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이벤트 공모전 미디어 기자 신문 책 미디어교육 독서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39)

  •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2022.11.09
  •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2022.11.08
  •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 특강 [미리미리] 훑어 읽기 강연 시리즈

    2022.11.07
  • [웹진 다시보기]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2022.11.07
  •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일기장 친구추천 실물수령 이벤트>

    2022.11.04
  •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2022.11.01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통계와 과학용어만 가득, ‘내 문제’ 부각시킬 스토리텔링 필요해 국내 기후 위기 보도의 경향과 문제점1)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올 초 기후 위기 취재기자 11명, 시민 단체 활동가 9명, 교수 4명 등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기후 위기 보도 개선 방안을 다룬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의 공저자 중 한 명인 이봉현 한겨레신문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이 한국 언론의 기후 보도 문제점을 세 가지로 정리한 뒤,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 기후 보도가 가능할지 제언한다. 이봉현 (한겨레신문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언론의 기후변화 보도는 ‘지금’, ‘여기서’, ‘나와 내 가족, 내 친구’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보여줄 때 효과적이다. 기후변화의 과학..

2022. 11. 9. 11:49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미디어가 기후변화에 책임 있을까? 에코미디어의 정의와 에코미디어 리터러시 기후 위기와 미디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미디어’에 ‘에코’(환경)라는 접두사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탈리아 존카봇대학 안토니오 로페즈 교수의 글을 번역해 싣는다. 이 글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주요 개념 중 생산 구조 차원에서 인터넷, 전자 기기, 데이터, 또 나아가 블록체인 등이 어떻게 기후 위기, 생태, 환경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 글을 번역한 이는 원문에 포함된 사실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독자가 함께 읽어볼 만한 참고 자료를 각주로 달았다. 안토니오 로페즈 (Antonio Lopez) / 이탈리아 존카봇대학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과 학과장 번역: 최원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가) 미디어에 대한 ..

2022. 11. 8. 17:00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 특강 [미리미리] 훑어 읽기 강연 시리즈

미리미리 준비해요,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0개 주제별 미디어 리터러시 강연을 공개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미리미리] 훑어 읽기 강연 시리즈를 제작하여 공개합니다. 총 10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세부역량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 강연을 통해 소개합니다. [미리미리] 훑어 읽기 강연 시리즈는 어떤 주제로 구성되어 있나요? - 미디어와 정보에 대한 이해 - AI와 알고리즘 - 뇌 과학자가 알려주는 미디어 리터러시 - 미래 필수 역량, 텍스트를 넘어 콘텍스트를 읽어라 - 당신이 ‘그런 뉴스’를 보게 되는 이유 - 디지털 이주민 부모의 디지털 원주민 아이 키우기 - 메타버스 시대 바꿔야할 2가지 - 현직 교사가 말하는 미디..

2022. 11. 7. 17:43
[웹진 다시보기]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이해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강진숙(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한국콘텐츠진흥원(2019)에 의하면 ‘개인 미디어’는 ‘1인 미디어’라는 용어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고,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공유하여 운영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며,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의미한다. 요컨대 1인 미디어란 개인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스스로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로 의사소통, 여론 형성, 정보 교류, 놀이 등을 행하는 미디어이다. 1인 미디어의 대표적 유형으로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주 이용 플랫폼인 유튜브와 방송 진행자(BJ)와 시청자가 실시간 대화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한 아프리카TV를 들 수 있다. 유튜브가 실시..

2022. 11. 7. 10:39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일기장 친구추천 실물수령 이벤트>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일기장 친구추천 이벤트! 인스타그램에 친구 추천도하고! 나만의 실물 수령 사진도 찍고! 맛있는 치킨도 먹고!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게 감사인사드립니다♥♥ 일기장 신청하고 싶다구? 아직 늦지 않았어!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일기장 신청은 뉴스읽기뉴스일기.org에서 지금 바로 신청 가능합니다★ 금요일 업로드되는 카드뉴스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s://www.뉴스읽기뉴스일기.org 🌈인스타그램 :@kpf_medialiteracy 💡카카오톡 : '뉴스읽기뉴스일기' 채널에서 상담요청! 📞문의처 : 070-4128-2796(운영사무국) *평일기준 월~금 10:00~18:00 #나의이야기 #일상이야기 #일상 #소통 #소듕 #나의일기 #뉴스일기 #..

2022. 11. 4. 10:05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 ​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주한독일문화원 ‘페이크헌터 탐정단’ 프로젝트 ​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는 2018년 독일에서 탄생한 청소년 대상 가짜뉴스 판별 교육 프로젝트로 지금까지 독일 전역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주한독일문화원은 한국 실정에 맞게 ‘페이크헌터 탐정단’으로 재구성하여 올해 처음 한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의 주요 내용과 참가 학생들의 소감을 소개한다. 김의관 (주한독일문화원 교육협력부&PASCH 동아시아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주은혜 (주한독일문화원 정보&도서관 프로젝트 매니저) ​ ​ 이전까지는 가짜뉴스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페이크헌터 교육을 받고 여러 가지 다양한 도구를 사..

2022. 11. 1. 17:56
1 ··· 38 39 40 41 42 43 44 ··· 54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