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뉴스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신문 이벤트 기자 미디어교육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4)

  •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2013.03.05
  •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2013.03.05
  •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2013.03.04
  • 고전에서 배우는 ‘대학생 새학기 증후군’ 극복법

    2013.03.04
  •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2013.02.28
  • 봄 맞아 미리 정독하는 동서양 대표 연애 바이블

    2013.02.28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 나비효과 될까?

“신문, 언제 읽으셨어요?” “오늘 아침에 보셨다고요?!” “아니요~ 소리 내 읽으면서, 30분 동안이요!” 기억하시나요? 소리내 신문을 읽어본 기억. 지난 3일, 서대문역에 위치한 한 레지던스에서는 30분마다 다른 목소리가 흘러나왔습니다. 신문기사를 읽어내려 가는 소리였는데요. 2013년 3월, 오롯이 종이 신문만이 가지고 있는 따뜻함을 전달하기 위해 20대 청년들이 직접 나섰다고 합니다. 바로 국내최초, 세계최초! 대학생 100시간 릴레이 신문읽기에 도전한 것입니다. 그 도전 속으로 다독다독이 함께했습니다. “컴퓨터 모니터로 보는 것, 스마트 폰으로 읽는 것, 종이로 읽는 것들은 물론 차이가 있고 가독성 또한 다릅니다. 그러나 종이로 읽는 것들이 더 잘 읽힌다는 걸 모두들 잘 알고 있지 않아요?” 청..

2013. 3. 5. 11:14
교재 저작권 포기 운동, 대학가 봄바람 될까?

어려운 입시와 허리가 휘는 등록금을 내고 드디어 대학에 입학! 이제 대학 생활의 낭만을 즐기고 열심히 공부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웬걸, 난관이 하나 더 남아 있었네요. 바로 교재 값입니다. 시간표 맞춰 전부 다 사자니 교재 값만 학기에 2~30만 원이 넘어가게 생겼어요. 결국 친구들과 십시일반 돈을 모아 교재를 사서 복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녹록치 않게 되었습니다. 최근 대학을 상대로 저작권 소송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죠. 이를 둘러싸고 많은 논의와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학가의 저작권 분쟁 실태와 대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출처-서울신문] 대학가 저작권 비상 사태! 올 2월 저작권 강화로 대학가에서 공공연하게 묵인 되어 온 교재 복사, 동영상 상영 등 강의를 위한 행동..

2013. 3. 5. 10:27
3년째 출산율 증가, 그 속내 살펴보니

우리 아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명절은 어떤 모습일까 생각해 봤습니다. 아직은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비붐 세대의 많은 형제들이 모여 온 가족이 함께 명절을 보냅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의 형제관계를 보면 많게는 둘. 셋 정도의 형제를 가지거나 또는 외동인 아이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아이들의 명절 풍경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요? 일 년 중 두 번 북적북적 거리는 가족들 틈새에서 서로의 가족애를 확인하고, 친목을 다지는데 의미를 두었던 명절의 의미가 아이들 세대에는 어떻게 전달이 될지 걱정스럽습니다. [출처-서울신문] 2013년 뜻밖의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왔는데요. 2009년 이래로 최저출산율을 극복하고 3년째 출산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통계 발표가 있었습니다. 2009년 1.14..

2013. 3. 4. 11:02
고전에서 배우는 ‘대학생 새학기 증후군’ 극복법

전쟁 같은 수강신청 기간이 지나고 3월 4일 드디어 긴 겨울 방학의 종지부를 찍는 개강 날이 찾아왔습니다. 다들 들뜬 마음으로 새 학기를 맞이하셨겠지만, 주변 친구들을 살펴보면 막상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처음 대학에 입학하는 새내기 친구들은 새 친구 사귈 걱정으로. 졸업을 앞둔 친구는 취업걱정으로. 그리고 군대 제대 후 복학하는 친구들은 다시 학교에 적응할 걱정으로 학교 가기를 많이 두려워합니다. 마냥 기분 좋은 설렘으로 마음이 부푸는 개강 날이 기다려지는 것이 아니라, 한치 앞을 모르는 학교생활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바로 새학기 증후군입니다. 새학기 증후군이란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적응 양상으로 새로운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전까지는 보통 처음 학생..

2013. 3. 4. 10:06
3.1절에 펼쳐보는 독립 신문! 응답하라 1919

내일은 역사적인 함성이 되살아나는 3.1절입니다. 3월 1일은 1919년 수많은 열사들이 독립을 위한 열망으로 온 마음과 몸을 던지며 아우내 장터로 나섰던 날입니다. 그 후에도 6.10만세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이 지속되었지요. 그런데 어떻게 그 많은 사람들이 아우내 장터 한 곳으로 모일 수 있었을까요? 전화기도 없던 그 시대에 말이죠. 그 비결은 바로 ‘신문’에 있습니다. 이라는 신문에 기고된 글을 보고 사람들은 3.1운동이후 지속적으로 독립운동에 대한 정보를 알고 모이게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민중들의 힘을 필요로 했던 여러 독립운동 힘의 원천은 바로 신문에 있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오늘은 돌아오는 3.1운동맞이 일제 치하 속에서 신문들은 어떤 상황 속에서 어떤 행보를 겪었는지 한 번 살펴볼까합니다...

2013. 2. 28. 13:30
봄 맞아 미리 정독하는 동서양 대표 연애 바이블

나이가 나이인 만큼 주변 친구들은 하나, 둘 화려했던 연애시절을 접고 결혼에 골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모임이라도 할라치면 다들 돌쟁이 아이 하나씩을 들춰 업고 나타나는 풍경 역시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결혼한 친구들과 만난 자리에서 재미난 이야기를 전해 들었습니다. 결혼해서 무엇보다 좋은 점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골치 아픈 밀당에서 해방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하하. 연애라는 달콤하지만 살벌한, 아름답지만 세상 그 무엇보다 에너지소모가 극심한 감정노동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았다는 것이 결혼의 장점 중 하나라니요. 누구에게나 연애란 만만한 일이 아니구나, 라는 생각이 들며 웃음이 났습니다. 봄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는 달달한 계절입니다. 유난히 매서웠던 추위가 누그러지고 지나는 행인들의 외..

2013. 2. 28. 10:06
1 ··· 422 423 424 425 426 427 428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