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공모전 이벤트 책 뉴스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NIE 독서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5)

  • ‘ㅍㅍㅅㅅ’, ‘허핑턴포스트’… 웹 블로그 기반 독립 언론, 정체가 뭐지?

    2014.07.07
  • 기자에게 필요한 재난보도 원칙은?

    2014.07.07
  • [이벤트] ‘SBS 아이러브인 시즌 5’ 방영 기대평을 남겨주세요~

    2014.07.04
  • 80년대에 예측한 21세기 모습, 얼마나 맞았을까?

    2014.07.04
  • 영어 문어체와 구어체,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2014.07.04
  • ‘2014 퓰리처상 사진전’ 제대로 즐기는 법!

    2014.07.03
‘ㅍㅍㅅㅅ’, ‘허핑턴포스트’… 웹 블로그 기반 독립 언론, 정체가 뭐지?

출처_ Flickr by clasesdeperiodismo 최근 SNS를 보고 있자면 생소한 듯 하면서도 이미 익숙한 사이트의 글들이 종종 보입니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친구들이 자꾸만 ‘좋아요’를 누릅니다. 이게 뭔가 싶어 보니 재미있습니다. 흥미로운 뉴스의 사진과 제목과 더불어 때로는 날카로운 뉴스와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들로 우리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ㅍㅍㅅㅅ’, ‘허핑턴포스트코리아’, ‘슬로우뉴스’, ‘인사이트’…? 바로 웹 블로그에 기반을 둔 독립 언론입니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의 경우 이미 SNS상으로 ‘좋아요’를 누른 사람이 10만 명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다른 독립 언론의 경우에도 적게는 몇 천 명에서 많게는 몇 만 명까지 그 인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4. 7. 7. 11:02
기자에게 필요한 재난보도 원칙은?

지난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났을 때, 초기 보도가 오보로 밝혀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한국 언론에 대한 불신이 하늘을 찌르게 했죠. 거기에 간신히 목숨을 구한 세월호의 생존자나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거친 취재들이 이어졌습니다. 결국, 피해자 가족들은 국내 언론 취재를 거부하고, 외국 언론만 상대했죠. 이 같은 내국인의 국내 언론에 대한 불신은 민주화 이후 찾아볼 수 없었던 일이라 더욱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재난을 취재하고 보도하는 한국 언론사들의 시스템이 어떻게 개선되는 것이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처_ 경향신문 2014. 4. 16. 재난보도는 ‘특정한 시점에 발생되어 특정지역에 인적, 물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하는 자연적 재해 또는 인위적 재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의 활..

2014. 7. 7. 09:06
[이벤트] ‘SBS 아이러브인 시즌 5’ 방영 기대평을 남겨주세요~

틀에 박힌 강의 형식을 벗어나, 음악과 함께 전국민이 참여하는 지식나눔 콘서트! 감동과 놀라움이 가득한 ‘아이러브[人]’(나의 재발견 그리고 독讀한습관) 그 다섯 번째 장을 오는 7월 6일 여러분의 안방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더욱 화려한 멘토들로 무장해 돌아온 아이러브[人]의 방영을 기념해 작은 이벤트를 하나 마련했습니다. 아이러브인 시즌 5에 대한 기대평을 남겨주세요. 당첨된 30명에게는 강사 세 명의 책을 모두 드립니다!(1인 3권) 아이러브인 시즌 5는 오는 7월 6일 시작으로 13일 20일 매주 밤 12시 15분부터 총 3회에 걸쳐 ‘나의 재발견 그리고 독讀한습관’이라는 주제로 여러분의 안방에 찾아갑니다. 인생의 해답을 찾는 여러분에게 놓치면 후회할 인생 최고의 강의가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

2014. 7. 4. 15:01
80년대에 예측한 21세기 모습, 얼마나 맞았을까?

출처_Flickr by JD Hancock 어렸을 때 그러니까 우리가 초등학생인 시절, 학교에서는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는 그리기 시간을 자주 가졌습니다. 미래를 상상하며 미래를 그려가는 시간은 참 재미있었죠. 아마 많은 분들이 2000년대를 넘어가면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생기고, 로봇들이 집안 일을 대신 해주고, 학교에 가지 않아도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등 돌이켜 보면 이미 실현이 된 상상도 있고 아직도 먼 미래의 일만 같은 상상도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린 시절 지금 이 시간의 어떤 모습을 상상하셨나요? 오늘은 과거 7, 80년대 미래학자들과 같은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나라의 모습을 어떻게 상상했을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 그 시절 과연 그 예측들은 얼마나 현실과 가까워졌는지 비교하면서 읽..

2014. 7. 4. 13:04
영어 문어체와 구어체,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출처_ flickr by CollegeDegrees360 영어회화를 해야 하는데 너무 형식적이고 딱딱한 표현만 생각이 나거나, 반대로 격식을 차린 영어에세이를 써야 하는데 문체가 가볍다고 느낀다면 영어학습의 균형을 다시 잡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중요한 것이 바로 영어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에 대한 이해입니다. 필자는 중학교를 입학하면서 알파벳부터 영어학습을 시작한 세대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다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문법과 독해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지금처럼 멀티미디어 자료가 풍부하지도 않고 인터넷도 없었기 때문이죠.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소위 딱딱한 문어체 위주로 문장을 접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문어체가 제 영어의 전반을 지배했습니다. 간단하고 쉬운 표현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쪽을 택하는 습관도 생겼지요...

2014. 7. 4. 09:00
‘2014 퓰리처상 사진전’ 제대로 즐기는 법!

“사진에 그 당시의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있어요.” 사진전에서 만난 인천대학교 1학년 이세현씨(20,남). 그는 공대에 다니고 있지만 사진에 관심이 많아 2010년의 지난 사진전에 이어 이번 2014년 사진전에도 방문했습니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 하나하나엔 당시의 사건이 사진 한 장 속에 함축되어있어 놀라워요. 사진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사진전이에요.”라며 퓰리처상 사진전에 대한 기대와 감상평을 남겼습니다. 이렇게 놀라운 사진전이 한국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바로 지난 6월 24일 시작한 ‘2014 퓰리처상 사진전’입니다. 6월 27일 금요일! 퓰리처상 사진전이 열리고 있는 예술의전당에 다녀왔습니다. 1917년부터 수상을 시작한 퓰리처상은 미국을 대표하는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가 설립했으며, 보도사진 부..

2014. 7. 3. 13:36
1 ···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53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