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이벤트 신문 공모전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기자 독서 미디어 NIE 언론진흥재단 책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2)

  • [페이스북 이벤트] 2014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2014.11.05
  • 1993년에서 2015년까지, 한 눈에 보는 수능 변천사

    2014.11.05
  • 목적이 뒤바뀐 ‘다독’, 실용적 독서법은 올바를까?

    2014.11.04
  • 타인을 쉽게 판단하는 당신에게 던지는 신형철의 독讀한 한마디

    2014.11.04
  • 시각장애인들의 '읽을 권리'를 보장하는 도서관 서비스들

    2014.11.03
  • 눈높이 사설부터 학습만화까지! 속이 꽉 찬 ‘어린이 신문’

    2014.11.03
[페이스북 이벤트] 2014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페이스북 이벤트] 독讀한 습관, 명사들의 독서 주제를 찾아라! 명사들의 읽기 경험담과 노하우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독讀한 습관이 벌써 여덟 번째 강연자를 맞이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진행된 강연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기로 했답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2014 독讀한 습관 강연 속에는 명사들이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주제가 담겨 있겠죠?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에서 명사와 알맞은 주제를 맞추고 푸짐한 선물도 받아가세요. ^^ ▶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 바로가기 읽기에 대한 즐거움을 찾고 명사들과 함께 읽기 경험담과 노하우를 나눌 수 있는 독讀한 습관 강연은 11월에도 계속 이어집니다. 취업, 스펙, 연애 ...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청춘들에게 활짝 문이 열려 있답니다. 독讀한 습관에 오셔서 읽기..

2014. 11. 5. 11:46
1993년에서 2015년까지, 한 눈에 보는 수능 변천사

출처_ MBC 해마다 11월이면 따뜻한 한 잔의 음료를 나눠주는 후배들의 응원도, 학부모들의 간절한 기도 모습도 보게 되는 때가 있습니다.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날인데요. 올해는 11월 13일에 전국적으로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1994학년도부터 처음으로 도입된 뒤로 벌써 22번째 시험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금까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어떤 이야기들이 있는지, 입시학원가는 어떻게 바뀌었는지, 신문 기사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대마다 다른 수험생의 주말 시간표 듣기평가 시간에는 시험장 근처 비행기 이착륙이 중지될 정도로 수능은 말 그대로 국가적인 행사입니다. 하지만 수능의 시작은 지금처럼 많은 사람이 관심가질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고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도입..

2014. 11. 5. 09:00
목적이 뒤바뀐 ‘다독’, 실용적 독서법은 올바를까?

출처_ phawker 책을 읽으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합니다. 책보다 경험을 주장하는 사람도, 책을 읽으라고 추천하지 않는 사람도 책이 이롭다는 것에 대해서 부정하진 않죠. 하지만 책을 읽을 때, 한 권의 책만 읽는 사람만큼 위험한 사람도 없습니다. 편협한 생각에 빠지기 쉽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쉽게 치우칠 수 있는 생각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다독’이 있습니다. 많은 책을 읽어 습득한 지식과 간접경험은 어디로 치우치지 않는 올바른 판단력을 길러줍니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다독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독서법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바로 ‘실용적 독서법’인데요. 기존의 ‘다독’과 무엇이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다독’, 많이 읽는 것의 의미 ‘다독’은 많은 책을 읽는다는 의미입니다. 성직자이자 시인..

2014. 11. 4. 13:00
타인을 쉽게 판단하는 당신에게 던지는 신형철의 독讀한 한마디

앞서 6회나 진행되었던 독讀한 습관 강연. 매주 읽기에 대한 명사들이 들려주는 유익한 이야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특별히 광주 조선대 서석홀에서 열렸습니다. 대구에 사는 저는 이번에 다독다독 블로그 대학생 기자로 강연을 듣기 위해 광주를 방문했습니다. 꼭 한 번 듣고 싶던 신형철 문학평론가의 강연이라 기대가 컸는데요. 현장에서도 많은 사람의 참여로 열기가 뜨거웠답니다. 지금부터 신형철 문학평론가가 들려주는 에 담긴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롤리타 콤플렉스를 제대로 알려면 소설 를 읽어야 “여행을 갈 때도 주변 관광지를 다니며 움직이는 일을 잘 하지 않습니다. 한적한 숙소에서 바깥 풍경을 보며 책을 읽는 일을 더 선호하는 편이죠. 화장실에 책을 들고 가서 읽는 것은 당연하고요,..

2014. 11. 4. 09:00
시각장애인들의 '읽을 권리'를 보장하는 도서관 서비스들

출처_특교인뉴스 혹시 11월 4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올해로 88주년을 맞는 한글 점자의 날입니다. 점자란 지면 위에 도드라진 점을 손가락으로 만져서 글을 읽는 시각장애인용 문자입니다. 시각 장애인들은 음성이나 점자를 통해 글을 읽고 있는데요. 음성이나 점자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비장애인들은 잘 알지 못하는 시각장애인들의 고충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들도 세상 돌아가는 일을 알고 싶어하며, '알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권리가 충족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죠. 그 가운데에 점자와 같은 구세주들이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 지 한 번 살펴볼까요?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 도서'가 가득! 점자도서관 먼저 점자도서관입니다. 점자도서관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도서관..

2014. 11. 3. 13:00
눈높이 사설부터 학습만화까지! 속이 꽉 찬 ‘어린이 신문’

출처_ 한겨레 교육문화센터 ‘최근 아빠와 엄마를 따라서 주말마다 서점이나 도서관을 찾았던 아이가 있습니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아빠, 엄마의 영향을 받아서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골라서 읽곤 했는데요. 어느 날 아빠가 신문 읽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신문을 읽어 보려고 했는데, 초등학생인 자신이 읽기에는 너무 어렵고 모르는 말이 많다고 하네요. 그 이야기를 들은 아빠는 고민을 하다가 문득 예전에 들었던 ‘어린이 신문’이 생각났습니다. 인터넷을 열어 확인해보고는 만족스런 미소를 띠며 어린이 신문 구독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볼거리, 공부거리, 아이에게 딱 맞는 신문이었기 때문이죠.‘ 오늘은 앞의 이야기처럼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읽기와 쓰기 능력을 길러주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콘텐츠가 가득한 ‘어린이 신문’..

2014. 11. 3. 09:00
1 ··· 295 296 297 298 299 300 301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