉴스읽기뉴스일기' 채널에서 상담요청! 문의처 : 070-4128-2796(운영사무국) *평일기준 월~금..
2022.12.02 -
11월의 추천 도서 - 미디어 리터러시, 세상을 읽는 힘
미디어는 지식과 정보를 전달해 주며 재미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SNS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미디어가 긍정적인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여 혼란에 빠뜨리고,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 위해 허위 정보나 조작된 정보를 유포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슬기롭고 현명하게 미디어를 이해하고 판단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필요합니다. 미디어, 그냥 편하게 즐기면 되는 거 아닌가요? 「미디어 리터러시, 세상을 읽는 힘」은 미디어의 정보나 내용 등이 합리적인지를 따져볼 수 있는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고 슬기롭게 미디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2.11.30 -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주한독일문화원 ‘페이크헌터 탐정단’ 프로젝트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김의관 (주한독일문화원 교육협력부&PASCH 동아시아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주은혜 (주한독일문화원 정보&도서관 프로젝트 매니저)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는 2018년 독일에서 탄생한 청소년 대상 가짜뉴스 판별 교육 프로젝트로, 지금까지 독일 전역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이해를 높이고 정보와 미디어 리서치 능력을 키우면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한독일문화원은 한국 현실에 맞게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를 재구성하여 올해 처음 ‘페이크헌터 탐정단’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만 15~18세의 청소년이라면 독일어 능..
2022.11.25 -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대담: ‘기후 위기와 학교 현장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환경 생태 교육에 앞장서 지행일치의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세 명의 교사와 대담을 나누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장서윤 (대전구봉고 교사) 기후 위기와 관련한 뉴스 기사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면서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마련해 준다.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다 보면 자연스럽게 실천의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참석자 진행: 안계현 ..
2022.11.21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제3회 영남 지역 중·고등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이지수(한국언론진흥재단 대구지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대구지사는 영남 지역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제고를 위해 ‘제3회 영남 지역 중·고등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번 공모전은 중등부, 고등부로 나누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주제로 한 신문 제작 부문과 ‘건강한 지역 여론 형성’을 주제로 한 뉴스 바로보기 부문 중 1개 부문에 참여할 수 있었다. 신문 제작 부문에서 학생들은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주제에 맞게 탄소중립, 친환경 에너지, 저탄소 식단 등의 내용을 다뤘다. 구체적인 수치 및 그래프를 제시해 객관성을 높이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뉴스 바로보기 부문에서는 개인 관심사를 반영해 환경 정..
2022.11.18 -
기후 위기 시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개선 필요
✔ 기후 위기 시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개선 필요 영국 진보언론 , 2019년부터 ‘기후변화’ 용어를 쓰지 않기로 해 “앞으로 ‘기후변화’라는 용어 대신 ‘기후위기’ 혹은 ‘기후비상’이라 표현하겠다.” 의 캐서린 바이너 편집장은 기후변화라는 표현이 수동적이고 온화한 느낌을 준다며, 환경 위기 상황이 인류에게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는 과학자들의 견해와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류를 위협하는 기후 위기, 기후변화 보도에 대한 언론의 태도가 중요!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 이행을 약속한 환경 서약을 발표 지구 전체의 환경 이슈를 다루는 ‘퓨처 플래닛’ 섹션을 운영 환경 단체 등과 함께 ‘녹색영국혁명’ 캠페인을 진행 기후 뉴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후자본’ 사이트를 운영 반면, 국..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