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신문읽기 미디어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책 뉴스리터러시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아이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어른들 때문입니다!

    2014.10.28
  • 정지영 교수가 들려주는 ‘어렵지만 읽어야 하는 이유’

    2014.10.28
  • 한국일보 ‘까톡 2030’, 젊은 독자를 도발하다

    2014.10.27
  • 인류와 인문학의 새로운 비전 제시, ‘세계인문학포럼’

    2014.10.27
  • 영화 ‘5일의 마중’을 보며, 반어적 수사학이 부러워지는 까닭

    2014.10.24
  • 청계천 헌책방거리, 아름다운 한글 간판과 만나다

    2014.10.24
아이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어른들 때문입니다!

우리가 처음 책 읽기를 접하는 건 언제일까요? 지금은 기억마저 희미해진 아주 어린 시절, 부모님께서 읽어주신 책이 처음 우리가 접한 독서일 것입니다. 이제는 TV 속 모습을 통해 기억할 수도 있는데요. 최근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면 연예인 송일국을 비롯한 슈퍼맨 아빠들이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보내는 시간은 아이의 정서 안정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하지요. 이는 이미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어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위해 꼭 실천하는 습관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 아빠와 엄마의 모습들은 이제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흔한 광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의 자유를 보장해주세요 어린 시절 부모님의 다정한 책 ..

2014. 10. 28. 13:00
정지영 교수가 들려주는 ‘어렵지만 읽어야 하는 이유’

붉게 물든 단풍이 파란 하늘과 서로 다른 색으로 뽐내는 가을은 더욱 깊어집니다. 명사들의 읽기 습관을 들어보는 독讀한 습관 강연도 점점 깊이를 더하고 있는데요. 지난 10월 23일 여섯 번째 강연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답니다. 이번에는 정지영 교수의 강연이 있었는데요. 정지영 교수의 여성학 강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SBS, 교육개발원에서 선정하는 100대 명강의에 선정되기도 했답니다. 그녀는 다양한 질문과 생각을 공유하며 읽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었는데요. 다독다독에서 그 현장을 나가봤습니다. 유명하지만 읽기 어려운 책들 왜 그럴까? 처음 시작은 박준우 칼럼리스트의 팟캐스트 낭독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서울이 아닌 광주 조선대학교 서석홀에서 10월의 마지막 강연이 있습니다. 그래서 ..

2014. 10. 28. 09:00
한국일보 ‘까톡 2030’, 젊은 독자를 도발하다

출처_ [까톡2030] 불금! 핫 플레이스 5곳 / 2014.07.08. / 한국일보 “우리, 까놓고 이야기해봅시다.” 누군가 이런 말을 던졌다면 대화 분위기는 어떻게 될까요. 묘한 긴장과 함께 논쟁(이라기보다는 말싸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독설이 오갈 수도 있고, 누군가는 마음이 상할지도 모릅니다. 복싱으로 치면 빙빙 돌며 아웃복싱 하지 말고, 제대로 붙어보자는 의미일 것인데요. 답답함을 풀자는 것이지만 그만큼 상처도 클 수 있습니다. 때문에 ‘까놓고 이야기해보자’는 건 사실상 상대방에 대한 도발이죠. 한국일보의 ‘까톡 2030’은 도발적인 지면을 만들어보자는 기자들의 생각에서 시작됐습니다. 갈수록 젊은 독자들을 인터넷에 뺏기고 있는 신문 제작 환경의 답답함을 풀어보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독..

2014. 10. 27. 13:00
인류와 인문학의 새로운 비전 제시, ‘세계인문학포럼’

출처_ 제1회 세계인문학포럼 부산 개최 세계 인문학자들이 부산으로 오는 이유 / 2011.11.16/ 국제신문 ‘인문학’ 최근 들어 많은 사람의 입에서 이야기되는 학문입니다. ‘인문학으로 소통하라’, ‘인문학으로 경제보기’ 등 인문학과 연결해 사회 현상을 보려는 다양한 시도도 서점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만큼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인데요. 이런 인문학을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학문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게 쉽게 공유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해마다 ‘인문주간’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 주에는 세계인문학 포럼, 인문공감콘서트, UCC공모전 등을 통해서 평범한 일상의 삶 속에 인문학을 만날 수 있도록 하고 있죠. 그중에서 오늘은 올해로 3회를 맞이한 ‘세계인문학포럼’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14. 10. 27. 09:00
영화 ‘5일의 마중’을 보며, 반어적 수사학이 부러워지는 까닭

출처_ 국내배급사 ‘찬란’ 아침 출근길에 지하철 안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로 영화를 보는 사람을 만나게 됩니다. 퇴근길에는 친구나 연인과 극장을 찾아 영화를 볼 수도 있죠. 그만큼 영화는 이제 생활 속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문화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나는 영화에는 감독의 숨은 생각과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시대의 아픔을 반영하기도 하고 사람이 생활하면서 계속 만나는 경제, 문화에 관련된 내용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영화를 통해 시대의 사회상을 만날 수 있는 신문기사 한 편을 소개해 드릴까 해요. 바로 경향신문에서 연재되고 있는 [강유정의 영화로 세상읽기]인데요, 영화를 통해 세상을 읽는 즐거움을 함께 느껴볼까요? 가족애를 통해 문화대혁명을 그린 ‘5일의 마중’ 장이머우(張藝謀) 감..

2014. 10. 24. 13:00
청계천 헌책방거리, 아름다운 한글 간판과 만나다

출처_ 네이버 한글한글 아름답게 청계천을 따라 걸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복잡한 도심에서 잠시 벗어나 한가로운 여유를 즐길 수 있는데요. 그 길을 걷다 보면 평화시장 1층에 책들이 탑처럼 쌓여있는 서점들을 만나게 됩니다. 이곳이 바로 ‘청계천 헌책방’인데요. 1960~1970년대 국내의 모든 책이 모여 있어 책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곳을 찾았을 정도로 200여 개의 서점이 있었던 곳입니다. 아쉽게도 여러 대형 서점이 들어서면서 지금은 25곳만 남아 있답니다. 이곳에서 지난 한글날 새로운 한글 간판으로 단장했는데요. 다독다독에서 그 소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처_ 네이버 한글한글 아름답게 청계천 헌책방거리에 아름다운 한글 바람이 불다 도시의 지식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면서 도서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는 문..

2014. 10. 24. 09:00
1 ··· 297 298 299 300 301 302 303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